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다’를 機能動詞로 分析해야 하는 이유 몇 가지 (Some Arguments for Defending ‘ida' as a Support Verb)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07.12
22P 미리보기
‘이다’를 機能動詞로 分析해야 하는 이유 몇 가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35권 / 4호 / 7 ~ 28페이지
    · 저자명 : 목정수

    초록

    本稿는 省略, 口蓋音化, 格割當의 문제에 대한 再檢討를 통해 ‘이다’를 機能動詞로 統合하고 있는 목정수(2006나)의 後續篇으로서, 否定法 논의와 副詞 修飾 논의를 통해 다시 한 번 論旨를 補强한다. ‘아니다’의 內部構造를 ‘안+이다’와 ‘아니+이다’로 分析할 수 있음을 言語直觀과 歷史的 資料를 통해 論證하고, 共時的으로 ‘아니다’를 ‘안+이다’로 分析 가능하다는 것을 보인다. 이는 국어의 否定法 形成의 일반적 기제가 ‘아니다’에 作動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다’ 構成에서 程度副詞의 修飾關係가 가능한 이유는 그것이 用言을 수식하기 때문이 아니라, ‘이다’의 제2보어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구―N1―가 限定助詞 ‘가, 를, 도, 는, 의’의 制約과 관련하여 意味的 解釋이 內包的 屬性, 즉 形容詞的인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정도부사는 바로 이 形容詞的 單位의 속성을 꾸며주는 것이다. 결국, ‘이다’는 통사적 단위의 存在로서 기능동사로 再闡明된다.

    영어초록

    So far, the literature has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nida' construc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anida' should be reanalyzed as ‘an+ida' or ‘ani+ida'. If ‘anida' did not show archaic sense or literary sense on the basis of the differentiation of the negatives ‘an' and ‘ani', it would be said that it had better be analyzed as ‘an+ida'. This analysis fits in with the general mechanism of the Korean negation system. Another argument for the support verb ‘ida' comes from the modifying structure of degree adverbs ‘aju(very)', ‘ggoae(quite)', ‘jeongmal(really)', etc. In the ‘Y-ida' construction, the degree adverb does not make a modifying relation with ‘Y-ida' itself, but with the constituent ‘Y', namely ‘Y-φ1'. To modify ‘Y' itself as an NP, we need an adjective or an adjectival clause(=relative clause).
    In conclusion, once again, we can confirm that ‘ida' is not a syntactic affix or a nominative case marker, but a support verb in Korean grammar. ‘ida' is therefore such a syntactic unit(=support verb) that its combination with the preceding complement NP is a syntactic construction, resulting in a compound verb through lexic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