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목 염좌 후 보존적 치료에 관한 유튜브 영상 평가 및 시청자 선호도와의 상관 관계 분석 (Qualitative Evaluation of YouTube Videos on Conservative Treatment after Ankle Sprain and Analysis of Correlation with Preference)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2.08
7P 미리보기
발목 염좌 후 보존적 치료에 관한 유튜브 영상 평가 및 시청자 선호도와의 상관 관계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정형외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57권 / 4호 / 326 ~ 332페이지
    · 저자명 : 이준영, 이현준, 차동혁, 이정호, 이효준

    초록

    목적: 발목 염좌는 가장 흔한 근골격계 부상 중 하나로, 전체 스포츠 손상의 약 25%를 차지하는 손상으로 수상 후 재활에 관한 많은 영상들이 유튜브를 통해 환자들에게 공유되고 있다. 유튜브는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쉽게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영상 제작자들에 대한 검증 과정의 부재로 영상의 정확도 및 신뢰도 문제는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튜브에서 시청 가능한 발목 염좌에 관한 동영상을 평가하고, 영상 평가 점수와 ‘좋아요’ 및 ‘조회’ 수를 이용하여 시청자 선호도 간의 상관 관계 분석을 시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영상 분석을 위해 “발목 염좌”, “발목 운동”, “발목 재활” 단어를 유튜브에서 검색하였다. 한국어로 촬영된 영상만을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조회 수 1만 명 이하, 상업적 목적의 영상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2명의 정형외과 전문의, 1명의 정형외과 전공의 총 3명이 발목 염좌 후 치료와 관련된 총 31개의 영상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개발한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해부학 및 증상, 생역학 및 수상 기전, 영상 화질, 임상 평가 및 신체 검사, 치료, 재활, 예방 및 후유증, 영상의 전반적 평가 등 하위 항목들에 대해 총합 30점으로 평가하였다. 이후 각 평가자 간의 점수를 평균화하여 해당 영상을 평가하였다. 유튜브 영상에 대한 일반인의 관점에서 선호도를 반영하기 위해 좋아요 수 및 조회 수를 분석하였으며, 영상 평가 점수와 해당 영상의 좋아요 수 및 조회 수 간의관계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영상 평가 점수는 평균 9.33점이었다. 하위 항목들의 평균 점수는 해부학 및 증상 0.90점, 생역학 및 수상 기전 0.61점, 영상화질 0.95점, 임상 평가 및 신체 검사 0.6점, 치료 1.41점, 재활 2.39점, 예방 및 후유증 0.89점, 영상의 전반적 평가 1.61점이었다. 영상의 평균 조회수는 50,218.35회, 평균 좋아요 수는 893.78회이었다. 영상 평가 점수와 좋아요 수, 조회 수 간의 상관관계를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론: 현재 유튜브에 게재된 대부분의 영상은 발목 염좌 재활에 대해 양질의 의학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영상 평가 점수와 시청자 선호도 간의 통계학적인 상관 관계는 없었다. 이는 잘못된 의학 정보가 환자에게 전달되고 있으며, 유해할 수 있음을시사한다. 이에 족부 전문의를 포함한 전문가 협의체에서 발목 염좌에 대한 최신 경향의 치료 및 재활 프로토콜을 제시하고, 다양한 경로를 통한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Purpose: Ankle sprains are among the most common musculoskeletal injuries, and many videos have been shared with patients through YouTube. YouTube allows the easy sharing of information, but there are accuracy and reliability issues due to the lack of verification processes for video producers. This study evaluated ankle sprain videos on YouTub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deo scores and viewer preferences using “the number of likes and views”.
    Materials and Methods: For analysis, the words “ankle sprains”, “ankle exercise”, and “ankle rehabilitation” were searched on YouTube.
    Only videos taken in Korean were analyzed, and videos with less than 10,000 views and for commercial purposes were excluded. For 31 videos, two orthopedic surgeons and one orthopedic resident used one evaluation tool to evaluate the video quality with up to 30 points for subcategories. The scores between each evaluator were then averaged to evaluate the video quality. To reflect the viewer preferences, “the number of likes and views” were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deo score and “the number of likes and views” of the video was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The average score for the video was 9.33. The average scores for subcategories were anatomy and symptoms, 0.90; biomechanics and trauma-mechanism, 0.61; imaging quality, 0.95; clinical evaluation and physical examination, 0.61; treatment, 1.41; rehabilitation, 2.39; prevention and after effects, 0.89; and overall video quality, 1.61. The average of “the number of views” was 50,218.35 times, and “the number of likes” was 893.77 times. No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video scores and “the number of likes and views”.
    Conclusion: Most videos posted on YouTube did not provide high-quality medical information on ankle sprain,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video scores and viewer preferences. This suggests that incorrect medical information is being transmitted to patients, which can be harmfu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latest trend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protocols for ankle sprains in an expert council and promote it through various chann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정형외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