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緣起와 五蘊 명상 수행을 통해 주의력과 수용 공감 능력 항상 연구 - 40명 학생들과 명상 실습 사례 - (A Study of attention and acceptance, empathy with the Paccayas(conditions) and pañca Skandhas(heap) meditation - A Case Study of 40 Student Meditators -)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0.06
56P 미리보기
緣起와 五蘊 명상 수행을 통해 주의력과 수용 공감 능력 항상 연구 - 40명 학생들과 명상 실습 사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각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각사상 / 13호 / 311 ~ 366페이지
    · 저자명 : 김말환

    초록

    수행에 참여한 40명의 학생들은 “선과 인간”이라는 강의 과목을 14 주간 수강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자신의 존재 방식을 왜곡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 이론은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통해서 최초로 설한 연기법과 마음의 구성 요소인 오온의 이해와 그 실습을 하는 데 있다. 수업의 과정은 1 주일에 두 번씩 90분간 강의 30분, 명상 실습 30 분, 토의 40분 그리고 수행 체험을 1주일에 한번 이상 명상 일지를 쓰도록 하였다. 명상 실습은 좌선, 걷기, 먹기, 누워서 몸 부위 검색(Body scan), 하타 요가 등을 실습 및 체험 하도록 하였다. 토의 시간에는 이론 부분과 실습에 관련하여 자신들이 느낌 점을 토의 하였다. 특히 토의 과정에서 자신이 느낀 점과 다른 이들이 느낌 점을 서로 교환 함으로써 자신을 이해하고 남을 수용하고 공감할 수 있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명상 일지를 기록하는 것은 수행을 하면서 느낌 점을 정리해 본다는 차원과 명상 지도 교수가 직접 개개인을 점검하며 지도해 주는 데 큰 장점이 있다고 본다.
    명상 수행을 좀 더 의도적이며 체계적으로 수행 프로그램에 따라 실시하여 수행에 따른 효과를 검정해 본다는 것은 수강하는 학생들에게 더 큰 관심을 가질 수 있다. 서구 명상가들이 이미 실시한 바 있듯이, 수행을 하기 전과 8 주후의 심리상태를 체크 하면서 상담을 이끌어 나가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 도구로는 (1) 수용 행동 설문지, (2) 스트레스 심리증상 척도, (3) 집착척도 등을 통해서 집단의 변화 흐름을 살펴본 결과, 기존의 조사통계 자료 척도와 거의 같은 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명상을 통해 생리학적, 심리학적으로 긍정적 효과가 많이 일어남을 또 다시 확인 할 수 있는 좋은 자료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case study of ‘Dhyāna(meditation) and Man' performed by 40 university students for 14 weeks. It is aimed to look into their changes of mind, a attention and acceptance and empathy which are brought about by the Paccayas(conditions) and five Skandhas(heap) meditation program.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90-minute class about sitting meditation opens twice a week. The theory and practice of sitting meditation and discussion are taught on a thirty-thirty-forty basis. A theory is offered Paccayas(conditions) and five Skandhas(heap) of the new way of being. All ordinary mind states depend upon conditions. If conditions change, then the mind state also changes.
    The practice portion of the class, designed to help the students with sati (mindfulness) training exercises, is comprised of diverse meditation sessions including body scan, breathing, walking, eating and yoga.
    Sitting meditation, the base of Annapanā sati suta (mindfulness of breathing), is woven into every aspect of one's daily life. It may lead to physical relaxation, attention, greater concentration and awareness, serenity, insight into recess for the soul, to name but a few.
    To observe the changes of mind, this study uses the three Methods: (1)Acceptance &Action Questionnaire-16: AAQ. (2)Psychological Symptoms. (3)Clinging scale-past fixation, lack of nowness, future fixation, fixed opinion, situational inflexibility, desire obsession. (4)Keeping the Sitting Meditation Diary. The Methods (1) and (3) are employed prior to the first class and after the 8th week classes, and Method (4) after the 2nd week classes.
    At the initial stages of the practice sessions, the student meditators had difficulty in settling into a balanced posture. It was found, however, that over time they were increasingly committed to sitting meditation. Three to four weeks into the practice, they produced tangible results such as increased concentration, insight into the recesses of the mind, and mind healing. A few anxiety-stricken students regained some degree of stillness of mind and body. The sitting meditation practice, as therapy seeing and letting go(放下着), aims to help the meditators get out of their shell and 'condition' themselves from emotion.
    This study finds that through sitting meditation, the students got an insight with which to realize what they really are, with the result that they came to better know their mind and accept themselves and empathy. It may be concluded therefore that one can solve their own problems through Paccayas(conditions) and five Skandhas(heap) meditation progra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각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