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譬喩者의 和合見說과 관련된몇 가지 가설 비판 (The criticism of few hypothesis related to Dārṣṭāntika's theory of ‘the aggregation sees(和合見)' Kwon,)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3.08
46P 미리보기
譬喩者의 和合見說과 관련된몇 가지 가설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39호 / 11 ~ 56페이지
    · 저자명 : 권오민

    초록

    전통적으로 譬喩者(Dārṣṭāntika)는 經量部의 선구로 알려지지만, 최근 原田和宗과 R. 크리처(Robert Kritzer)는 『구사론』 상의 경량부는 유가행파의 학설을 드러내기 위해 설정된 가공의 명칭, 혹은 세친의 유가행파로의 믿음이 반영된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이들에게 있어 『대비바사론』에서의 비유자의 和合見說과 『구사론』에서의 경량부의 ‘根․識 無作用說’이 완전히 다른 학설이라는 것은 두 말할 나위도 없다.
    原田和宗은 그의 주장의 주요 논거로서 (1) “세친(=경량부)은 비유자와는 달리 심․심소 相應俱起說을 주장하였다”는 加藤純章의 가설과, (2) “경량부의 本無今有說의 배경은 『유가사지론』”이라는 宮下晴輝의 가설을 제시하였으며, 그 자신은 『순정리론』에서의 인용에 따라 (3) “上座 슈리라타는 和合見說이 아니라 一眼見說을 주장하였다”고 논의하기도 하였다. 또한 R. 크리처는 (4) 『아비달마디파』에서의 비유자의 입장을 識見說로 이해하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중현의 『순정리론』에 근거하여 이상의 네 가설을 비판하였다. 『구사론』에서 경량부 설로 전하고 『순정리론』에서 譬喩部師 설로 전한 ‘根․識 無作用說’은 ‘오로지 佛所說經만을 지식의 근거로 삼는다’는 모토 하에 ‘경량부’로 자칭한 상좌 슈리라타(Śrīlāta) 계통의 일군(一類)의 비유자(ekīyās Dārṣṭāntika)의 견해이다. ‘本無今有 有已還無’의 ‘刹那의 實法’을 종의로 삼는 이들 上座宗의 和合見說은 심․심소 별체/상응구기설을 전제로 하지 않으며, 이들의 一眼見說은 인식주체에 관한 것이 아니라 다만 識과 所依의 관계에 관한 논의일 뿐이다. 또한 『아비달마디파』에서는 비유자를 識見家로 설한 일이 없을뿐더러 거기서의 일련의 논설은 심․심소 異時繼起說과 이에 따른 인식이론(有形相知識論)과 관련된 것으로서, 상좌 슈리라타(혹은 비유자)의 주장이나 이에 대한 중현의 비판 중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raditionally Dārṣṭāntika is known as a pioneer of Sautrāntika, but recently Harada Wasō and Robert Kritzer posed a hypothesis that Sautrāntika on Abhidharmakośabhāṣya is the fictitious name for hiding Yogācāra, or reflected Vasubandhu's Yogācāra beliefs. To them, it is clear that Dārṣṭāntika's theory of 'the aggregation sees' on Mahāvibhāṣāśāstra and Sautrāntika's theory of 'the non-function of organs and consciousness' on Abhidharmakośabhāṣya are completely separate one.
    Harada Wasō posed major bases of an argument that (1) Kato Junsho's hypothesis that Vasubandhu(i.e.
    Sautrāntika) admitted 'simultaneous arising of mind and mental condition' of Sarvāstivādin differently to Dārṣṭāntika, (2) Miyashita Seiki's hypothesis that the background of Sautrāntika's theory of 'coming into existence from non-existence(abhūtvā bhāva)' is Yogācārabhūmi . And he argued that (3) Sthavira Śrīlāta maintained the theory of 'one-eye sees(一眼見)' according to the quotation of Nyāyānusāraśāstra, not the theory of 'the aggregation sees'.
    Also, Robert Kritzer understood (4) Dārṣṭāntika's position on Abhidharmadīpa as the theory of 'consciousness sees(識 見)' as to Harivarman took the theory.
    This paper criticized four hypotheses above based on Nyāyānusāraśāstra by Saṃghabhadra. The theory of 'the non-function of organs and consciousness' which is referred as Sautrāntika's on Abhidharmakośabhāṣya, and as Dārṣṭāntika's on Nyāyānusāraśāstra is an argument of a group(ekiyas) of Dārṣṭāntika which belongs to Sthavira Śrīlāta, call themselves as Sautrāntika under the motto that "we only take the sūtra which is preached by the Buddha himself as a base of knowledge(pramāṇa)".
    The theory of 'the aggregation sees' of the Sthavira sect(a group of Dārṣṭāntika) which takes 'coming into existence from non-existence and going back to non-existence (本無今有有已還無)'--'real dharma of kṣaṇa(刹那實法)' as the first principle, does not take simultaneous arising of mind and mental conditions as a premise. And their theory of ‘one-eye sees’ is just a discussion on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and its base(āśraya), but not on cognitive agent(dṛṣtṛ). Furthermore, Dīpakāra did not mention about Dārṣṭāntika as the one who argued the theory of 'consciousness sees'. Also in Abhidharmadīpa, a series of articles are about sequential arising of mind and mental conditions and theories of knowledge (i.e. sākārajñānavāda) accordingly, and they are all confirmed in Sthavira Śrīlāta/ his Dārṣṭāntika's argument and Saṃghabhadra's criticism about their argu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