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母王’으로서의 新羅 神睦太后 (Queen Dowager Sinmok of Silla as the Mother K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1.08
38P 미리보기
‘母王’으로서의 新羅 神睦太后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22호 / 61 ~ 98페이지
    · 저자명 : 김태식

    초록

    신목은 신라 제31대 왕인 신문왕의 두 번째 왕비이면서 신문왕의 뒤를 차례로 이은 효소왕과 성덕왕의 어머니이기도 하다. 이런 그는 첫째 아들 효소왕이 재위하던 서기 700년에 세상을 떠난다. 따라서 그는 당시 신라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정치 관례에 따라 남편인 왕이 죽고 그 아들이 즉위함에 따라 태후가 되었다. 이 글은 이런 신목과 관련한 여러 가지 의문점을 해명하고자 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신목은 왕비로 책봉될 때 나이가 적어도 서른 살 이상이었다. 신목은 죽은 해(700)가 밝혀져 있지만, 언제 태어났는지는 알 수가 없다. 다만, 그의 아버지가 사망한 시점은 역사기록에 보이므로, 이를 근거로 추산할 때 왕비로 책봉될 당시 나이가 적어도 서른이 넘었다는 것은 확실하다. 이는 일부 역사연구자도 지적했다. 당시 사회 풍속으로 서른 살이 넘도록 여성이 싱글로 남아있기는 대단히 곤란하다. 이 때문에 어떤 연구자는 신문왕과의 결혼이 신목에게는 재혼이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둘째, 신목이 신문왕비로 책봉되었다는 역사기록은 신목이 이 때 신문왕과 재혼했다는 뜻이 아니라, 그의 후궁에서 왕비로 격상된 일을 지칭한다. 다시 말해, 신목은 몇 살 때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신문왕이 왕자로 있을 적에 이미 그의 후궁으로 들어갔다가 나중에 신문이 왕으로 즉위하고, 그의 정식 부인이 어떤 사건으로 그 자리에서 쫓겨난 뒤에 정식으로 왕비로 책봉된 것이다.
    셋째, 신목은 남편인 신문왕이 죽고 아들 효소왕이 즉위하면서 태후가 된 뒤에는 왕을 대신한 신라 왕국의 통치자였다. 기록에 의하면 효소왕은 692년에 즉위해 10년을 왕으로 있다가 702년에 사망했다. 한데 그와 관련한 기록을 분석하면 효소왕은 즉위할 때(692) 6살에 지나지 않았으며 죽을 때(702)도 16살에 지나지 않았다. 이른바 소년 왕이었던 것이다. 이런 그를 대신해 그의 어머니이자 태후인 신목은 적어도 700년에 그 자신이 사망할 때까지 왕을 대신해 신라를 통치한 것이다. 어린 왕을 대신해 왕의 어머니가 그 왕국을 통치하는 제도를 전근대 동아시아에서는 垂簾聽政이라 한다.
    넷째, 그런 점에서 신목태후는 제4의 신라 女主에 견줄 만하다. 신라는 建國主인 박혁거세 이래 마지막 경순왕에 이르기까지 천년 동안 모두 56명에 달하는 왕이 있었으며, 그 중 女王은 세 명이 확인되지만, 신목은 효소왕 시대 초반기 약 8년 동안 신라를 통치했다는 점에서 또 한 명의 女主라 불러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다섯째, 따라서 고대 일본의 연대기인 ≪續日本記≫가 그의 죽음을 전하면서, 그를 신라의 ‘母王’이라 적은 것은 오류가 아니다. 많은 역사학자가 ‘母王’을 ‘王母’, 즉, ‘왕의 어머니’의 오류로 간주했다. 하지만 ‘母王’은 글자 그대로 ‘어머니로서의 왕’, ‘어머니 같은 왕’이라는 뜻이므로 이는 신목태후가 남편이 죽은 뒤에는 사실상 신라의 왕으로서 그 왕국을 통치했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는 말이다.

    영어초록

    Queen Dowager Sinmok was the second wife of King Sinmun, 31st King of Silla, and the mother of Kings Hyoso and Seongdeok who reigned after their father. According to the political customs of East Asia, she was made Queen Dowager after her husband died and her son became the next king. She died in AD 700 during the reign of her first son King Hyoso. This article is intended to clarify various disputed points about Sinmok, and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First, Sinmok was at least over 30 years old when she was invested as queen. The year of her death (AD 700) is known, but her year of birth is unknown. However with records documenting the death of her father it can be conjectured that she was over 30 when she was invested as queen. This fact has also been pointed out by a few other historians. In the social customs of Silla it would have been very difficult for a woman to remain single until she was over 30, and that is why some insist that her marriage with King Sinmun was the second one for Sinmok.
    Second, the historic records of Sinmok being invested as queen does not imply that she remarried King Sinmun at this age, but rather her level being upgraded as queen from a concubine. In other words, although it is uncertain when she became the concubine of the prince who later became King Sinmun, she became his official queen after he acceded to the throne and after his official wife was somehow driven out from the post of queen.
    Third, Sinmok was the ruler of Silla after her husband died and her first son became King Hyoso. According to records, King Hyoso claimed the throne in 692 and reigned for 10 years, dying in 702. However it is also documented that he was only 6 years old in 692 and was 16 years old when he died in 702 showing that he was a boy king. His mother and Queen Dowager Sinmok ruled Silla instead of him until her own death in 700. The system of the mother ruling the country instead of her young son is called regency by the queen mother in East Asia.
    Fourth, in this respect Sinmok can be claimed as the fourth queen of Silla. From the founding father of Bak Hyeokgeose to the last ruler King Gyeongsun, Silla had 56 kings and out of them 3 were queens. But as Sinmok ruled Silla for 8 years during the reign of King Hyoso she bears comparison with the other queens of the dynasty.
    Fifth, it is not a mistake that she is documented as the ‘Mother King (母王)’ in the records of <Shoku Nihongi>, the chronicles of ancient Japan, that bears record of her death. Many historians have thought it to be a mistake in writing the ‘King’s Mother (王母)’. However the expression literally shows that she was the ‘King as a mother’, which is a fine proof of showing that she was the actual ruler of Silla after the death of her husb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