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R Book을 이용한 인간의 상대적 관계를 표현한 모바일 아트 구현에 관한 연구 (An Implementation of Mobile Art for Relative Relationship Using AR Book)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8.10
12P 미리보기
AR Book을 이용한 인간의 상대적 관계를 표현한 모바일 아트 구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상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16권 / 5호 / 45 ~ 56페이지
    · 저자명 : 전지윤

    초록

    현대 미술은 주관적 관점에서 시작된 시각적 표현으로 자아 중심적 대상으로 접근될 수 있다. 인간이 대상을 바라보는 자아 중심의 관점은 주체와 인식되는 대상으로 관계되어 발생된다. 레비나스(Emmanuel Levinas)는 자아에 대한 실존을 타자와의 관계를 통하여 구성된다고 언급하며 비인칭적 타자, 즉 익명적 존재로 타자를 설명한다. 또한 자아는 책임적 주체로 타동사적 지향성을 인지하며 타자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서 감각적 주체인 자아의 경험적 인지는 순간적 감각과 감각으로 인한 감성에 시간적 간극이 존재함을 설명한다. 본 논문은 자아와 타자의 상대적 관계를 모바일 아트로 표현하기 위한 모색이며, 이와 같이 레비나스에 대한 이론적 탐구를 기반으로 기존 모바일 아트를 분석하여 한계를 보완해 나아가는 과정이다. 인간의 관계에 대한 상대적 가능성을 나타내고자 AR 기반 모바일 아트로 작품 “Unconscious Parallels”는 자아와 타자를 현실과 가상에서 해체하고 관람객의 개입으로 자아와 타자의 관계를 재구축한 작업이다. AR 기반 모바일 아트는 여전히 물질적으로 표현의 한계는 있지만 본고에서는 AR Book이라는 물질과 비물질의 융합적 형식을 서술 구조 속에 인터랙션 되도록 시도된 예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Contemporary art can be approached as an ego-centered object with a visual expression that starts from a subjective point of view. The self-centered view of human beings is gener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perceived object. Levinas describes the existence of the self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defining the non-intellectual other as an anonymous being. In addition, the self expresses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by recognizing transitive directionality as a responsible subject. Here, the experiential perception of self, a sensory subject, explains that there is a temporal gap in emotion due to instant sensation and sensation.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others in mobile art. In this way, it analyzes existing mobile art based on the theoretical inquiry of Levinas and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this approach. In order to express the relative possibility of human relations, an AR-based mobile art work entitled Unconscious Parallels is utilized. This is a work involving the disassembling of the self and others from reality and the virtual world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others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viewer. Although AR-based mobile art remains limited in terms of material represent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AR Book as defined here is an attempt to interact with a narrative structure via the fusion of the material and non-mater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5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