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동(紫東) 이정모(李正模)의 한주(寒洲) 성리설(性理說) 수용 과정과 심설(心說) 논변 (A Process of Accommodating Hanjou Seonri-seol and Discourse on Mind Theory of Jadong Lee Jeong-mo)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1.08
23P 미리보기
자동(紫東) 이정모(李正模)의 한주(寒洲) 성리설(性理說) 수용 과정과 심설(心說) 논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70호 / 7 ~ 29페이지
    · 저자명 : 전병철

    초록

    19세기 중기 경남 의령 출신인 자동(紫東) 이정모(李正模, 1846-1875)는 삼십 년의 삶을 살았다. 그런 짧은 생애에도 불구하고 한주학파(寒洲學派)에서 주문팔현(洲門八賢)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스승인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 1818-1886)이 그의 죽음을 애통해한 기록이나 동문들이 그를 추억한 내용을 통해 이정모는 짧은 생애를 살았지만 공자(孔子) 문하의 안회(顔回)처럼 뛰어난 덕행으로 인해 스승과 동문의 존중을 받았음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이 글은 이정모의 심설(心說)을 이해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그런데 그가 한주의 문하에 나아간 지 3년도 채 되지 않아 별세했다. 그러므로 『자동집』에 남아 있는 저술들은 그가 정립한 원숙한 수준의 학설이기보다, 모색하는 과정에서 고민하고 탐구한 내용을 담고 있다. 게다가 문집의 내용에서 심설에 관한 자료가 매우 적다. 이와 같은 자료적 한계를 전제한 가운데, ‘명덕설(明德說)’과 ‘심위태극설(心爲太極說)’의 두 명제를 통해 이정모의 심설에 대해 가늠할 수 있는 윤곽을 파악하려 했다.
    이정모는 심통성정(心統性情)의 관점에 근거하여 명덕을 심(心)으로 파악했으며, 이것은 『대학장구』의 주자(朱子) 주석에서 “명덕은 사람이 하늘로부터 얻은 것으로, 허령불매하여 중리(衆理)를 갖추고서 만사(萬事)에 응대하는 것이다[明德者 人之所得乎天 而虛靈不昧 以具衆理 而應萬事者也].”라고 해석한 것에 근거했다. 이런 관점에 근거해 정재규(鄭載圭)와 허유(許愈)가 주리(主理)의 관점에서 명덕을 심(心)으로 보지 않고 이(理)로 해석하는 설을 논박했다.
    이정모는 1872년 여름에 허유와 곽종석(郭鍾錫)을 따라 성주로 가서 처음으로 한주에게 인사를 올렸다. 하지만 그는 한주의 성리설을 즉각적으로 수용할 수는 없었다. 1873년에 심위태극(心爲太極)의 해석에 관해 허유와 논변하고 한주에게 질의한 내용을 살펴본다면, 그는 이때까지도 심즉리설(心卽理說)이 아니라 심합이기설(心合理氣說)의 관점을 독실하게 믿었다. 그런데 한주의 권유에 의해 곽종석의 저작인 『지의록(贄疑錄)』을 읽고 난 후, 그는 심즉리설(心卽理說)에 대한 의구심이 풀리게 되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1874년 겨울에 계모 안씨(安氏)의 상을 당해 삼년상을 지내던 중에 병을 얻어 이듬해에 별세했다.
    이처럼 이정모가 한주 성리설을 수용한 계기까지는 확인이 가능하지만, 그 이후의 계승과 발전을 논할 수 없는 점이 무척 아쉽다. 그런데도 이정모가 ‘한주팔현(寒洲八賢)’에 꼽히는 까닭은 그가 서른이라는 짧은 생애 동안 이룩한 학문과 덕성이 오랫동안 동문과 후세 사람들에게 깊은 감동을 주었기 때문이라고 이해된다. 그가 죽는 순간까지 학문에 대한 생각을 놓지 않았던 사실을 허유의 증언을 통해 생생하게 볼 수 있다. 이정모가 서른의 나이에 별세했지만, 허유는 그의 죽음을 요절이 아니라 군자의 올바른 마침[考終]이었다고 표현했다.

    영어초록

    Jadong Lee Jeong-mo (1846-1875) who was from Uiryeong, Gyeongnam, during the mid-18 century lived a life of 30 years. Notwithstanding such a short life, he was considered as one of Jumunpalhyeon (8 wise men in the state) in the Hanjou academic faction. Looking through the record of his teacher, Hanjou Lee Jin-sang (1846-1875), expressing painful sorrow on Lee Jeong-mo’s death or contents of reminiscence from his colleagues, it would be suffice to say that Lee Jeong-mo earned the respect of his teacher and colleagues based on outstanding virtuous conduct like An Hoe (顔回), a under-study of Confucius in his short life.
    This article is written for better understanding mind-theory of Lee Jeong-mo. But he passed away less than 3 years studying under Lee Jin-sang. Therefore, the writings remained in the Jadong Collection contain the contents that he had contemplated and explored in the process of searching rather any academic principles in matured level of academic field that he established. Furthermore, with respect to the contents of collection of writings, there is very little data related to the mind-theory. With the premises on limitation of such data, the effort has been made to figure out in outline for the nature of mind of Lee Jeong-mo through the two premises of ‘righteous virtue theory’ and ‘mind in reason-theory’.
    Lee Jeong-mo understood righteous virtue as the mind based on the point of view of Simtongseongjeong (mind reiterates personal attributes) and it has the foundation on the Zhu-xi annotation of Daehakjanggu (大學章句). And. Based on this point of view, He rebutted the theory of Jeong Jae-gyu and Heo Yu that interpreted righteous virtue in the point of view of Juri (main reasoning) for the mind but to consider it as reasoning.
    In the summer of 1872, Lee Jeong-mo went to see Hanjou along with Heo Yu and Gwak Jong-seok for greetings. However, he could not instantly accommodate the Seongriseol (Neo-Confucian theory) of Hanjou. In 1873, he had the discussion with Heo Yu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Simwitaegeuk (心爲太極), and when taking a look at the contents of his inquiries to Hanjou, he believed firmly on the point of view of Simhapigi-seol (心合理氣說), not Simjeukri-seol (心卽理說) up to this point of time. Nonetheless, with the recommendation of Hanjou, he read Jiui-rok that was the work of Gwak Jong-seok, and then he seemed to have the turningpoint to relieve his suspicious mind on Simjeukri-seol. However, soon thereafter, in the winter of 1874, his, mother-in-law Lady An passed away and he was in the three-year mourning service period, but became ill and died in the following year.
    As such,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starting point for Lee Jeong-mo to accommodate Hanjou Seonris-eol, but it is regrettable that the succession and advancement thereafter would not be available to discuss. Even then, the reason that Lee Jeong-mo is considered to be a ‘Hanjou Palhyeon’ could be accountable to the fact that he left profound inspiration for his colleagues and people of next generations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with his academic endeavors and virtuous deed that he accomplished in his short life of 30 years. Through the testimony of Heo Yu, it was rather clear and visit that he did not relinquish the thought on academic aspect until his fading moment. Heo Yu expressed that Lee Jeong-mo passed at the young age of thirty, but it was not the premature death but the righteous death of a virtuous m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