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문학/지식 장에서 ‘만보산 사건’이 기억되어 온 몇 가지 방식 (Several Ways to Commemorate Wanpaoshan Incident in the Literary and Knowldge Field in Korea(1931~1987))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6.08
36P 미리보기
한국의 문학/지식 장에서 ‘만보산 사건’이 기억되어 온 몇 가지 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연구 / 51호 / 39 ~ 74페이지
    · 저자명 : 김준현

    초록

    이 글은 ‘만보산 사건’이 한국의 지식 장과 문학 장에서 기억되는 방식들을 살펴보았다. ‘만보산 사건’은 그 상징적 의미가 중대하고 복잡한 당대 상황을 적실하게 투영하고 있음에도 1980년대 박영석의 「만보산 사건 연구」가 간행되기 전까지 본격적인 성찰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이 글은 사건이 발발한 1931년부터 객관적 논의의 대상이 된 1987년 이전까지 발표된 문건들을 참조하여 ‘만보산 사건’이 여러 가지 방식으로 기억되어온 양상과 그 배경을 살펴보았다.
    ‘만보산 사건’은 시대적 담론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그 의미가 새롭게 규정되었고, 다른 양상으로 그 기억이 공유되었다. ‘만보산 사건’은 그 기호의 외연이 다양하고, 그 사건을 구성하는 여러 갈등 주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의 갈등은 흔히 여러 갈등 주체의 층위를 단순화한 이분법적 갈등으로 형상화되었다.
    이런 형상화와 의미 규정은 관련 텍스트가 처한 시간적/공간적 담론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태준의 「농군」(내선일체와 식민주의적 팽창주의)이나 안수길의 「벼」(오족협화), 그리고 박계주의 「대지의 성좌」(독립 과정의 능동성 강화)는 각 텍스트들이 생산된 담론 환경의 지배이데올로기와 일맥상통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만보산 사건’을 중국 대 조선인의 갈등으로 설정할지, 혹은 중국․조선 대 일본의 갈등으로 설정할지는 이러한 맥락의 자장 하에 놓여진 문제였다.
    ‘배화 사건’은 조선 사상 초유의 이민족 대상 증오 공격으로, 이 사건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가 극히 적다는 것 자체가 이 사건이 조선인에게 윤리적 트라우마로 작용했다는 방증이 된다. ‘만보산 사건’을 일본의 획책으로 의미규정하면서 이 사건에 대한 조선인의 책임 의식은 희석되었다. 그러나 당대 조선에 이런 일이 가능할 수 있었던 바탕이 되었던 배화 의식이 내재되어 있다는 기억은 완전히 억압되지 못했는데, 그 기억은 중국인을 국제 정치의 공동체로 소환하지 않고 경제적 경쟁자로 소환했을 때 편린으로 드러나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udied several ways of the commemorations of Wanpaoshan incident in the literary/knowledge field in Korea from 1931 to 1987. The interpretations and commemorations of the incident had been influenced by the political discourses and environments of each periods.
    As a result, the memory of the incident has been often simplified into dichotomy(Chosun/Japan vs Chiana, or Chaina/Chosun vs Japan) due to political needs and senses. Short stories such as Nong-gun(Lee, Tae-joon), Rice(Ahn, Soo-kil), Constellation of the earth(Park, Kye-joo) set the dichotomy in their narrative differently because of the various ideologies and discourses.
    Anti-Chinese riot in 1931 is one of the unprecedented ethnic-conflict in Korean history. As the newspapers in the period claimed that the conflict was the result of the plan of Japanese government, Korean people was able to suppress the sense of guilty for years. However, the memory of the anti-Chinese consciousness of the period had been revealed for several times in the articles that recall the riot on the newspap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