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한센병과 가족이라는 장치 - 전통 시기 설화에서 근대 소설로의 이행 과정에 관한 몇 가지 검토 (Hansen’s Disease in Korea and Family as the Apparatus - Some reviews on the process from traditional tales to modern novel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4.08
22P 미리보기
한국 한센병과 가족이라는 장치 - 전통 시기 설화에서 근대 소설로의 이행 과정에 관한 몇 가지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15권 / 2호 / 57 ~ 78페이지
    · 저자명 : 한순미

    초록

    한국 한센병 설화에서 여성은 적극적인 치유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가족이라는 장치 안에서 철저히 희생된 존재이기도 했다. 이 설화 속의 가족은 희생적인 열녀를 탄생시키고 가문을 유지, 보존하기 위해 남성의 건강을 중시하는 장치였던 것이다. 이 설화에서 강조된 여성의 희생과 남성의 건강은 조선시대 가부장제와 짝패 관계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전통 시기 설화에서는 여성이 남편의 나병을 치유하기 위해 희생을 했다면 근대 이행기에 출간된 소설 『여선담전』은 평범한 남자가 나병에 걸린 여인에게 선행을 베풀어 신분이 상승하게 된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는 조선 후기 사회의 변동에 따라 나병과 가족의 위상이 변화되고 있는 흔적을 보여준다. 1936년에 출간된 김정한의 단편 「옥심이」에서는 수절, 의리, 열녀로 표상된 나병 설화 속의 여성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이 소설에서는 나병에 걸린 남편을 위해 헌신하는 아내를 구시대의 유물로 취급한다.
    근대 이후 한센인은 점차 가족이라는 장치의 바깥으로 이동한다. 이제 가족의 자리를 병원과 국가라는 장치가 대신한다. 근대의 병원과 국가는 한센인들의 병을 치유하고 그들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인과 사회, 국가를 보호하기 위해 한센인을 격리하는 정책을 강화했다. 병원과 국가는 “벌거벗은 생명”, 즉 한센인들을 체계 안으로 포획하는 폭력적 장치였다. 이 “희생당한 인간”은 식민지 근대의 생명 권력의 체제를 구성하는 토대가 되었다.
    생명 권력 장치가 도처에 자리해 있는 우리 사회는 “호모 사케르”를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있다. 아감벤이 말했듯이, 우리 모두는 잠재적인 호모 사케르인 것이다. 한국 나병 설화는 호모 사케르가 오늘날 갑자기 출현한 것이 아니라 저 먼 설화의 시대에서부터 이미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가 될 수 있다.

    영어초록

    Women in Korean leprosy (Hansen’s disease) tales played a role as an active healer, but a complete sacrifice of the apparatus called family. The family in the tales was a apparatus which gave a birth to a sacrificially virtuous woman and valued man’s health to keep and preserve the family. The sacrifice of a woman and health of a man emphasized in the tales can be said to be a partner with the patriarchy in the Chosun era.
    The woman in the tales sacrificed herself to heal her husband’s leprosy, while 『Yeosundam Jeon』, novel published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into the modern times shows a common man who got a status upgrade by performing good deeds to a maid leper, which is an evidence of some change in the status of leprosy and family according to the social change during the period of late Chosun. In Kim Jeong-han’s short novel, 「Oksimi」 published in 1936, we can never see the one represented as a woman of integrity, fidelity and virtue who was described in existing leprosy tales. The novel treats the wife who dedicated herself to her husband with leprosy like a survival of olden days.
    Since modern times, those who have Hansen’s disease gradually have been moved out of the family apparatus. And now the apparatus called the hospital and the government is substituted for family. Modern hospitals and the government strengthened the policy which isolated the lepers in order to protect those who are the healthy, the society, and the government, not to treat the Hansen’s disease and protect lepers’ life. The hospital and governmen were a violent system which captured the “bare life”, lepers into their planned apparatus. The “Homo Sacer” came to the basis for the bio-power system in colonial modernity.
    Our society surrounded by the bio-power system keeps on producing “Homo Sacer”. As Agamben said, all of us are potential Homo Sacer. Korean leprosy tales can be a case which shows Homo Sacer had already existed from the age of the olden tales rather than it appeared accidently in modern 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