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바일 환경 진화에 따른 휴먼 인터페이스 만족도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Human Interface Followed by the Evolution of Mobile Environmen)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0.12
10P 미리보기
모바일 환경 진화에 따른 휴먼 인터페이스 만족도 평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권 / 4호 / 69 ~ 78페이지
    · 저자명 : 김규철, 김성훈

    초록

    최근 사용자들은 멀티미디어 기기의 급속한 기술 발전으로 다양한 제품에 적용된 사용자 인터랙션을 경험하고 있다. 이는 다양한 인터페이스의 발달이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경험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의 한 요소인 인터페이스의 발달이 과연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켜 주고 있는지 확인 하고자 하였다. 즉 기술적인 발전과 더불어 유용성(Usability)의 발전을 가져왔는지에 대한 실증적 결과를 제시하여 국내 모바일 산업에 있어서 기능적인 측면만을 생각하는 것보다는 유용성이 함께 발전해야 하는 문제를 제기하고, 개선방안을 제안을 최종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요소의 발전을 문헌연구와 학술지, 온라인 DB를 통하여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휴먼 인터페이스 요소를 추출하였다. 사용자 요소는 크게 GUI와 PUI으로 두 부분으로 구분하여, 입력 방식에 영향을 받는 시각요소와 내비게이션(정보설계) 요소 부분을 중점적으로 유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유용성 평가 방법은 크게 3가지 질문법, 검증법, 감정법을 검토하여, 모바일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제이콥 닐슨(Jaocb Nisen)의 사용자 평가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휴먼 인터페이스는 감성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주관적 평가로 시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로는 입력 방식은 발달하고 있지만 유용성이 함께 발전하고 있지 않으며, 모바일 산업의 발달과 인터페이스의 기술적 발달에 비해 유용성은 아직 미비하다고 볼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존의 키패드 입력 방식이 터치 형태의 입력 방식 보다 유용성은 좋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술적인 발전은 이루었지만 유용성 측면에 있어서 많이 부족한 결과라 볼 수 있다.
    국내산업에 있어서 국내 대기업 정도만 유용성 연구를 위해 투자를 하고 있을 뿐 아직 유용성에 관한 연구 투자가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모바일 산업 발전에 있어 입력 방식의 기술발전과 함께 유용성 발전의 필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Recently, users are experiencing user interactions applied to various products in virtue of rapid technology development of multimedia devices. This means the advancement in various interfaces suggests more various experiences to users. But the question is whether this advancement in interface technology brought the advancement in its usability. The fin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uggestion to improve the usability rather than focus only on the functionality in the domestic mobile industry, through illustrating the proven result whether the advancement in technology brought the advancement in usability.


    In this study, the advancement of the mobile elements was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es, academic journals and online DB, and, based on this, the elements of human interface were extracted. The elements of user interface were largely divided into GUI and interaction, and an assessment of usability was conducted focusing on interaction element which is influenced by Physical User Interface device. As the methodology for the assessment of usability, three methods were reviewed and Jacob Nisen’s user assessment method was used among them, which is the most popular method in mobile UI. And the assessment of human interface was conducted in subjective evaluation because it was an element to give an influence on the emotional satisfaction level.


    The experimental result of this study did not show that the advancement in the sector of Physical User Interface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 advancement in the usability. In other words, mobile industry is developing very rapidly but its usability is deemed to be rather insufficient yet when compared with the advancement of the interface technology. In case of Korean industry, the reality is that only big companies are investing on the usability research but overall investment for the usability research is insufficient.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mobile industry, the investment on the usability research, based on this experimental result, should be made more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interface techn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