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일여성문학을 읽는 몇 가지 키워드― 이산과 식민체험, 가부장제, 마이너리티 ― (Several Keywords that Read Zainichi Women's Literature: Separation and Colonial Experiences, Patriarchy, Minori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0.05
28P 미리보기
재일여성문학을 읽는 몇 가지 키워드― 이산과 식민체험, 가부장제, 마이너리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학보 / 123호 / 17 ~ 44페이지
    · 저자명 : 윤송아

    초록

    본고는 해방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주요 재일여성문학자들의 등장과 면모를 일별함으로써 재일여성문학의 사적 흐름을 개괄하고, ‘이산과 식민체험’, ‘가부장제’, ‘마이너리티’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재일여성문학의 특징과 경향을 살펴보았다.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의 재일여성문학은 여성들의 ‘문맹퇴치’, 문해(文解)교육으로부터 시작하여 이금옥, 윤영자, 안후키코, 유묘달 등의 재일 2세 시인, 작가들 및 오사카 재일조선인 시지(詩誌) 『진달래』의 여성시인, 문필가들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재일여성문학은 종추월, 이정자, 이양지, 김창생, 유미리 등을 위시한 유수한 재일여성문학자들의 활발한 창작활동과 여러 재일여성문예지 발간 등을 발판으로 다채로운 확장과 변용을 이루어나갔다. 이러한 재일여성문학의 흐름은 첫째, 해방 이후에도 지속되어 온 식민주의 국가폭력과 이산・분단의 재생산 구도 속에서 고통 받는 재일조선인 여성 및 가족의 재현, 둘째, 가부장적 가족제도에 균열을 내는 여성의 자립과 연대의 가능성 제시, 셋째, 민족・인종・계급차별 및 혐오에 맞서는 여성 마이너리티의 전략이라는 주제의식을 통해 그 특징을 변별해볼 수 있다. 현재까지 재일여성문학은 ‘재일’, ‘여성’, ‘마이너리티’라는 복합적 존재성을 바탕으로, 개별적 해방 추구의 단계를 뛰어넘어 역사적 고난과 유린당한 타자에 주목하고 전쟁과 문명의 이기에 저항하며 혐오와 차별의 구조를 타개하는 투쟁의 현장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다. 따라서 재일여성문학을 천착하는 일은 동아시아의 해방과 평화의 서사를 완성해나가는 이 시대의 윤리적 책무와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current work aims to study the appearance and aspects of authors of major Zainichi women's literature during the period from liberation till now. The features and trends of the Zainichi women's literature was also examined focusing on the keywords of separation and colonial experiences, patriarchy, and minority.
    The Zainichi women's literature from liberation to 1960s started with the crusade against illiteracy, education for women, and was developed by second generation poets, such as Lee Geum Ok, Yoon Young Ja, Ahn Hukiko and Yoo Myo dal, authors, and female poets of Jindalrae, a Zainichi poetry journal from Osaka. The Zainichi women’s literature observed further expansion and variation based on active creative activities of famous authors of Zainichi women's literature such as Jong Chu Wol, Lee Jeong Ja, Lee Yang Ji, Kim Chang Saeng and Yoo Mi Ri, and publication of several female literature journals in Japan.
    This flow of Zainichi women's literature continued after liberation to express women and families who suffered amid colonial national violence and were the victims of separation and division. The Zainichi women’s literature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with the independence of women who broke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Furthermore, the Zainichi women’s literature also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ategy of the female minority against ethnic, racial, class discrimination and hat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