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전환기 서사의 양식적 혼재와 변용 양상 -「자유재판(自由裁判)의 누문(漏聞) : 몽향필기(夢鄕筆記)」와「 이조가명(以鳥假鳴)」을 중심으로- (Mixture and transformation of types in the narratives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era -focusing on「Jayu jaepan ui numun (Mong hyang jeong gi)」and「Yi jo ga myeong」-)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1.08
28P 미리보기
근대전환기 서사의 양식적 혼재와 변용 양상 -「자유재판(自由裁判)의 누문(漏聞) : 몽향필기(夢鄕筆記)」와「 이조가명(以鳥假鳴)」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52호 / 177 ~ 204페이지
    · 저자명 : 문한별

    초록

    근대전환기 학회지는 신문에 비하여 주제의식과 목적성이 뚜렷한 글들이 수록되어있다는 특징이 있다. 목적성이 뚜렷한 글들은 대부분 그 서술 방법이나 양식은 기존의 것을준수하고 내용과 주제의식에만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많은데, 이와는 상이한 특징을 보이는 작품들도 존재한다. 본고에서 고찰한 ‘고원훈’의 「자유재판(自由裁判)의 누문(漏聞)-몽향필기(夢鄕筆記)」와 ‘송욱현’의 「이조가명(以鳥假鳴)」이 그러하다. 이 두 작품은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진 바 없는 것들이다. 본고는 이 두 편을 근대전환기 학회지에서 발굴하여 작품의 특징과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작품들은 우선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주목될만한 가치를 가진다. 첫째 이 작품들은 기존의 문학 양식으로는설명되지 않는 다양한 양식적 특수성이 혼재되어있다는 점이다. 몽유 서사와 ‘토론체’ 및‘연설체’ 서사가 결합된 이 두 작품은 전통 서사 문학의 서술 방법과 근대전환기에 새롭게등장한 서술 방법이 적절하게 혼합되어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둘째 이 두 작품은 내화와 외화를 구성하는 서술 방법을 당대적 목적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하여 다채롭게변용하였다. 독자들은 이 같은 변용된 방법론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서술자의 주제의식을 받아들일 수 있었다. 셋째 이 두 작품은 기존의 연구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은 것이다. 본고는 이를 고찰하는 것을 통하여 근대전환기 서사 문학 연구의 외연을 확대할 수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Journals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era have more clear theme and purpose compared to newspapers. Writings with clear purposes tend to comply to exiting writing types and focus on contents and themes onl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 piece of works with totally different characteristics:「Jayu jaepan ui numun (Mong hyang jeong gi)」 by Koh Won-hun and「Yi jo ga myeong」by Song Wuk-hyeon. Studies have not been made on them. In this paper, these two works are highlighted to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and meaning. They deserve attention in three aspects. First, they have a mixture of different types which are hard to be explain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types. Mong-yu, “discussion style”and “speech style” narratives are mixed in them, which shows traditional and newly emerging narrative styles are fittingly used. Second, narratives consisting of inside and outside stories are transformed to effectively show their purpose, which makes readers to accept the themes in a better way. Third, these two works have not been the subjects of existing studies.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helps to expand the scope of the narrative literature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