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재의 언어로(가) 쓰다-『‘재일조선인 문학사’를 위하여: 소리 없는 목소리의 폴리포니』- (Works Written in (by) the Words of Ab/sence - A Review of A Literary History of Zainichi Koreans: Revealing the Polyphony of Silent Voices -)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9.11
47P 미리보기
부/재의 언어로(가) 쓰다-『‘재일조선인 문학사’를 위하여: 소리 없는 목소리의 폴리포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間SAI / 27호 / 161 ~ 207페이지
    · 저자명 : 신지영

    초록

    본 논문은 『‘재일조선인 문학사’를 위하여: 소리 없는 목소리의 폴리포니』에 대한 서평이다. 이 책은 재일조선인 문학사를 ‘여성’의 글쓰기 행위에서 시작한다는 점, 일본어뿐 아니라 조선어로 창작된 재일조선인 문학을 포괄하고 있다는 점, 재일조선인 문학이 국민국가 문학(한국문학, 일본문학)의 일부로 포섭되거나 소비되는 것에 비판적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문학사를 해체적으로 재구성하는 힘이 있다.
    본 논문은 이 책이 기존의 문학 및 문학사 연구에 어떤 생산적인 파열음을 낼 수 있을까를 중심으로 세 가지 질문을 던진다. 첫째로, 재일조선인 문학이 다른 마이너리티 문학과 어떤 관계를 맺을 수 있을까? 둘째로, 여성의 글쓰기(증언, 구술, 일기 등)를 포괄한 문학사 서술 방식이 현재 한국 및 세계문학이 여성의 증언과 구술을 문학과 여러 방식으로 관련시키는 상황에 어떤 자극을 줄 수 있을까? 셋째로, 이 책의 테마는 계속되는 식민주의와 아시아의 뜨거운 냉전을 한 몸으로 경험하고 품고 있는 존재들을 부각시키는데, 이러한 방식이 어떠한 탈식민주의적 지향을 새롭게 드러나게 할 수 있을까? 본 논문은 이 세 가지 문제의식을 축으로 『‘재일조선인 문학사’를 위하여』 를 비평함으로써 재일조선인 문학의 내적 특질을 기반으로 문학이 혁명이 될 수 있는 조건을 분석하고 재일조선인 문학의 현재적 의미를 명확히 했다.

    영어초록

    This is a review article on A Literary History of Zainichi Koreans: Revealing the Polyphony of Silent Voices written by Song, Hyewon. The book was translated by Song Heyeon herself and published by Somyeong Publishing Company in 2019. Her narrative style in A Literary History of Zainichi Koreans deviates from the conventional ways; rather, it displays the power of creative deconstruction in the following three respects.
    First, it begins the literary history of Zainichi with the writings of women who had no chances and no rights to learn how to express themselves. Secondly, it ranges over the Zainichi literary works written in Japanese as well as in Korean. Thirdly, the Zainichi literary works have been traditionally classified into the categories literature written in the colonized period or in the nation-state period (that is, Korean literature and Japanese literature.), and consumed under these categories. In A Literary History of Zainichi Koreans, this conventional categorization is reexamined and reevaluated afresh, which, finally, makes a creative suggestion for the new way of writing the literary history.
    This book carries out the creative deconstruction of the traditional studies on literature and its history. In the light of its ingenious perspectives, this paper delves into the arguments developed in the book, keeping in mind the three questions below: First, how can the Zainichi literary works be connected with those of other minority groups in writing literary history? Secondly, the new narrative style in the book embraces writings of women (i.e. their testimonies, diaries, oral descriptions and the like) and its inspiring arguments will, it is believed, give a fresh impact to the world literature. In this respect, we have a question as follows: What stimulus do the Zainichi women’s writings provide to Korean literary world and/or World literature and to what extent? Thirdly, the main argument in A Literary History of Zainichi Koreans brings forth the experiences of the beings who suffered in the colonial and/or the hot cold war period. Can the foregrounding of these sufferers and their experiences make afresh the directional nature of decolonization and suggest a new route in its orientation? Based on these three issues in mind, this paper looks into the arguments in A Literary History of Zainichi Koreans, and analyzes the revolutionary conditions inspired in literary works by addressing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Zainichi literature and their comtemporary contribution to the literary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이間SAI”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