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산 정약용의 수령정치론- 『牧民心書』를 중심으로- (Dasan Jeong Yak-yong’s Suryeong Political Theory With Focus on Mongminsimseo)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2.12
38P 미리보기
다산 정약용의 수령정치론- 『牧民心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103호 / 473 ~ 510페이지
    · 저자명 : 홍해뜸

    초록

    이 글은 정약용이 구상한 수령상과 수령정치의 방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후기 사회 변동의 폭은 더욱 커졌고 그 결과 향촌사회에서 수령의 책무는 더욱 중요해졌다.
    정약용은 『『목민심서』에서 수령상과 수령정치의 방향을 새롭게 설정하였다. 정약용은 수령의 위상과 역할을 규모의 차이가 있을 뿐 국왕과 같은 존재이자 더 나아가 제후로 인지하였다. 정약용은 군현의 규모를 옛 봉건제의 제후국으로 간주하고 통치의 규모를 제후국에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아울러 제후로서 역할을 하기 위한 수령의 자격과 조건을 궁리하였다. 정약용은 수령제 세습의 필요성을 주장하면서, 수령 임기를 6년으로 늘릴 것을 주장하였다.
    제후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수령의 권한 확대를 추구하였다. 이를 위해 수령의 권한이 침해받지 않기를 기대하였다. 이에 조선의 감사제를 비판하며, 감사제가 수령의 재결권과 자율성을 저해한다고 보았다. 특히 정약용은 청나라 고염무의 논의를 인용하며 감사가 시행하는 고적제를 비판하였고, 새로운 고적제를 만들었다. 정약용은 감사에 의해 수령과 중앙조정의 연결이 막혀있는 현실을 비판하며, 수령이 중앙조정에 바로 보고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정약용은 수령의 지위를 제후의 반열로 올려 군현제에 봉건적 요소를 결합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에 걸맞은 수령정치의 규모와 영역을 재조정하였다. 수령에게 부여된 법적 책무였던 수령칠사의 한계를 지적하였으며 수령의 적극적 역할을 기대하였다. 정약용은 수령을 국왕의 명령을 반포하고 시행하는 자로 규정하면서도 상황에 따른 수령의 문제해결 및 변화를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이뿐 아니라 정약용은 『『주례』를 활용한 군현 통치 방안을 마련하였다. 통치 규모와 기준을 『『주례』에서 인용하였고, 『『주례』에서 제안하는 통치 방식의 실현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수령의 군현통치 영역을 근본적이고 개혁적인 방향으로 전환한 것이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idea of Suryeong and trajectory of Suryeong’s governance envisioned by Jeong Yak-y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social changes became dynamic and widespread, a higher level of responsibility was asked of Suryeong in rural regions. In an attempt to resolve the social conflicts that aros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o implement a new kind of politics by Suryeong, Jeong Yak-yong compiled Mongminsimseo similar to the national law, which consisted of 6 codes or jeon on the politics of Suryeong.
    In Mongminsimseo, Jeong Yak-yong newly suggested the idea of Suryeong and trajectory of Suryeong’s governance. He regarded the representation and role of Suryeong almost as high as those of a king:He almost considered Suryeong as jaehu. He saw prefecture as an equivalent of the Fengjian state from the feudal period and saw the need to match the scope of governance to that of a Fengjian state. He also suggested the qualifications and conditions for Suryeong to enact the roles of a jaehu. Seeing the necessity of hereditary succession, he insisted on setting the term of office to 6 years. He believed that hereditary succession would positively influence Suryeong’s election of talented individuals.
    To promote the role of Suryeong like that of a jaehu, Jeong Yak-yong called for expanding the authority of Suryeong. First, he proposed to enlarge the scope of Suryong’s role without affecting his authority. He was critical of the gamsa system of Joseon dynasty, which limited Suryeong’s right to make decisions and his sovereignty. Jeong Yak-yong’s criticism of the monitoring or gojeok system by gamsa was based on the discussion by Gu Yanwu from the Qing Dynasty, based on which he created a new system. By creating a new gojeok system, he tried to protect Suryeong’s autonomy. Jeong Yak-yong also criticized how the auditor blocks the communication between Suryeong and the central government, and argued that Suryeong should have a right to report directly to the central government.
    Jeong Yak-yong attempted to incorporate some elements of the Fenjian system into the prefecture system by raising the status of Suryeong to that of a Fenjian lord. Accordingly, he reframed the status of Sureyong as well as the scope and trajectory of Suryeong’s governance. He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suryeongchilsa, the legal responsibility assigned to them, and insisted Sureyong to play a more proactive role. While he defined Suryeong as someone who would promulgate and enact king’s orders, he also did not limit Suryeong’s authority to judge and act based on the situation, showing the importance of the solutions and changes initiated by Suryeong. Along with his plan to expand the Suryeong politics, Jeong Yak-yong used Rites of Chou to devise the ways of governing counties and prefectures. He cited the scope and standard of governance as suggested in Rites of Chou, and sought to implement the method of governance proposed in the text. His attempt can be interpreted as an effort to fundamentally transform Suryeong’s domain of governance based on the county and prefecture and to enlarge Suryong’s role from the suryeongchil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