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하소설에 나타나는 부모-자녀 관계 연구-잘못한 자녀에 대한 부/모의 태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lationship of Parents and Children in River-novels -Focusing on the attitude of the father/mother to the wrong child)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9.12
35P 미리보기
대하소설에 나타나는 부모-자녀 관계 연구-잘못한 자녀에 대한 부/모의 태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국문학 / 189호 / 269 ~ 303페이지
    · 저자명 : 한길연

    초록

    본고에서는 대하소설 속 잘못한 자식에 대한 부모의 태도 차이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부성과 모성의 특성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모 모두 현철한 인물로 등장하는 <유씨삼대록>의 유우성과 이부인, <완월회맹연>의 소희량과 주부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옥원재합기연>, <임씨삼대록>, <조씨삼대록> 등의 사례들도 보조자료로 활용하였다. 잘못한 자식에 대한 부/모의 태도 차이를 보면, 아버지는 심판자의 위치에서 일방적이고 독단적인 지시를 내리고, 공무로 인해 바쁘고 성격이 소활하기도 하여 자식이 잘못할 것을 짐작하면서도 방치하며, 자식의 잘못을 알게 되면 태장(笞杖) 등의 폭력적 방법을 주로 동원한다. 반면, 어머니는 자식의 죄를 자신이 대신 사죄하거나 자식에 대한 연좌로 쫓겨나기도 하고 자식들과의 긴밀한 상의를 통해 일을 처리하는 등의 상호 관계적인 모습을 보이고, 자식이 잘못할 것을 짐작하고는 늘 주도면밀하게 이를 탐지하며, 자식의 잘못을 알게 된 이후에는 말로써 설득하려는 등의 비폭력적 계도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제 양상을 통해 볼 때, 대하소설 속 잘못한 자녀에 대한 부/모의 태도 차이는 일차적으로 평상시에는 잘 드러나지 않았던 가부장제 하에서의 부/모의 위차(位次)를 선명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자식의 패륜적 사건을 기점으로 아버지는 심판자의 위치로 격상되고 어머니는 자식과 함께 죄인 취급을 받고 아버지 앞에 무릎 꿇음으로써 그 위상이 극도로 격하된다. 그런데 대하소설 속 잘못한 자식에 대한 부/모의 태도 차이는 단지 표면적인 위차를 드러내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이면의 모습까지도 심층적으로 보여준다는 데서 의미가 있다. 외부로부터 자식을 보호하고 자신의 권위를 드러내기 위해 늘 ‘내면의 갑옷’을 입고 있는 아버지는 ‘강력한 아버지’의 모습만을 강조하고 ‘자상한 아버지’의 모습은 결여됨으로써 자식에게 소외되는 ‘부성의 패러독스’를 경험하게 된다. 반면, 어머니는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처럼 아버지보다 아래에 있지만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지속하면서 ‘관계적 주체’로 성장하는 가운데 수직적․위계적․권위적인 부성과 달리 보살핌의 윤리에 기초한 수평적․민주적․합리적 모성을 보여줌으로써 자식들에게 환대받고 있었다. 잘못한 자녀에 대한 대하소설 속 부/모의 양태를 찬찬히 들여다보면, 표면적으로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wan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arents'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 who committed wrongdoings in river-novels,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fathers and mothers. For this I examined Yu U-seong and Mrs. Lee of Yussisamdaerok(劉氏三代錄), and So Hui-ryang and Mrs. Ju of Wanwolhoemaengyeon(玩月會盟宴), the parents who all appear as wise persons, and cases such as Okwonjaehapkiyeon(玉鴛再合奇緣), Imssisamdaerok(林氏三代錄) and Chossisamdaerok(曺氏三代錄) were also used as supporting materials.
    In view of the difference between father and mother of the wrong child, the father gave one-sided and dogmatic instructions in the position of the referee, was busy with official duties, and left the child to do wrong or used violent methods such as corporal punishment if he knew his child's wrongdoings. On the other hand, the mother showed a lot of non-violent ways, that is to say, she apologized for the child's sins or she was kicked out of the office for the child, and always detected the child's behavior carefully, she wanted to persuade the child with words even after she found out her child's faults.
    From this perspective, it is meaningful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 and mother in river-novels is a clear indic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ther and mother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which was not usually well-known. Beginning with the child's immoral case, the father is elevated to the position of referee, and the mother is treated as a sinner with her child and kneels before the father, extremely being downgraded.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father and mother over their children's wrongdoings in the epic novel not only reveal the difference in rank of father and mother in the family, but also show the other side in depth. The father, who always wears inner armor to protect his children from the outside and show his authority, only highlights the image of a "strong father", and experiences a "paradox of fatherhood" alienated from his children by his lack of a "cautious father." On the other hand, the mother was welcomed by her children by showing horizontal, democratic and rational motherhood based on the ethics of care, unlike vertical, hierarchical and authority, by growing up as a "relational subject" while continuing her role as a mother, even though she was a step below her father's, as was the Dialectic of Master and Slave. A good look at the pattern of the response of father/mother over their child's faults in river-novels showed the potential for a reversal of the ostensible differ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국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