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義子의 養子 지정 사례를 통해 본 16세기 收養, 侍養 관행 -「1584년 나주목 결급 입안」의 향리가 양자 사례를 중심으로- (16thCentury Suyang and Siyang Adoption Customs as Seen through the Designation of a Stepchild as an Adopted Child: The Case of the “1584 Naju-mok Civil Docket” Concerning an Adoption by a Local Clerk)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8.08
24P 미리보기
義子의 養子 지정 사례를 통해 본 16세기 收養, 侍養 관행 -「1584년 나주목 결급 입안」의 향리가 양자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53권 / 51 ~ 74페이지
    · 저자명 : 박경

    초록

    이 연구에서는 「1584년 나주목 결급 입안」의 16세기 향리가 여성인 정 조이가 남편의 막내아들을 양자로 삼아 그의 대부분의 재산을 증여한 사례가 조선 전기의 수양, 시양의 관행과 16세기 가족·친족 관계와 사회질서 내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 입안에 수록된 소송은 本族과 義子 사이의 쟁송에서 출발했지만 의자 중 막내인 나기년이 정 조이의 양자로서 그의 대부분의 재산을 증여받았다는 것이 인정되어 의자측이 승소한 사건이다.
    수양과 시양은 입양 대상과 목적에 제한이 없었던 입양 관행이다. 그러나 고려시대부터 계승되어 온 친족 관계와 원 재주의 혈속 외에 재산을 주는 것을 꺼리던 증여·상속의 관행에 따라 夫妻의 친족을 수양 자녀나 시양 자녀로 삼을 때에는 남편과 처가 각각 자신의 친족을 양자녀로 삼고자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이 사례는 자신과 혈연관계가 없는 남편의 아들을 양자로 삼은 사례이다. 15세기에도 남편의 아들이나 손자를 양자로 삼은 사례가 나타나지만 왕실이 아닌 민가에서 많은 재산을 상속받은 여성이 남편의 직계 자손을 양자로 삼아 자신의 대부분의 재산을 증여한 것은 이 사례가 유일하다. 16세기 의자를 양자로 삼아 재산을 증여한 이 사례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파악된다.
    이는 계모와 어려서부터 기른 막내 의자 사이에 친밀감이 형성되어 자신의 대부분의 재산을 주고 사후 제사를 부탁한 사례이다. 정 조이는 막내 의자 나기년을 양자로 지정하고 다른 의자와 차별화하여 그에게 자신의 대부분의 재산을 증여했을 뿐 아니라 다른 재산 상속권자인 본족에게 재산을 주지 않았다. 그의 재산 증여는 그의 사후 벌어진 이 소송에서 정당성을 인정받았다. 이렇게 수양 자녀나 시양 자녀의 지정은 재산 증여에 재주의 의사를 자유롭게 반영하기 위한 방법이 되기도 했다.
    16세기 일부 양반가에서는 기존 입양 관행과는 달리 자식이 없는 여성이 夫家의 가계계승자를 수양자나 시양자로 삼아 자신의 대부분의 재산을 증여하고 자신과 남편의 사후 제사를 부탁함으로써 유교적 제사형태 정착을 지향하는 정부 정책에 부응한 사례들이 나타난다. 그런데 이 사례는 이와는 달리 장자를 봉사자로 지정한 남편과 별도로 막내 의자를 양자로 삼아 자신의 봉사자로 지정한 사례이다. 남편과 처가 자신의 재산을 이어받을 각자의 계승자를 지정하던 이전의 입양 관행을 답습한 사례인 것이다.
    그럼에도 송관이 정 조이의 재산 증여를 인정한 것은 조선 정부에서 국초부터 유교적 제사형태를 정착시키기 위해 심혈을 기울여 여러 제도들을 만들어가면서도 이를 위해 새로 제정한 입후법에 의한 입후와 기존 입양 형태인 수양, 시양의 공존을 인정한 것과 같은 맥락에서 파악할 수 있다. 16세기 실제 대민 통치를 하던 수령 역시 개인이 자신의 감정이나 이익에 따라 기존 입양 관행에 의해 양자를 선택하더라도 이러한 선택이 법에 위배되거나 풍속을 해치지 않는 한 이를 존중하며 그 관계를 적극적으로 인정해 주는 방식으로 통치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1584 Naju-mok Civil Docket” concerning the adoption by local clerk family member Ms. Jeong of her youngest stepchild, as well as the corresponding passing down to that child most of her property. It assays the significance that this case held within the suyang (收養) and siyang (侍養) adoption customs of early Joseon, and within the familial and relative relations—as well as the social order—of the 16thcentury.
    This suit began as a dispute between Jeong’s side of the family and the stepchild in question. With the legal recognition of youngest stepchild Na Ginyeon’s receiving the majority of Jeong’s estate in his capacity as her suyang/siyang adoptee, the suit wound up as a legal victory for the stepchild’s side.
    Both suyang and siyang adoption practices were unrestricted in the objects or purposes of adop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ive relations and the estate bequeathing and inheritance practices of the time, in a married couple’s selecting among their blood relatives a suyang/siyang adoptee, both the husband’s family and the wife’s family commonly preferred to select from among their own lines. Yet the 1584 case was one of the adoption of a husband’s stepchild, with no blood relation to the adopter. Although there exist some 15thcentury examples of a woman’s adopting a husband’s son or grandson as her own, among those outside the court, the 1584case stands out as the only one in which a wife—having inherited a sizable estate from her parents—takes a direct descendant of her husband as the adoptee and passes on to him the majority of that estate. The significance of this 16thcentury adoption of a stepchild and corresponding bequeathing of estate can be understood as follows.
    This was an instance of a close bond forming between a stepmother and the stepchild she had raised from an early age, and that stepmother’s bequeathing the majority of her estate to that child with the request that he perform rites for her after her death. Ms. Jeong did not just adopt Na Ginyeon as her own child and treat him differently than her other stepchildren, bequeathing him the majority of her estate. She moreover elected not to give property to those among her own side of the family who held inheritance rights to her property, and through this lawsuit arising after her death, ultimately secured recognition for her preferred manner of passing down her estate. This became a means for the designation of one’s suyang/siyang adopted children to freely reflect a property owner’s estate planning intentions.
    In the 16thcentury, certain yangban families—diverging from established adoption customs and responding to the government’s policies of promoting Confucian ancestral ritual forms—began to designate as a childless woman’s suyang/siyang adoptee the husband’s family successor, and to bequeath the majority of her estate to that child, together with the request that the child continue to perform rites for both adopted parents after their deaths. But the 1584 case stands apart from this trend; it was a case of a wife’s selecting, separate from her husband’s successor, her youngest stepchild as her adopted child, and of naming him the keeper of her rites. In other words, it was the implementation of an earlier form of adoption, in which the husband and the wife each designated their own successor and heir to their estate.
    That despite this, the suit’s presiding official recognized Ms. Jeong’s passing down of her estate can be understood in light of the fact that, even though Joseon’s government had—since the start of the dynasty—focused intensely on ensuring the spread and establishment of Confucian ancestral ritual forms, developing numerous systems to hasten the process and even creating a new adoption law, it also recognized the coexistence of the preexisting adoption forms suyang and siyang. This case also reveals that for the 16thcentury magistrate directly interfacing with those he governed, providing that one’s choice of adopted child—even if that choice were made on the basis of preexisting adoption practices and according to one’s personal feelings and to one’s own benefit—did not violate the law or disturb the customs of life, respecting and actively acknowledging those adoption choices was a real strategy of ru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