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교 경전에 나타난 충효관 연구 : 『문창효경(文昌孝經)』과 『정명충효전서(淨明忠孝全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cep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in the Taoist Scripture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3.06
31P 미리보기
도교 경전에 나타난 충효관 연구 : 『문창효경(文昌孝經)』과 『정명충효전서(淨明忠孝全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 수록지 정보 : 대순사상논총 / 45권 / 37 ~ 67페이지
    · 저자명 : 조민환

    초록

    이 논문은 『문창효경(文昌孝經)』과 『정명충효전서(淨明忠孝全書)』에 나타난 충효관을 중심으로 하여 도교가 지향하는 충효관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한대(漢代) 이후 유학이 지배 이데올로기로 작동한 이후 효 관념은 국가와 사회를 이끌어가는 대표적인 덕목으로서 황제에서부터 한 개인에 이르기까지 모두 해당하였다. 도교에서도 충효를 강조하는 것은 마찬가지였다. 도교의 종파에 따라 효 그 자체를 중시하는 경우도 있고 효를 충과 함께 중시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도교를 ‘세속에서의 인간관계망에서 요구되는 바람직한 행동거지를 잊어버리고 삶을 살아가면서 맞닥트리는 다양한 사물과의 관계를 끊는 것[絶世遺物]’으로 규정하는 것을 비판하면서 충과 효를 강조하는 ‘정명충효도(淨明忠孝道)’의 효도관 및 충효관은 유가의 충효관의 영향 관계를 보여주면서 동시에 도교의 효도관과 충효관을 보여준다. 도교가 지향하는 가장 근본적인 것은 불로장생하는 신선 되기 혹은 우화등선(羽化登仙)을 추구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같은 신선이 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충효(忠孝), 화순(和順), 인신(仁信)을 행할 것을 요구한다. 충효, 화순, 인신을 강조하는 것은 유가와 동일하다. 하지만 그것을 통해 신선 되기를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유가에서 신선을 부정하는 것과 차별화된 사유에 속한다. 특히 정명충효도에서는 ‘절세유물’로 이해되는 도교관을 거부함과 동시에 충효를 통한 제가(齊家)와 치국(治國)은 물론 모든 만물에까지 충효의 이념과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유가의 효도관과 대비하여 본 도교 효도관의 특징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하나는 도교가 추구하는 장수(長壽)하면서 성선(成仙)하는 것을 효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짓는다는 것이다. 이런 점은 장수성선(長壽成仙) 신앙을 가미해 유가의 효도관을 개조하고 제고시킨 점이 있다. 다른 하나는 도교의 효도관에는 천인감응(天人感應)의 사상이 농후하다는 점이다. 효행을 하면 천지신명과 감응한다는 도리를 강조하면서 동시에 불효하고 불충한 경우 하늘로부터 재앙을 받는다는 사유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친소(親疏)의 구별을 하지 않고 부모부터 천지 만물에 이르기까지 효도를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loyalty and filial piety pursued by Taoists, focusing on the concept of loyalty and loyalty shown in Wenchang Filial Piety Classic and General Collection of Jingming on Loyalty and Filial Piety. After the Han Dynasty, the concep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became the representative virtues that led the country and society to follow the ideology of Confucius as the dominant ideology. This applied to everyone from emperor to each individual. Taoism had different reasons for promoting the concep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and these even varied from sect to sect, but generally, Taoism could also be said to emphasize loyalty and filial piety. Depending on the sect of Taoism, filial piety might be valued on its own or filial piety might be valued in conjunction with loyalty. In particular, defining Taoism was criticized for “forgetting the desirable behavior required in the human network of the world and severing relationships with various objects encountered in life.” In this respect, the concep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in General Collection of Jingming on Loyalty and Filial Piety, could be observed to emphasize ‘filial piety’ in conjunction with ‘loyalty’, and this shows the influence of Confucius’ concep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At the same time, this shows the concep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as reimagined by Taoism. The most fundamental aim of Taoism is to pursue immortality. However, as a prerequisite for becoming such a god, loyalty and filial piety, were practiced alongside ‘gentleness’ and ‘humanity and trustworthiness.’ Here, the Taoist emphasis on ‘loyalty and filial piety’, ‘gentleness’, and ‘humanity and trustworthiness’ is essentially the same as in Neo-Confucianism. However, seeking to become an immortal through these values represents a motivation that is different from Neo-Confucians who denied the pursuit of immortality.
    In this paper, loyalty and filial piety as understood and practiced by Neo-Confucian scholars will be compared with the same concepts in the Taoist context and the findings will be summarized via three categories. First, in the Taoist model longevity and the pursuit of immortality are seen as being closely related to filial piety. The reason why achieving longevity and pursuing immortality was considered closely related to filial piety is because this is a modified and enhanced reimagining of the Neo-Confucianist concep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The other is that Taoism’s concep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is richly supplemented with content about ‘interactions between heaven and humankind.’ When filial piety is practiced in this context, the principle of responding to the gods of heaven and earth is emphasized. At the same time, Taoism presents consequences for insufficient filial piety to parents or insufficient loyal to the king; disasters will be brought down by heaven. Finally, it is argued that the practice filial piety is necessary and should extend not only to parents to all phenomena in the world without distinguishing based on one’s degree of intimacy to those phenome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순사상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