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동 유괴 영화의 종교사회학적 접근 -영화 <그놈 목소리>와 <밀양>을 중심으로- (A Critical Approach to Two Korean Child Abduction Films ‘Voice of a Murderer’ and ‘Secret Su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Religi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2.08
33P 미리보기
아동 유괴 영화의 종교사회학적 접근 -영화 &lt;그놈 목소리&gt;와 &lt;밀양&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사회 / 26권 / 2호 / 9 ~ 41페이지
    · 저자명 : 전명수

    초록

    본 연구는 아동 유괴를 다룬 두 편의 한국 영화 <그놈 목소리>와 <밀양>을 종교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한 것이다. 이들은 종교영화는 아니지만 인간의 고통이나 용서와 같은 문제를 기독교 신학의 측면에서 음미하는 단서를 제공해준다는 점, 두 영화에서 서사의 기반이 되고 있는 아동 유괴는 그것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이들 작품을 종교코드만으로 읽어서도 안되고(밀양), 사회를 대상으로 유괴범 잡기(그놈 목소리)라는 측면에서만 접근해서도 안된다고 본다. 본고는 종교가 개인의 실제생활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함축적으로 보여준 두 영화의 메시지에 주목하고, 사회적 맥락에서 종교의 소통방식, 특히 일상에서의 교회의 역할과 존재의미를 비판적으로 고찰해 본 것이다.
    이 두 편의 영화는 유괴라는 사회적 영향력이 큰 사건 앞에서 교회가 전혀 도움을 주지 못할 뿐더러 조급한 위로로 그 고통을 경감시키는 데에도 실패했음을 보여준다. 유괴의 경우 시급한 것은 위로가 아니고 고통에의 참여이며, 문제 해결을 위해 전교회적으로 힘을 합치는 것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교회가 소홀히 했던 신자들의 어려움에 참여하여 함께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바로 이웃에 대한 관심과 지역사회의 협동을 제고하는 길이거니와, <그놈 목소리>와 <밀양>은 이 점을 역설적으로 보여준 작품들이다. 종교사회학적인 시각에서 볼 때 두 영화는 앞으로 기독교 교회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iming at reconsidering church’s role in Korea through two Korean films Voice of a Murderer and Secret Su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religion. Though the two films are not religious film, they are works focusing on the parents’ suffering caused by the death of abducted child and forgiveness of the criminal. There are serious conflicts between the victim’s parents and providence of God, because suffering is given to people by God for their own good, and forgiveness does not depend on the abductor's repentance and victim's willingness but only God. In this sense, the two films attempt to reveal the hardships the characters experienced in their religious belief, but it does not seem to be right to consider them only from the religious perspective overlooking abduction motive. Regarding that abduction has greatly impact on the society, I argue that a sociological reflection can be more significant to cope with the tragedies than having theological reflections on suffering and forgiveness. By repeating theological messages, those churches the films depict seems to fail to console the broken hearts and making effort to resolve the problem.   It is in this sense that churches need to move a little away from dogma and toward setting religion in the context of daily lives, to become more relevant to society. The two films imply Korean churches the direction they should hea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