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묘제에 보이는 백제와 왜 사이교류의 몇 가지 특질 (Two Characteristics of Paekche-WaInteractions Demonstrated in Tomb-Style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5.11
32P 미리보기
묘제에 보이는 백제와 왜 사이교류의 몇 가지 특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61호 / 313 ~ 344페이지
    · 저자명 : 우재병

    초록

    5세기 후엽경과 6세기 전엽경, 이 두 시기에 걸쳐 백제서남부지역 일부 수장묘에서는 서로 다른 양상의 왜 양식 묘제가 각각 채용된다. 예를 들어, 5세기 후엽경 왜 양식 원통형토기 묘제 채용의 경우, 백제 중앙 양식 방분에 왜 양식 원통형토기가 장식되는 양상이 주류를 형성하였다. 그런데 6세기 전엽경이 되면 왜 양식 전방후원분에 왜 양식 원통형토기로 장식되는 사례가 등장하게 된다. 6세기 전엽경에 나타난 이러한 왜 양식 묘제 채용 강화 양상은 무령왕 정권기에 출현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이 시기 백제의 친왜정책이 전 단계보다 일층 강화되었음을 시사하는 고고학적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백제 서남부지역에서의 왜 양식 묘제 채용 과정에는 두 시기 사이에 차이점이 명료하게 관찰된다. 이들 두 시기에 걸친 고고학적 자료의 변화는 백제와 왜 사이 교류에 특별한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5세기 후엽경 백제와 왜의 교류는 고구려에 의한 서울지역 수도 함락이라는 위기 상황을 극복하려는 백제에 의해 주도된 측면이 강하였다. 금관가야를 축으로 형성되었던 기존 광역교역시스템이 재편된 이후, 백제와의 교류・교역을 강화하려던 왜에게도 백제의 수도 함락은 충격적인 사건으로 받아들여졌을 것이다. 중국남조・백제와의 교류 강화를 통한 선진지식・전략물자의 안정적 수입을 위해서, 이 시기 왜는 위기상황 속의 백제와의 정치적 연대를 강화하는 전략적 선택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백제 서남부지역 유력 수장묘에 왜 양식 원통형 토기 묘제를 채용한 것은 백제와 왜와의 정치적 연대를 과시하기 위한 묘제를 이용한 외교전략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6세기 후엽경 백제와 왜 사이 교류의 고고학적 특질은 백제 무령왕정권과 왜 繼體정권의 등장과 더불어 양국에서 강화된 친왜정책・친백제정책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양국에서 거의 동시에 출현한 상대국 묘제 채용 강화 현상의 배경에는 양 왕권 사이의 개인적 친분이 작용한 측면도 있었을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 시기 무령왕은 친왜정책 뿐만 아니라 친중국남조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였다. 이점을 고려하면 무령왕정권에 의한 이러한 정책 추진 배경에는 개인적 친분 보다는 정책적 판단이 크게 작용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이 시기 왜 繼體정권에 의한 문화적인 친백제정책의 시행은 왜와 중국남조・백제와의 정치적 연대를 강화하여 권력 내부의 안정을 추구하려는 신정권의 전략적 선택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Around the late fifth century and early sixth century, some tombs of leaders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Paekche respectively adopted two forms of Wa-style tombs.
    For instance, the tombs of Wa-style flowerpot-shaped clay cylinders during the late fifth century mostly appeared to decorate the Square-shaped burial mounds with Wa-style flowerpot-shaped clay cylinders.
    In the early sixth century, however, examples of ordaining the Wa-style keyhole tombs with Wa-style flowerpot-shaped clay cylinders emerged. The intensifying tendency of employing Wa-style tombs seems to have begun during the reign of King Muryeong. This is archaeological evidence implying that the pro-Wa policies in Paekche during this period had been solidified than befo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eriods can be clearly identified in the process of adopting Wa-style tombs especially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Paekche. The transformation of archaeological data from the two periods indicates a significant change in terms of interactions between Paekche and Wa.
    The Wa-Paekche interactions during the late fifth century was highly initiated and led by Paekche, which aimed to overcome the crisis where Goguryeo surrendered its capital area, Seoul. The fall of Paekche’s capital must have been a traumatic event for Wa as well, which attempted to solidify its interactions and trading with Paekche after the reconstruction of the existing metropolitan trading system centered on Kumguan-Kaya as the axis. At the time, it is assumed that Wa opted for a strategic choice to strengthen the political ties with the crisis-suffering Paekche, in order to stabilize the imports of advanced knowledge and strategic goods through intensified interactions with both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and Paekche. Application of the Wa-style flowerpot-shaped clay cylinders to the tombs of prominent leaders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Paekche can be assessed as a diplomatic strategy utilizing tomb-styles to display the political solidarity between Paekche and Wa.
    The archaeological characteristic of Paekche-Wa interactions during the late sixth century reflects the appearances of the Paekche Muryeong administration and the Wa King Keitai regime, along with the solidified pro-Wa and pro-Paekche policies in both countries.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the intensified applications of the other’s tomb-style appeared almost simultaneously in both countries, lies the possibility where the personal intimacy between the two kings has played a role. Yet, during this time, King Muryeong actively implemented not only pro-Wa policies but also pro-Southern Dynasties of China policies. If we take this into consideration, it can be realized that policy-related judgments mattered more than personal ties in the Muryeong regime promoting these kinds of policies.
    Meanwhile, the implementation of pro-Paekche policies by the Wa King Keitai regime during the given period, especially in the cultural sphere, can be evaluated as a strategic move of the new regime, pursuing the stability of internal power via solidification of its political relationships with Southern Dynasties of China and Paekche.
    Key Words : Paekche, Wa, pro-Wa policy, pro-Paekche policy, King Muryeong, King Keitai, the Square–shaped burial mounds, the Wa-style Keyhole Tomb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