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가정책과 법이 양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생명의 복음에 근거하여 한국의 가족계획 정책과 모자보건법을 성찰하며 (The Effects of National Policies and Laws on the Formation of Conscience: Reflections on Korea’s Family Planning Policy and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Based on the Evangelium Vitae)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7.03
44P 미리보기
국가정책과 법이 양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생명의 복음에 근거하여 한국의 가족계획 정책과 모자보건법을 성찰하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전망 / 196호 / 151 ~ 194페이지
    · 저자명 : 유혜숙

    초록

    한국 정부는 인구증가에 따른 빈곤을 해결하기 위해 1960년대부터 출산억제 내지 금지 차원의 가족계획정책을 실시하였다. 1970년대에 이르러 미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 낙태를 합법화하기 시작하자, 한국 정부는 모자보건법 제14조 인공임신중절 수술의 허용한계를 통해 합법적인 낙태의 길을 열어놓았고, 출산억제를 위해 불법 낙태 역시 묵인해왔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초저출산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정부는 전과는 반대로 출산장려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하였고, 최근에는 그동안 묵인해왔던 불법 낙태 처벌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하였다. 더구나 일부 의료계와 여성계 반대에 부딪혀 이마저도 철회하고 말았다.
    이런 시점에서 우리는 한국의 국가정책과 법이 얼마나 근시안적으로 마련되고 추진되었는지 성찰해야 하고, 국가정책과 법의 영향력이 얼마나 대단한지 진단해야 한다. 정부는 불과 반세기 전에는 공공연하게 출산금지정책을 추진하면서 낙태를 묵인해오더니 이제는 반대로 출산장려정책을 추진하면서 낙태죄 처벌을 강화하겠다고 말한다. 하지만 사람들은 더 이상 출산금지정책 이전처럼 자녀를 출산하지 않고, 낙태를 하면서도 별다른 죄의식을 느끼지 못하며, 낙태 합법화를 주장한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이런 주장의 저변에는 국가가 주도적으로 실시한 가족계획정책과 모자보건법이 자리한다. 오랜 세월 국가가 주도적으로 실시한 가족계획정책과 모자보건법 탓에 낙태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인식 자체가 많이 달라졌고, 그런 탓에 죄의식 역시 반감(半減)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회칙 『생명의 복음』(Evangelium Vitae)에 근거하여 한국의 가족계획정책과 모자모건법이 야기한 낙태에 대한 인식과 실태의 문제점을 성찰하면서, 잘못된 국가정책과 법이 인간의식과 사회실태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진단하였다. 특히 잘못된 국가정책과 법이 인간의 올바르고 선한 윤리적 선택을 가로막고, 여기서 더 나아가 잘못된 윤리의식, 곧 잘못된 양심을 형성하여 인간존재의 근원적인 차원에까지 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한국의 가족계획정책과 모자모건법이 야기한 낙태에 대한 죄의식의 부재와 낙태 만연 현상에 근거하여 제시하면서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영어초록

    In order to solve problems of poverty caused by increased population, the Korean government started implementing the family planning policy in the 1960s to prevent or ban births. In the 1970s, while many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began legalizing abortion, the Korean government allowed legitimate abortions through a limited tolerance for artificial abortion surgeries under Article 14 of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and tolerated illegal abortions to suppress the birth rate. However, as the country’s ultra-low birth rate was recognized as a serious problem after the 2000s, the government began to issue birth promotion policies to go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recently announced that it would strengthen the punishment for illegal abortions that had previously been tolerated. In addition, some medical and women's objections have been withdrawn.
    At this point, we should reflect on the short-sightedness apparent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nd laying out Korea’s national policies and laws in order to diagnose the true impact of such national policies and laws. Only half a century ago, the government publicly promised to formulate an abortion policy, while it now opposes abortion by promoting a childbirth promotion policy. However, following these abortion policies, people no longer have to give birth, nor do they feel guilty about undergoing an abortion but rather insist on the legalization of abortion.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is, but at the base of this argument are the state-led family planning policy and Mother and Child Health Law. These initiatives have been conducted by the government for many years, helping to change the perception of abortion itself and helping to significantly lessen the associated sense of guilt.
    In this article, I reflect on the problems tied into the recognition and reality of abortion caused by Korea’s family planning policy and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based on Pope John Paul Ⅱ’s Evangelium Vitae, and I propose that this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human consciousness and on the social reality. In particular, I review the fact that inappropriate national policies and laws interfere with the proper and good ethical choices human beings make. Furthermore, I search for a solution to an erroneous ethical consciousness, that is, the erroneous conscience, that has arisen from the absence of guilt and the prevalence of abortions resulting from Korea’s family planning policy and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전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