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목은 이색(1328~1396)의 형세문화론적 화이관과 삼한사(三韓史) 인식 (Mogeon Yi Saek(1328~1396)'s Understanding of the Hua-Yi Discourse and the History of Samhan(三韓史))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2.12
28P 미리보기
목은 이색(1328~1396)의 형세문화론적 화이관과 삼한사(三韓史)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201호 / 53 ~ 80페이지
    · 저자명 : 김성환

    초록

    이색(1328~1396)의 고려왕조사로서 삼한사 인식은 조선씨→기자→삼국→고려로 이어지는 것이었다. 그는 3대 부계로 구성된 단군신화를 알고 있었지만, 신이와 괴력난설의 중간 지점인 비괴(秘怪)로 이해했다. 이것은 그에게 고조선의 건국시조를 단군으로 지칭하지 못하고, 조선씨(朝鮮氏)로 얼버무리게 했다. 그 대략은 “당요 무진년에 조선씨가 건국하여 천여년을 지속한 후 기자가 계승했다“는 것이었다. 그것은 또 ”단목(檀木) 아래로 내려온 신인(神人) 단군을 국인(國人)이 추대하여 왕이 되었다“는 『응제시』 유형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의 이해라고 파악된다. 고려 말부터 성리학을 수용한 신흥유신들 사이에서 단군전승의 합리적인 인식을 위한 노력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그는 고려 전·중기의 다원적 천하관이 원과의 관계 속에서 형세문화론적 화이관으로 변한 시대를 살았다. 두 명의 천자가 공존하여 천하관의 중첩을 경험하기도 했다. 그런 가운데 기자 인식은 소중화와 불신론(不臣論)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에게서는 동아시아 보편문화인 사대관계에서의 소중화론과 독자적인 영역과 문화를 지칭하는 불신론이 공존할 수 있었다. 그 중심에는 고조선(조선씨)을 문화적인 측면으로도 확대·이해하여 유교적 문명론을 지향하는 ‘삼한인수군자국’에 대한 관념이 자리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Examining Yi Saek's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one can see his outlook on the history of Samhan as one of progression from the Joseon-ssi(朝鮮氏) to the Goryeo nation itself. He knew of the Tangun mythology involving three generations of male lineage, but understood this as the intermediate point between the divinely mystical and chaos. This reflects Yi Saek's efforts to create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transmission of the Tangun legend among a group of literati who expropriated Neo-Confucianism toward the end of the Goryeo period.
    Concerning Gija, this can be summed up by the Goryeo conception of itself as "Little China" and it's "Anti-Vassal Ideology". This was the result of Goryeo's consciousness of its separate existence originating with Ancient Joseon, and manifested as one of several logical arguments designed to maintain Goryeo's independence. This concept resulted in an expanded consciousness of Ancient Joseon from a cultural perspective; at its core lay the theory of "the benevolent nation of Samhan".
    Yi Saek understood the Joseon-ssi not merely through a historical context, but also a cultural one. In his opinion, because Joseon represented a "nation of benevolence", its anti-vassal ideology designating an independent territory and culture could co-exist with the theory of "Little China" as represented by Gija's worship of and loyalty to power, both ideologies involving a universal East Asian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