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효과적인 COVID19 정보 제공을 위한 모바일 웹 UI 디자인 연구 -국내외 모바일 웹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Mobile Web UI Design for Effective COVID19 Information Provision -Focusing on Domestic and Overseas Mobile Web User experience-)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0.12
14P 미리보기
효과적인 COVID19 정보 제공을 위한 모바일 웹 UI 디자인 연구 -국내외 모바일 웹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6권 / 4호 / 333 ~ 346페이지
    · 저자명 : 엄은영, 강태임

    초록

    본 연구는 국내외 COVID19 모바일 웹 정보 UI 디자인 사례 비교를 통해, 효과적인 재난정보제공을 위한 모바일 웹의 사용자 경험을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대한민국, 미국, 중국, 일본, 4개국가의 코로나19 모바일 웹으로 사례를 선정하였다.
    코로나19 정보는 공공정보이기 때문에 국가 차원에서제작된 사례로 한정하였다. 분석방법은 사례로 선정된국가의 코로나19 모바일 웹에서 중복되는 항목을 찾아 차트를 데이터 시각화의 주요요소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의 시각디자인 항목을 추출하여 분석항목에 추가하였다. 이를 토대로 선정한 모바일 웹의특징을 분석한 후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모바일 웹의 사용자 경험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대한민국과 중국은 5개 항목 모두 ‘그렇다’와 ‘보통이다’로분포되어 대체로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미국은평가항목 중 유용성과 매력성과 검색성이 ‘그렇다’와‘그렇지 않다’로 분포가 많아 양극의 결과가 나타났다.
    일본은 5개 항목 모두 ‘보통이다’와 ‘그렇지 않다’로분포되었다. 이를 통해 선정된 국가의 모바일 웹에서국민에게 효과적인 감염병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각국의 처한 상황과 중요도, 선호도를 반영한 모바일 웹 제작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세계적인 재난이 다시 발생했을 때, 모바일 웹을 활용하여 국민에게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방역을원활히 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user experience of mobile web for effective disaster information, through comparison of COVID19 mobile web information UI design cases at home and abroad.
    The research scope was selected as the Corona 19 mobile web in South Korea, the U.S., China, Japan and four other countries. Corona19 was limited to cases produced at the national level because information is public information. The analysis method found duplicate items on the Corona 19 mobile web in the country selected as examples and selected charts as the main element of data visualization. In addition, visual design items of prior research were extracted and added to the analysis items.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web selected based on this, a group of experts conducted user experience verification of the mobile web. According to the study, all five categories of Korea and China were ‘yes’ and ‘normal’, showing generally positive results. Among the evaluation items, the U.S. has a large distribution of usefulness, attractiveness and searchability as “yes” and “no,” resulting in an bipolar result. Japan’s five categories were ‘normal’ and ‘not.’ This showed that mobile web production is necessary to reflect the situation, importance and preference of each country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infectious disease-related information to the people on the mobile web of selected countr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that can be used to effectively communicate information to the people and facilitate quarantine when a global disaster occurs ag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