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비특수체육교사 대상 서비스러닝 교과목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Action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Service-Learning Course for Pre-service Adapted Physical Educators)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4.12
15P 미리보기
예비특수체육교사 대상 서비스러닝 교과목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특수체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특수체육학회지 / 32권 / 4호 / 123 ~ 137페이지
    · 저자명 : 이계영, 양한나

    초록

    본 연구는 예비특수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서비스러닝 교과목을 운영하고 그 결과를 차년도 수업에 환류ㆍ적용한 3년간의 과정을 분석한 실행연구이다. 서비스러닝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특수체육교육과 재학생 중 ‘지적장애스포츠(발달장애스포츠)’ 과목을 수강한 학생이며, 2022년 13명, 2023명 24명, 2024년 26명이고 학년은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서비스 수혜자는 충청남도 C시에 있는 J 주간보호센터와 D 주간활동서비스기관을 이용하는 성인 발달장애인이며, 이들은 학기당 10주간, 주 1회, 60분 동안 학교를 방문하여 여러 가지 유형의 신체활동을 하였다. 연구를 위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교과목과 관련된 여러 가지 유형의 문서를 분석하였고 이러한 실천적 탐색을 통해 최종적으로 특수체육 서비스러닝 적용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서비스러닝 시행 전 사전 교육으로는 서비스 대상자 이해, 국가 정책 및 지역사회 여건 분석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서비스러닝 시행 중 교수자와 동료학생들은 서로 긴밀하게 의사소통을 하고 시연 기회 제공, 팀 활동 촉진, 지속적인 피드백과 동료평가의 시간을 가져야 하며 시행 종료 후 성찰의 과정에서는 학습 및 봉사의 실효성 확인이 요구되었다. 그 외에 대학생의 사회적 책임의식 고취에 도움이 되는 과제 제시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esents a comprehensive model for improving service learning courses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based on a three-year practical exploration from 2022 to 2024. The research focused on enhancing the service learning experience for both providers (students from the Adapted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and beneficiaries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local day care centers). And they visited the university for 10 weeks per semester, once a week, and 60 minutes for various types of physical activities. For this study, documents related to the subject were analyzed over a three-year period from 2022 to 2024. Through this practical exploration, a comprehensive class model for adapted physical education service learning was developed. The findings revealed several key components for an effective service-learning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Prior to engaging in service learning, students require comprehensive training to understand their service recipients, analyze relevant national policies, and assess community conditions. Second, during service learning, the program should emphasize close communication among instructors and students, provide ample demonstration opportunities, promote team activities, and incorporate continuous feedback and peer evaluation. Third, Upon completion of the service learning experience, it is essential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both learning and service through a reflective process. Finally, The program should include tasks and activities that foster students'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특수체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