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의 대지진과 재일조선인: 일본사회를 대상화하는 주체적인 목소리 (The Great Earthquake in Japan and Zainichi Koreans: Independent Voices Critiquing Japanese Societ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9.08
24P 미리보기
일본의 대지진과 재일조선인: 일본사회를 대상화하는 주체적인 목소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일본연구 / 32호 / 145 ~ 168페이지
    · 저자명 : 김계자

    초록

    본 논문은 근대일본에 대지진이 발생했을 때 일본사회를 대상화하여 재일조선인의 주체적인 의사표명과 비평이 나타난 재난시를 통시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먼저, 1923년 간토대지진 때 일어난 조선인 대학살을 비판하며 한일 프롤레타리아문학 연대를 이야기한 백철과, 학살된 사람들의 영혼의 목소리를 전후의 시점에서 불러내어 억압된 기억을 깨우려 한 윤민철의 시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재일조선인이 대지진의 피해를 많이 입은 1995년 한신·아와지대지진 때 간토대지진 당시처럼 조선인 학살도 일어나지 않았고 유언비어도 줄어든 달라진 일본사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동시에, 그러나 아직 일본인과 재일조선인 사이에 가로놓인 경계를 안타까워하는 노진용의 시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최근에 일어난 2011년 동일본대지진이 일어난 때부터 쓴 시를 모아 7년이 지난 시점에서 시집으로 펴낸 김시종의 시를 통해, 희미해져 가는 재난의 기억을 다시 불러내어 공동체적 연대를 모색하고자 한 의미를 생각해 보았다.
    일본에서 일어나는 재난은 일본인과 재일조선인이 같이 겪어내야 하기 때문에 재난의 피해와 극복을 둘러싸고 일본인과 재일조선인을 구별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비대칭적인 권력관계 속에서 수난과 차별의 역사를 지내온 재일조선인의 재난에 대한 기억의 회로는 일본인과는 다른 문제가 얽혀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동일본대지진의 희생자를 애도하는 김시종의 시에 재일조선인의 집단적 죽음에 대한 기억이 기저에서 반향하고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일본사회에서 마이너리티로 살아가는 재일조선인에게 대지진 같은 재난은 이중의 고난을 가져온다. 그렇기 때문에 ‘재난공동체’라는 말이 갖는 현실적 무게도 더할 수밖에 없다. 억압되고 봉인된 재난의 기억을 풀어내고, 공동체적 연대를 통해 상생의 길을 모색하고자 한 재일조선인의 주체적인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때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great earthquakes of modern Japan, focusing on the independent voices of Zainichi Koreans, which reveal critical viewpoints toward Japanese society and appeals to the solidarity of the “Disaster Community.” First, there was the massacre of Koreans after the Great Kanto Earthquake in 1923. Baek Chul criticized it and at the same, proposed proletarian literary solidarity between the Japanese and Koreans. In the postwar years, Yun Min-chul addressed this Korean massacre. He gave voice to the massacred people and intended to awaken repressed memories. Secondly, the Great Hanshin-Awaji Earthquake occurred in 1995, where many Zainichi Koreans died. Fortunately, there was no Korean massacre at this time. Instead, there appeared to be cooperation to overcome the disaster between the Japanese and Koreans. However, as the urgent situation became calm, there reappeared a divide between the two groups. Ro Jin-yong represented his memories of it in his poems. Later,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occurred in 2011, whose restoration is currently underway. Kim Shi-jong published his collection of poems in 2018, which was after seven years after the earthquake. He is reminded of the memory of disaster and ponders what to do for the solidarity of community. It is said to be the very calling of his poetry.
    In Japanese society, Zainichi Koreans struggle to endure the double hardship of disaster and be in the position of the minority. It is time to listen carefully to the voices of Zainichi Koreans to take off their repressed and sealed memories of disaster and seek coexistence between the Japanese and Kore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