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고 중국어에 보이는 -ps ˃ -ts 현상 및 그와 관련된 몇 가지 例에 관한 小考 (A Study on the Sound Change of -ps ˃ -ts in Old Chinese and Related Example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7.10
33P 미리보기
상고 중국어에 보이는 -ps ˃ -ts 현상 및 그와 관련된 몇 가지 例에 관한 小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언어연구 / 72호 / 1 ~ 33페이지
    · 저자명 : 김준수

    초록

    상고 중국어에서 月部 중 일부는 盍部에서 왔고, 物部와 質部 중 일부는 緝部에서 왔는데, 이는 실상 *-ps ˃ *-ts의 변화를 반영하는 현상으로, 去聲의 기원인 접미사 *-s가 양순 파열음의 조음 위치를 동화시켜 치조 파열음으로 변화시킨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관련된 諸說을 되짚어 보았고, 몇 가지 관련 예에 대해서 그 상고음 재구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고 중국어에서 동사 ‘울다’는 *kʰrɯb이었고, 여기에 접미사 *-s가 붙어 파생된 명사 ‘눈물’은 *rɯbs이었다. *kʰrɯb의 서사 방식은 시종일관 ‘泣’이었으나, *rɯbs은 商周 시기에는 ‘眔’으로 썼고, 秦漢 시기에는 ‘淚’로 썼다.
    둘째, 상고 중국어에서 ‘∼에 이르다’라는 동사의 어근은 LɯP과 같은 어형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戾 · 眔(遝) · 隶(逮) · 及 · 曁와 같이 몇 종류의 서사 방식이 존재하였다. 이 중 戾 · 隶(逮) · 曁는 운미가 본래 *-ps였으나 *-ts 단계를 거쳐서 중고음에서는 陰聲韻 去聲이 되었다.
    셋째, 상고 중국어에서 동사 ‘∼에게 주다’는 *krub(어쩌면 *krɯb)이었고, 여기에 접미사 *-s가 붙어 파생된 명사 ‘제공된 식량’은 *qʰɯbs이었다. *krub의 서사 방식은 시종일관 ‘給’이었으나, *qʰɯbs는 ‘氣’에서 ‘餼’로 변경되었다.
    넷째, 상고 중국어에서 동사 ‘(기체를) 들여 마시다’는 *qʰrɯb이었고, 여기에 접미사 *-s가 붙어 파생된 명사 ‘기체’는 *kʰɯbs이었다. 또한 역시 여기에서 파생된 동사 ‘한숨 쉬다’는 *kʰɯːbs이었다. *qʰrɯb의 서사 방식은 시종일관 ‘吸’이었으나, *kʰɯbs는 ‘气’에서 ‘氣’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kʰɯːbs는 氣에 心旁을 덧붙여 ‘愾’와 같이 쓰게 되었다.
    다섯째, 旣는 曁의 소리 부호이기도 하고, 氣의 이체 ‘炁’의 소리 부호이기도 하므로 그 운미가 본래 *-ps였으나 *-ts 단계를 거쳐서 중고음에서는 陰聲韻 去聲이 된 것이다.
    여섯째, 상고 중국어에서 동사 ‘∼을 폐지하다’는 *pabs였는데, 그 서사 방식이 灋에서 廢로 변경되었다. 본래는 발음이 *pabs였기 때문에 독음이 *pab(˂ *p-qab)이었던 灋을 빌려서 적었지만, 후대에 발음이 *pads로 변화하면서 독음이 *pad인 發을 소리 부호로 하는 廢로 그것을 적게 된 것이다.

    영어초록

    In Old Chinese, some of the Yue group (月部) originated from the He group (盍部), and some of the Wu group (物部) and the Zhi group (質部) came from the Qi group (緝部). This is a phenomenon that reflects the sound change of *-ps ˃ *-ts, where the suffix *-s, the origin of qusheng (去聲), assimilated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the bilabial stop and changed it to the alveolar stop. This study reviewed the preceding researches related to this phenomenon and discussed the reconstruction in some of the related exampl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ld Chinese, the verb “weep” was *kʰrɯb, and the noun “tears” derived from it with the attachment of the suffix *-s was *rɯbs. While *kʰrɯb was written with the character “泣 qi” at all times, *rɯbs was written with “眔 ta” in the Shang-Zhou period, and with “淚 lei” in the Qin-Han period.
    Second, in Old Chinese, the root of the verb "reach" is presumed to have had the same word form as that of LɯP. This word was written with several characters such as "戾 li", "眔(遝) ta", "隶(逮) dai", "及 ji" and “曁 ji". Among these, the final of "戾 li" , "隶(逮) dai" and "曁 ji" was originally *-ps, but through its change to *-ts, they became qusheng in Middle Chinese.
    Third, in Old Chinese, the verb "provide" was *krub (or perhaps *krɯb), and the noun "provided food" derived from it with the attachment of the suffix *-s was *qʰɯbs. While *krub was written with the character "給 ji" at all times, *qʰɯbs was written with ‘"氣 qi", which was replaced by "餼 xi" later.
    Fourth, in Old Chinese, the verb "inhale" was *qʰrɯb, and the noun "vapors" deprived from it with the attachment of the suffix *-s was *kʰɯbs. The verb "sigh", which was also deprived from the verb "inhale" (*qʰrɯb) was *kʰɯːbs. While *qʰrɯb was written with the character "吸 xi" at all times, *kʰɯbs was first written with "气 qi" and with "氣 qi" later. In the case of *kʰɯːbs, it was written with "愾 kai", by adding "心 xin" to "氣 qi".
    Fifth, as "旣 ji" is a phonetic element of "曁 ji" and "炁 qi", which is a variant of "氣 qi", although its final was originally *-ps, through its change to *-ts, it became qusheng in Middle Chinese.
    Sixth, in Old Chinese, the verb "cast aside" was *pabs, which was first written with "灋 fa", and later with "廢 fei". This verb was originally pronounced as *pabs, so it was written with "灋 fa", which was read as *pab (˂ *p-qab). However, as its pronunciation changed into *pads, it was written with "廢 fei", which had "發 fa" read as *pad as its phonetic el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언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