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매월당 김시습 초상화의 개모(改模) 과정과 그 의미 (A Study on the Process of Revised-Copying the Portraits of Maewoldang Kim Si-seup and Its Meaning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3.12
40P 미리보기
매월당 김시습 초상화의 개모(改模) 과정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38호 / 416 ~ 455페이지
    · 저자명 : 양승민

    초록

    이 논문은 매월당 김시습 초상화를 僧服本, 僧儒 혼합본, 그리고 儒服本이라는 세 키워드로 조망한 글이다. 과거에 김시습 초상화는 수량도 많았을 뿐만 아니라 그 버전도 다수였다. 본고에서 조선시대 전래 과정과 초상화를 둘러싼 뒷이야기를 고찰하였다.
    우선 김시습 자화상 원형과 그 유전 양상을 추적한 결과, 본래 김시습이 무량사에 남긴 것은 삭발에 염주가 달린 승려의 형상을 그린 작은 화상이었다. 조선시대 그의 초상은 거듭 移模되는 가운데 그 무량사 원본 계열의 ‘승복본’이 수적인 우세에 있었다. 정치적으로 소론에 속하는 파평윤씨가의 주도로 17세기 화단의 대가 이징을 불러서 그린 이모본이 가장 대표적인 자화상 원형계열의 화상이다. 이후 박세당도 수락산에 淸節祠를 건립해 무량사 원본계열 화상을 다시 모사해 봉안한 바 있다. 이밖에도 곳곳의 사당과 사찰 등에 김시습의 승복본 초상화가 널리 유전되고 있었다. 그러나 그의 초상화는 결국 자화상 원형 그대로 유전되지 못했다. 현전 화상은 모두 ‘改模本’으로, 본래의 무량사본을 그대로 계승한 것은 하나도 전하지 않는다. 이들 개모본은 ‘僧儒혼합본’과 ‘儒服本’으로 나뉜다. 대표적인 혼합본으로는 『梅月堂詩四遊錄』 소재 模刻本과 김수증 이모본이 있다. 그리고 제일 유명한 현전 무량사본은 대표적인 儒服本 화상으로, 자화상 원형과는 현격한 차이가 있는 개모본이다.
    한때 김시습 화상은 유학자들의 김시습 끌어안기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상황에 따라서는 그 원형인 승복본 초상화마저도 숭배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특히 소론을 중심으로 그랬다. 그러나 결국은 개모본들이 김시습 화상의 진면목을 지닌 원본계열을 밀어냈다. 심지어 오늘날 무량사에 남아 있는 사찰소장본마저 유복본 초상화로 뒤바뀌고 말았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김시습에 대한 이미지나 전설은 조선후기 유학자들(특히 노론)이 만들고 덧씌운 혐의가 짙다. 특히 17세기 이후 유학자들의 정치적 명분과 실리가 맞물려 김시습이 충절의 화신으로 추존되는 가운데 그의 초상화도 크게 변모되는 수난(?)을 겪었다.

    영어초록

    Kim Si-seup(金時習, 1435~1493) is one of the great poets and writers that the nation boasts highly. In the past, there were many of his portraits in various versions.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transmission process of his portraits during Joseon, trying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him as a "person" and stimulating new ideas for his interpretation in the literary history by looking into the episodes about his portraits.
    The study first traced the originals and transmission patterns of his self-portraits and found the one he left at Muryang Buddhist Temple(無量寺) was a small portrait of a Buddhist priest. His portraits continued to be copied during Joseon, and there were more of them in the original line of Muryang Buddhist Temple. The copy produced by Lee Jing(李澄), a master painter in the painting circles in the 17th century, became the most representative portrait of his original self-portrait line. In addition, his self-portraits depicting him as a Buddhist priest were widely transmitted at shrines and Buddhist temples across the nation. However, his self-portrait was not transmitted in its original form in the end. The currently remaining portraits of Kim are all revised copies. None of them are in the original line of Muryang Buddhist Temple.
    His portraits even the version of the original in which he was depicted as a Buddhist priest were revered by the Confucian scholars, but the revised copies eventually overwhelmed the original line with the true character of his self-portrait. Even the one housed at Muryang Buddhist Temple today has been replaced with the version in which he is depicted as a Confucian scholar.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images and legends of Kim Si-seup known today were created and added by Confucian scholars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