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木齋 洪汝河의 저술과 문예의식 (Mokjae(木齋) Hong Yeo-ha(洪汝河)’s Writings and Literary Consciousnes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2.09
37P 미리보기
木齋 洪汝河의 저술과 문예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82호 / 291 ~ 327페이지
    · 저자명 : 양승호

    초록

    17세기는 밖으로 동아시아의 질서가 재정립되고 있었고, 안으로는 전란의 극복을 위한 국가 기반의 재정비라는 대명제 속에 매우 혼란스러운 시기였다. 이 시기 목재는 주자와 퇴계의 성리학을 영남남인의 독창적 사상으로 계승 발전시키는데 중심에 서 있던 인물이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목재의 사상과 가치관이 투영된 그의 저술을 검토하지 않을 수 없고, 그 저술에 반영된 문예의식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당시 조선 문단을 주도하고 있는 문예의식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목재가 12권 6책의 문집에 남겨 놓은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통해 그의 문학적 재능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었고, <彙纂麗史>와 <東國通鑑提綱>이라는 두 권의 굵직한 역사서를 통해 그가 혼란한 시기에 냉철한 안목으로 시대의 흐름을 읽고 있었으며, 국가와 백성을 위해 필요한 역사의식과 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목재의 문예의식은 道本文末의 인식 계승, 明理의 탐구와 條理의 강조, 存心養性을 통한 文의 體現, 經世意識을 통한 治世之文의 具現으로 귀결할 수 있었다. 이에 17세기 조선 문단을 주도하고 있는 문예의식에 대한 대략적인 이해와 영남남인들만의 독창적 문예의식 또한 검토해 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17th century was a very chaotic period under the great proposition that the order of East Asia was being reestablished outside,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 base for overcoming the war inside. During this period, Mokjae(木齋) was a central figure in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Neo-Confucianism of Juja(朱子) and Toegye(退溪) as the original ideas of the Yeongnam Namin(嶺南南人). Therefore, in this thesis, it is necessary to examine his writings that reflect the ideas and values of Mokjae(木齋) and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belief that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consciousness reflected in the writing wa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literary consciousness that was leading the literary circles of Joseon at the time.
    Through the works of various genres that Mokjae(木齋) left in the writings of 12 volumes and 6 books, we could see his literary talent and through two large historical books, <彙纂麗史> and <東國通鑑提綱>, he was reading the flow of the times with a cool eye in a time of confusion and it can be seen that he was deeply concerned about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tasks necessary for the country and the people. Through this, the literary consciousness of Mokjae(木齋) could be concluded as the knowledge succession of Dobonmoonmal(道本文末), the investigation of Myeongri(明理) and the emphasis of Jori(條理), the personification of literature through Jonsimyangseong(存心養性), and the implement of the writing that govern the world through the Gyeongse(經世) consciousness. Accordingly, it was possible to examine a rough understanding of the literary ritual that led the literary arts of Joseon in the 17th century and the unique literary consciousness of the Yeongnam Namin(嶺南南人).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