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 聖德王代 毛伐郡城 築造의 背景과 目的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Construction of Mobeolgun Castle in King Seong-deok’s(聖德王) Era of Sill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9.02
36P 미리보기
新羅 聖德王代 毛伐郡城 築造의 背景과 目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34권 / 133 ~ 168페이지
    · 저자명 : 야마다 후미토

    초록

    毛伐郡城은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시 동남부, 울산시와의 경계 지역에 축조된 長城이다. 문헌 기록에 따르면 모벌군성은 성덕왕 21년(722) 10월부터 축조 사업이 시작되었으며, 일본의 침입로를 막기 위해 축조되었다고 한다. 모벌군성의 규모는 12킬로미터였고, 축성하는 데 39,262명의 역도가 동원되었으며, 신라의 최고 관위를 소유한 인물이 축성 사업을 감독하였다.
    관련 기사에는 모벌군성이 일본의 침입로를 막기 위해 축조되었다고 전하지만, 당시 일본의 상황을 보면 당시 신라를 침략하려던 움직임은 전혀 보이지 않고, 일본은 애초에 신라를 침략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따라서 관련 기사에 보이는 모벌군성 축조의 목적은 축성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명분에 불과하였다고 보아야 한다.
    모벌군성이 일본의 침입로를 막을 수 있을 만한 기능을 지니고 있었음은 사실이다. 다만 축성 시기나 위치 등은 성덕왕대 신라의 집권 세력의 주체적인 의도가 반영된 결과였다. 모벌군성 축조 당시 신라가 일본으로부터의 군사적 위협을 받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집권 세력이 모벌군성을 축조하는 데 일본의 침입로를 막기 위함이라는 명분을 내세운 이유는 신라인들이 일본을 적대적이고 신라를 침략하는 이질적인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성덕왕대 신라의 집권 세력은 721년 일본 조정의 신라 사신에 대한 이례적인 대응을 구실로 삼아 신라인들의 일본에 대한 적대적인 인식을 불러일으켰으며, 나아가 모벌군성을 축조하여 일본의 침입로를 막아야 한다는 필요성을 강조하였다고 하겠다.
    모벌군성은 특정 영역을 가시적으로 구별하는 장성이었으며, 제도적인 측면에서도 關門으로서 기능하였다. 말하자면 모벌군성의 축조는 왕의 직할지인 수도를 가시적으로 부각시킴으로써 왕권을 강화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었다고 하겠다. 성덕왕대 신라의 집권 세력이 왕권 강화책의 일환으로 모벌군성을 축조하여 수도에 대한 개혁을 추지한 이유는 신문왕이 주도한 달구벌 천도 계획이 좌절된 이후 기존의 수도를 통일왕국의 수도로 발전시켜 국왕 중심의 지배체제를 구축하는 데 주력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는 동시에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이었기 때문에 성덕왕대 신라의 집권 세력은 일본의 침입로를 막기 위함이라는 국가적인 대응이 필요한 문제를 축성의 명분으로 내세웠던 것이다. 따라서 모벌군성의 축조는 일본의 불온한 동향을 계기로 추진된 왕권 강화책이었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Mobeolgun Castle is a great castle built in the border area with Ulsan city in the southeastern part of Gyeongju, North Gyeongsangbukdo.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cord, Mobeolgun Castle was constructed in October 21st year of King Seongdeok, and was built to block the invasion route of Japan. In addition, although Mobeolgun Castle was recognized as a gate, it seems that the place name was attached because 臨關郡 was a place where facing the gate, which was the place where the castle was built. The size of Mobeolgun Castle was 12 kilometers, 39,262 people were mobilized for the castle, and the person who owned the highest post of Silla directed the construction project.
    In the related article, the purpose of the construction that Mobeolgun Castle was built to block the invasion road of Japan is transmitted, but when we consider the situation in Japan at that time, the movement that tried to invade Silla at that time was seen at all. In other words, at that time Japan was not in a situation to invade Silla in the first place. Therefore, it seems that the aim of building the Mobeolgun Castle found in the related article was only for promoting the construction business.
    It is true that Mobeolgun Castle had the function to prevent Japan's invasion route. However, the timing and location of the castle was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subjective intention of Shilla's campaign power of the King Seong-deok’s Era.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Mobeolgun Castle, despite the fact that Silla was not exposed to the military threat from Japan, despite the fact that the enforcement forces blocked the invasion route of Japan when laying the Mobeolgun Castle The reason was that Silla recognized Japan as hostile and invasion of Silla as a heterogeneous existence. The enforcement forces of the Seong-deok’s Era Silla need to evoke the perception of the Silla people to Japan on the grounds of an unusual response to the Japanese Silla Amnesty in 721, and furthermore they emphasized that they need to build Mobeolgun Castle and to stop the invasion route of Japan.
    Mobeolgun Castle is a Great Wall that visibly distinguishes specific areas and also functions as a gate from the institutional aspect. Construction of Mobeolgun Castle had a primary purpose in strengthening the kingship by visibly emphasizing the capital which is the direct jurisdiction of the king. The reason why Shilla 's regime forces of the Seong-deok’s Era built refilling county castles as part of measures to strengthen the kingdom and made reforms to the capital was because after the fall of Dalgubeol transition city plan led by King Sinmun, the existing capital city It was because he was devoting his efforts to develop into the capital as a unified kingdom and to build a dominance system based on the king. Since this was a policy to strengthen the kingdom at the same time, the regime power of Silla of the Seong-deok’s Era raised the problem which required national correspondence to prevent the invasion route of Japan as the name of the castle.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creation of the Mobeolgun Castle was a measure to strengthen the kingdom promoted by the unrest in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구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