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술성과 문자성을 결합한 모바일 언어로서의 이모티콘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Emoticons as a Mobile Language : Combining Orality and Literacy)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8.11
11P 미리보기
구술성과 문자성을 결합한 모바일 언어로서의 이모티콘의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31권 / 4호 / 125 ~ 135페이지
    · 저자명 : 정혜욱

    초록

    연구배경 미디어의 변화와 그로 인한 사회 문화적 변화와의 밀접한 연계성을 대표하는 미디어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를 들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변화는 커뮤니케이션 방식과 내용의 변화를 야기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사회 구성원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모바일 사회의 핵심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자리 잡은 Mobile Instant Messasging(MIM) 중 카카오톡(Kakao Talk)과 이모티콘의 활용은 이러한 변화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의 가장 자연스러운 커뮤니케이션 환경인 구술언어사회의 특성인 구술성을 내포한 이모티콘은 온라인 환경에서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환경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화자의 감정 전달에 효율적인 이모티콘은 구술 언어 중심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환경 구축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이모티콘을 문자와 구술성을 갖춘 새로운 언어 형태로 보고, 이모티몬의 중심 역할과 사용자들의 사회적 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 목적의 고찰을 위하여 국내에서 가장 범용화된 MIM인 카카오톡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어떠한 상황에서 이모티콘을 활용하는지 그리고 사회적 관계 구축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새로운 경험이나 현상에 대한 여러 개인들의 살아있는 체험이 지니는 의미를 기술하는 귀납적 질적 연구방법인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며, 개인적 속성보다는 전체 연구 참여자의 공통적 속성을 도출하는 데 초점을 맞춘 귀납적이며 서술적인 Colaizzi (1978) 방법론이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MIM에서의 이모티콘을 커뮤니케이션의 보조적 수단이라는 단일 개념으로 보고 피상적이며 외형적인 결과에 함몰할 수 있는 위험성에서 탈피하여 커뮤니케이션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연계성을 다각적이며 거시적인 시각에서 분석하기 위하여 미디어와 인간의 유기적 관계를 살피는 미디어 생태학 이론을 연구의 이론적 토대로 삼고 고찰했다.
    연구결과 심층인터뷰 중심의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한 일상 대화에서 대화를 자연스럽게 끝내고 싶거나 내면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싶을 때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연구 참여자들이 이모티콘의 사용을 의도적으로 자제하는 경우는 친밀감이 전제되지 않거나 사회적 거리감을 지닌 상대방과의 대화였으며, 특히 사회적 지위가 상이할 경우 이모티콘의 사용은 극도로 자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이유로는 자칫 무례하거나 왜곡된 의미를 전송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대답하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사회적 지위가 높은 화자가 먼저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경우 호의적인 인상을 전달할 뿐 아니라 두 화자간의 내적 친밀감이 급격하게 상승함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이렇게 구축된 내적 친밀감은 오프라인에서의 사회적 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이모티콘의 능동적 활용은 MIM의 편향성을 극복함으로써 구술성 중심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인간의 욕망임을 실증적으로 고찰했다. 둘 째, 이모티콘을 구술성과 문자성을 융합한 모바일 언어의 새로운 형태로 보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과 함의를 이론적으로 제시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의 사회문화적 함의는 향후 관련 연구에 실증적이며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영어초록

    Background Changes in communication media not only affect the changes in the forms and contents of communication, but also social interaction of humans. Mobile Instant Messaging(MIM) such as Kakao Talk in South Korea is a typical example. In Kakao Talk, emoticons play a significant role in our everyday communication and can be an effective means to deliver emotion by creating a face-to-face(F2F) communication environment based on orality culture. In this regard, this study investigated how emoticons are integrated into MIM-based mobile life and how emoticons can influence social interactions.
    Method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con usage on users' social relations, empirical studies on users who have kept using emoticons in KakaoTalk, the most used MIM in Korea, are needed. This study used Colaizzi's inductive and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to emphasize common attributes of all participants rather than every experience of individual participan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social relations from a solid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media ecology theory which stresses an ecological relationship among technology, media of communication, and human beings.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use emoticons in conversation by Kakaotalk when they want to finish their conversations naturally and effectively deliver inner feelings. On the other hand, participants intentionally refrained from using emoticons when communicating with people who do not have social intimacy and especially those who have higher social statu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y worry about delivering distorted or impolite messages. Another noticeable finding is when a speaker with a relatively high social status first use emoticons, not only a favorable impression appears but also social intimacy increases. Furthermore, the social intimacy created by emoticon usage leads to positive offline relationships.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active use of emoticons is considered empirically to be human's desire to build an orality-centered, F2F communication environment by overcoming bias in the MIM. Second, this study not only presents the emoticon as a new form of language that combines orality and literacy but also theoretically suggests the implications of social interaction. Therefore,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believed to be an empirical and theoretical basis for related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