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칠궁 정당 내 木祭具와 감실 내 신주 관련 부속구의 종별 특징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eremonial Wooden Artifacts in Chilgung Shrine and Items Related to the Sinju (Spirit Tablet) in the Gamsil (Caske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5.04
32P 미리보기
칠궁 정당 내 木祭具와 감실 내 신주 관련 부속구의 종별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53호 / 40 ~ 71페이지
    · 저자명 : 장경희

    초록

    본 연구는 조선 후기 국왕의 私親에게 제향을 올린 사당인 七宮 正堂 내 神主를 비롯한 각종 기물과 의장의물의 종별 특징을 알아보려는 데 있다. 칠궁은 禧嬪 장씨의 大嬪宮, 仁嬪 김씨의 儲慶宮, 淑嬪 최씨의 毓祥宮, 靖嬪 이씨의 延祜宮, 暎嬪 이씨의 宣禧宮, 綏嬪 박씨의 景祐宮, 純獻皇貴妃 엄씨의 德安宮이다. 칠궁은 원래 각각 별도로 규모있게 영건되어 의례가 거행되었으나 1908년 순종이 조선 왕실의 제사를 정비하는 칙령을 내려 육상궁에 다섯 별궁이 합사되었고 1929년 덕안궁 정당까지 이건되어 칠궁으로 완성되었다. 이러한 칠궁에 대해 그동안 宮園制 등 제도 정비나 조성 배경, 건물 구조 및 감실 등의 역사적 변천이 주로 연구되었고 龕室 내부에 핵심 의물인 신주나 정당 내부에 배치된 기물이나 설치된 의장의물 등은 주목한 적이 없어 본고에서 이것들을 처음으로 다룬다는 데에 연구사적 의의가 있다.
    칠궁 정당 내부의 木祭具나 鋪陳諸具의 종별과 배치는 宗廟나 景慕宮의 것과 대체로 같은데 특히 유빈 박씨의 사후 1824년 경우궁을 조성할 당시의 전모를 기록한 『의궤』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현존 유물의 경우 칠궁 정당 가장 안쪽의 감실에 神主와 兩窓櫝 및 관련 排設諸具, 그 앞에 神榻과 踏掌, 神倚, 祭床과 香卓 및 灌地筒이 배치되어 있으나, 기록과 달리 冊印欌을 비롯하여 神簾, 揮帳, 扇蓋 및 각종 포진제구는 대부분 훼손되거나 배치되지 않아 향후 이에 대한 복원이 필요하다. 감실 내부의 신주는 기록된 대로 韜로 싸고, 藉를 깔고 櫝座에 넣고 盖를 덮은 다음 양창독에 넣고 그 아래에는 포진제구를 2중으로 깔고 배치되어 있었다. 다만 현존 유물 중 비단으로 제작한 도와 자, 그리고 양창독 내부에 바른 紗羅는 직물의 특성상 훼손되거나 탈색 변색되는 등 포진제구는 온전한 것이 거의 없어 개보수가 요구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kinds of ritual goods and objects, including Sinju (spirit tablet), which are placed in Chilgung, the seven shrines each of where rituals were held to the king’s birth moth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Chilgung refers to Huibin Jang’s Daebingung, Inbin Kim’s Jeogyeonggung, Sukbin Choe’s Yuksanggung, Jeongbin Yi’s Yeonhogung, Yeongbin Yi’s Seonhuigung, Yubin Bak’s Gyeongugung, and Gwibi Eom’s Deogangung.
    Chilgung (the Seven Shrines) was originally constructed as a set of individual shrines, each serving as the site of separate ritual ceremonies. However, in 1908, following Emperor Sunjong’s directive to reorganize royal ancestral rites, five of the shrines were consolidated into Yuksanggung. Later, in 1929, with the addition of Deogangung, the current configuration of Chilgung was completed.
    Until now, research on Chilgung Shrine has primarily focused on historical aspects such as legal frameworks, the background of its construction, architectural structure, and the Gamsil (casket for the spirit tablet). However, ceremonial objects—including the Sinju (spirit tablet)—that are housed within the buildings and the Gamsil have remained largely unexamined.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represents the first comprehensive investigation into these ritual artifacts.
    The types and arrangements of wooden ritual utensils and other various items within Chilgung Shrine closely resembled those found in Jongmyo Shrine and Gyeongmogung. This similarity is corroborated by the Uigwe (Illustrated Protocols of State Rites) compil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Gyeongugung in 1824. Existing ritual artifacts include the Sinju (spirit tablet), a two-windowed spirit tablet casket (Gamsil), and related ceremonial items. In front of the Gamsil were placed a table for the spirit tablet, a ritual table, an incense burner table, and a coffin container. Notably, as recorded in the Uigwe, the spirit tablet was first placed in a triple-tiered device lined, covered, and wrapped with silk, then positioned on a double-layered mat, and finally enshrined on a wooden pedestal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casket.
    However, contrary to the records in the Uigwe, the existing artifacts do not include the silk cover or mat, both of which require restoration. Moreover, items made of silk or paper have suffered damage or discoloration and are therefore in need of conserv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