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의 개념화와 척도개발 - 질적․양적 방법론을 통한 검증 - (Conceptualization and Scale-Development of Consumer Literacy on Mobile Advertising)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8.04
33P 미리보기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의 개념화와 척도개발 - 질적․양적 방법론을 통한 검증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학연구 / 29권 / 2호 / 199 ~ 231페이지
    · 저자명 : 구명진, 여정성

    초록

    모바일 광고의 급격한 성장으로 광고와 소비자 간의 관계 또한 크게 변화함에 따라, 소비자가 모바일 광고에 대해 갖추고 있는 광고리터러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광고리터러시 개념을 재검토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의 개념을 새로이 도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실제 소비자의 모바일 광고에 대한 리터러시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광고리터러시 개념은 광고의 수동적인 처리를 전제하여 발전해왔으며, 이론적 검토를 통해 소비자 측면과 모바일 광고 측면에서 개념을 확장할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소비자․전문가 면접조사를 병행한 질적연구를 통해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 개념을 정보차원의 광고리터러시, 효용 비용차원의 광고리터러시, 기술차원의 광고리터러시의 세 차원으로 새로이 구성하였으며, 각 하위차원별 세부요소 또한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정보차원의 광고리터러시는 광고와 컨텐츠의 구분능력, 광고내용 이해능력, 광고기만성 판별능력, 광고관련 정보탐색능력, 광고관련 소비자문제 대처지식, 광고발신․관리주체 인지능력으로 구성하였다. 효용․비용차원의 광고리터러시에는 효용인지능력과 비용인지능력을, 기술차원의 광고리터러시에는 광고노출가능성에 대한 사전인지능력, 기술적 조작능력(혜택활용), 기술적 조작능력(비용회피), 신기술 광고사기유형 인지능력을 포함하였다. 이와 같이 도출한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의 개념에 근거하여, 소비자의 실제 리터러시 수준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측정문항들은 소비자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 척도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모바일 광고를 접할 때 갖추어야 할 기본적 리터러시들을 포괄적으로 아우르는 새로운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 개념을 도출하였으며, 더 나아가 실제 소비자의 현황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척도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에 대한 학문적 지식의 총체를 발전시킴과 동시에, 광고관련 소비자 복지 향상을 위한 정확한 진단과 구체적 개선안 마련에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The growth of mobile advertising market have changed the role of consumers, who formerly acquired information from the Ads they encounter or just ignored them. The abilities needed for consumers in the process were centered on the cognitive abilities to recognize the context of the Ads and, if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 of Ads critically. This kind of ability was named as ‘Advertising Literacy’ in the current literatures.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 new concept and measuring tool of advertising literacy for mobile advertising due to the changed role of consumers in the current mobile advertising marke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for the conceptualization and scale development of ‘Consumer Literacy on Mobile Advertising.’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of data from interviews with consumers and experts of Ad-related fields, this study established and verified the concept of consumer literacy on mobile advertising, which consists of three sub-dimensions (Informational dimension, Cost-benefit dimension, Technical dimension) of Advertising Literacy. This study also constructed the elements of three dimensions of Consumer Literacy on Mobile Advertising based on the result of the interviews as follows. Information aspect (ability to recognize ads, ability to understand the ad contents, ability to recognize ad deception, supplementary information search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for mobile ads, ability to recognize mobile ad platform), Cost-benefit aspect (knowledge on cost of mobile ad, knowledge on benefit of mobile ad), Technical aspect (preliminary knowledge on ad exposure possibility, technical skills to avoid mobile ad cost, technical skills to utilize mobile ad benefit, knowledge on the types of technical ad fraud).
    Based on the sub-dimensions and elements derived, the scale of consumer literacy on mobile advertising was developed. The scale was designed to include the items requiring consumers to answer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al materials selected according to the clear criteria, so that the activated literacy can be measured effectivel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was statistically verified using two sets of consumer survey data.
    The concept derived from this study reflects both the diverse role of consumers and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mobile advertising, so that encompass the essential capabilities for consumers with mobile ads in a single frame. In addition, the measuring tool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concept can provide a comprehensive diagnosis of important issues consumers experience with mobile advertising.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lan more specific improvements such as the development of consumer-oriented educational programs for mobile advertising. Hopefully it is expected that the concept and scale of consumer literacy on mobile advertising presented in this study provides additional academic knowledge and is utilized as a practical tool to diagnose the mobile advertising environment and the consumer's literacy to contribute to improving consumer sovereign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