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라즐로 모홀리-나지의 <빛-공간 변조기>의 시각적 인지와 신체적 체험의 통합성 연구 (The role of the body in visual perception with a case study of László Moholy-Nagy’s Light-Space Modulator)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1.02
26P 미리보기
라즐로 모홀리-나지의 &lt;빛-공간 변조기&gt;의 시각적 인지와 신체적 체험의 통합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41권 / 153 ~ 178페이지
    · 저자명 : 오경은

    초록

    이 논문은 <빛-공간 변조기>가 그 자체로 하나의 조형적 예술 오브제라 보는 기존의 시선에 대한 반박에서 출발하여 작품이 실제 전시되었던 환경과 맥락을 역사적으로 되짚어보며 그것의 실질적 의의가 시간성과 공간성에 대한 동시대적 사고를 반영하고 그 결과 현상학적 체험(lived experience)을 가능케 하는 데 있었음을 밝힌다.
    19세기 이전까지의 서구인들은 균질하고 측량가능한 절대적 공간, 즉 유클리드식 공간 개념에충실했다. 그 개념 하에 회화적 공간 또한 마련되어 고전된 단일 시선으로 묘사한 객관적인 공간이 나의 몸과 완전히 분리되어 존재했다. 그러나 산업화의 결과 새로운 등장한 다양한 신기술 문물은 이러한 과거의 공간 개념에 부합하지 않는 시각적 기호들을 양산했다. 그 주요 사례로 영화등 움직이는 이미지(moving image)를 꼽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수동적 고정적 시각에반발하는 철학사조로서 현상학이 대두되어 인체를 통한 주관적 경험, 살아있는 시간 속에서의 실질적 경험(lived experience)의 중요성을 주장하였고 이는 공간적 지각과 시간성의 상호연결성을드러내는 것이었다. 동시대 과학이론에서 또한 그와 같은 사고가 반영되는데 에른스트 마흐, 앙리푸앙카레 등이 공간 지각에 있어 인체를 통한 경험에 대해 논했으며 앨버트 아인슈타인은 상대성이론을 통해 시간과 공간 간의 상관관계 및 그것이 보는 이와 맺는 상대적 관련을 설명했다.
    신기술 시대의 이러한 시공간의 지각에 대한 철학적, 과학적 발전 속에서 모홀리-나지는 자기고유의 예술 이론인 “움직임 속의 시각(Vision in Motion)”을 발표했다. 그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근거하여 예술에 있어서도 시공연속성 개념을 적용해야함을 주장한다. 고정된 절대적시점을 버리고 관찰자가 대상과의 관계성 속에서 지각하게 되면서 시선의 주체의 육체와 그의 주관성이 주요 관건으로 부상하게 된다. 이때 동시대의 시-공간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예술 매체로서의 빛의 가능성에 주목했다. 그는 자신의 이론을 실제 삶 속에서 감각을 통해 실증되는 것으로치환하고자 <빛-공간 변조기>를 만들게 된다. 이 작품은 1930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디자이너협회의 독일 공작연맹 전시에 포함되었는데 이 전시는 당대 테크놀로지로 중무장한 바우하우스식이상적 아파트 단지 모델을 선보이는 자리였다. <빛-공간 변조기>가 놓인 곳은 주민들을 위한 공공 교류 공간이었는데, 이 작품은 조형적 오브제로 그곳에 놓인 것이 아니라 주민들의 춤과 여흥을 위해 음악을 켜고 이 작품을 가동하여 나이트클럽과 같은 효과를 내도록 설치되었다. 공간에대한 시지각 인식이 건축 내 사람들의 활동 공간 디자인에 적용되는 현상학적 접근이었던 것이다.
    다른 한편 이 작품은 영화 매체를 통해 “움직이는 시각”론을 완성하는 과정의 일환으로도 볼수 있다. 모홀리-나지에게 영화란 동시대적 지각 경험을 담아내고 그에 맞게 우리의 눈을 훈련시키기 적합한 매체였다. 다만 그가 이끌린 영화 장르는 내러티브 영화가 아닌 비정형시네마였는데, 그 이유는 제도화된 상업적 영화인 내러티브 영화는 관객을 고정된 수동적 수용자로 머물게 하는반면 비정형시네마의 경우 다양하고 생생한 감각 자극, 보는 이의 신체가 결부된 시각 체험을 가능케 하기 때문이다. <우리 시대의 방(Raum der Gegenwart)>전시를 기획하며 작가는 <빛-공간변조기>를 일종의 비정형시네마 영사기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여타의 영사기가 벽에 내러티브 필름에 내재된 환영의 세상을 투사한다면 <빛-공간 변조기>는 반환영적인 추상의 실제 형태를 관객이 살아 숨 쉬는 공간으로 투사함으로써 관람자가 움직이는 형태들과 실제 시간 속에 다양한 관계를 맺으며 몰입의 체험을 가능케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begins from a refutation of the existing gaze that László Moholy-Nagy’s Light-Space Modulator is a formative art object in itself. By retracing the environment and context in which the work was actually exhibited, it demonstrates that artist’s aim was to enable a lived experience of the art work, reflecting the contemporaneous thoughts on spatiality and temporality.
    Until the 19th century, Westerners were faithful to the concept of Euclidean space where the space is homogeneous, measurable, and absolute. Under its influence, the pictorial space was an objective space seen from affixed single viewpoint, which wa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viewer’s body. However, as a direct result of the Industrialization, visual signs began to rise that did not conform to the past concept of space. A major example was moving images such as movies and optical toys that served as vernacular cinema. As a result, phenomenology emerged as a philosophical trend that opposed the traditional passive and fixed perspective, asserting the importance of subjective experience through the human body and lived experience in living time, which revealed the interconnectivity between spatial perception and time. Such thinking is also reflected in contemporary scientific theories. Ernst Mach and Henri Poincaré discussed the experience of the human body in spatial perception, and Albert Einstein used the theory of relativity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and space and the relationship it has with the viewer.
    In the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development of this perception of time and space in the new technology era, Moholy-Nagy published his own art theory, Vision in Motion. Based on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he argues that the concept of space-time continuum should be applied to art as well. Abandoning the fixed absolute viewpoint, and the observer perceiving in relationship to the object, the body of the subject of the gaze and his subjectivity emerge as the main key. With this in mind, the artist built Light-Space Modulator, to realize his theory in a tangible form that can be experienced with senses. It debuted in the Deutscher Werkbund exhibition at the Salon des Artistes Decorateur de Paris in 1930. The show was a venue for the Bauhaus artists to showcase the most ideal residential complex that combined sophisticated design and cutting-edge technology. Light-Space Modulator was placed in the communal area, not as a sculpture but as a projector of light and shadow show that could turn the environment in to a night club when coupled with music. The visual perception of space wa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applied to the design of people's activities in the architecture.
    On the other hand, this work can also be viewed as part of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theory of “moving vision” through cinema. For Moholy-Nagy, cinema was a suitable medium to capture the experience of contemporary visual perception and train human eyes accordingly. However, the genre of the film he was inspired by was not narrative film, but paracinema. The reason is that narrative cinema, an institutionalized commercial film, keeps the audience as a fixed passive audience, whereas in the case of paracinematic optical devices, enable a visual perception with various visceral sensory stimulation of the viewer's body. While planning Raum der Gegenwart exhibition, the artist intended Light-Space Modulator to serve as a cinema projector. Instead of projecting the illusion inscribed in a narrative film, Light-Space Modulator immerse the viewer in the projected abstract moving patterns, that become a part of the viewer’s living space, in which the subject forms relationships with the movements of the light shadow in a lived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