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바일 선거캠페인 채널의 접근으로써의 게이트웨이 전략 분석 (A Study on Gateway Strategies as Access Tools to Channels of Mobile Political Campaign)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4.04
10P 미리보기
모바일 선거캠페인 채널의 접근으로써의 게이트웨이 전략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14권 / 2호 / 503 ~ 512페이지
    · 저자명 : 김민정, 현은령

    초록

    스마트 커뮤니케이션 시대의 도래로 많은 선거 출마후보들이 유권자들을 위해 모바일을 기반으로 하는 선거관련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양상은 후보자와 유권자의 디지털을 통한 소통을 가능케 함으로써, 무궁무진한 확장가능성을 갖는 새로운 선거운동 채널로 급부상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유권자의 모바일기반 선거채널 경험에 관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며 그에 따라 모바일 선거캠페인 전략에 관한 연구 또한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권자의 관심을 어떻게 모바일 기반 선거캠페인 콘텐츠로 이끌 것인가?’ 라는 연구문제에서 출발하였다. 또한 스마트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선거의 정보습득을 위해 모바일 기반의 선거캠페인 채널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관한 행동 패턴과, 애플리케이션 또는 반응형 웹과 같은 최종 모바일기반의 선거관련 채널들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배경으로 하여 SMS/MMS, 웹사이트, QR코드, 그래픽콘텐츠 등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모바일 기반 선거채널 전략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유권자의 선거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나아가 후보자의 공약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바람직한 선거문화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Many candidates have excitedly produced election contents based on mobile devices for electors due to the adv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era. Election campaign based on mobile allows digital communication between candidates and voters, then mobile has rapidly rosen with endless possibilities as a new communication channel for election campaign. In spite of this tre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systemic strategy for users' web experience on mobi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departed from this question, ‘How to drive people to mobile contents of election campaign?’ Consequently some successful cases of mobile channel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as a gateway to reach final mobile election contents like application and web-site based on users' behavior patterns. Hence, this study proposed some strategies of mobile channels(SNS/MMS, web-site, QR code, graphic contents) for improving users' accessibility to mobile election cont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지털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