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徐命膺의 <<皇極一元圖>>에 나타난 易學思想 분석 - 소강절 역학과 서명응 역학의 영향과 관련하여 - (An Analysis of the ideas of I-ching in <> by Seo Myung Eung(서명응)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Shao-Yong’s I-ching and Seo Myung Eung’s I-ching)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0.12
34P 미리보기
徐命膺의 &lt;&lt;皇極一元圖&gt;&gt;에 나타난 易學思想 분석 - 소강절 역학과 서명응 역학의 영향과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57호 / 73 ~ 106페이지
    · 저자명 : 조희영

    초록

    본 글은 奎章閣 소장 서명응의 <<皇極一元圖>>에 나타난 易學思想을 연구하는 논문이다. <<황극일원도>>(이하 ‘이 도설’이라 함)는 소강절 원회운세식 조선 역사서로 앞서 신익성과 홍계희가 지은 것과 같은 종류의 역학적 역사서이다. 그러나 그에 비해 내용이 충실하고 천세력이 들어 있다는 특색이 있어, 원회운세식 조선 역사서의 완결판 정도로 평가할 수 있다. 연원을 따져보면 이 도설은 서명응 역학에서 나왔고 서명응 역학은 강절역에서 나왔다. 따라서 논문의 선결 사항으로서 강절역이 이 도설에 미친 영향과 서명응 역학이 이 도설에 미친 영향을 먼저 살펴보았다. 이어서 이 도설을 서문, 상ㆍ하편으로 나누어 분석한바, 서문에서 영조의 염원과 서명응의 본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절의 數도 결국 「하도」 중궁에서 나왔고 先天學은 心法이며 그림은 모두 中을 따라서 일어나고, 萬化萬事는 마음[心]에서 생겨난다는 것이다. 서명응은 이 도설을 以理觀物하여 先天心法과 三聖心法을 깨우쳐서 복희 선천시대가 후천의 영조시대에도 가능함과 사대부도 이를 알아야 함을 주장했다. 상편은 원회운세 네 단계를 一元 12회 360운 4320세 129,600년으로 구분하고 이를 강절의 사부법인 日月星辰으로 재배치하며, 다시 12회에 상응하는 12벽괘를 부여했다. 인문의 흥망성쇠의 분기점을 나타내는 卦로 乾卦와 姤卦를, 시대로는 요임금 때를 잡았다. 서명응은 다른 역사서와 달리 복희씨 원년을 己巳會 辛酉運 戊戌世 癸酉年(BC.2999)이라 했다. 이는 강절도 말한 바 없다. 서명응은 一元의 시종이나 1년, 1달, 1일의 시종 또한 數와 理로 치밀하게 연결되었다는 사실을 이 도설로 알 수 있다고 했으며, 그 ‘理’는 불변이기에 원회운세의 수도 리를 위배할 수 없다고 했다. 하편은 천세력을 더해서 조선의 앞날을 내다보고자 한 것이다. 서명응은 과거의 연고를 정확히 알면 앞날에 일어날 일도 앉아서 알 수 있다는 점을 <<孟子>>를 인용하여 주장했다.
    결론적으로 서명응은 이 도설을 통해서 선천학을 시대의 중심사상으로 삼고자 했다. 그것을 영조에게는 제왕학으로 바치고 사대부에게는 시대를 선도하는 계몽도설로 제시했지만, 현실에서는 절반의 성공에 그치고 말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Seo Myung Eung’s <<Hwanggeuk Ilwondo>>, a work preserved in Gyujanggak(규장각). <<Hwanggeuk Ilwondo>> shares the style of historical books written by Shin Ik-seong(신익성) and Hong Gye-hee(홍계희) in the early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which were influenced by Shao-Yong(邵雍:소강절)’s Wonhoeunse(원회운세). However,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content is substantial and contains a thousand year future calendar. This book came from the mechanism of Shao-Yong and the mechanism of Seo Myung Eung from Shao-Yong’s I-ching(강절역).
    Shao-Yong’s I-ching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iconography(도상론)[Seoncheondo「선천도」]- Wonhoeunse theory(원회운세론)- Voice creation theory(성음창화론)-Gwanmul theory(관물론)-Risu theory(理數論)-the law of the mind theory(심법론). The I-ching of Seo Myung Eung was focused on his Seoncheonsayeon(先天四演). He put forward the four roads leading to Seoncheon(선천), which he suggested, and he tried to establish a new Seoncheonology of Joseon(조선의 선천학) with the Hado Junggung(「하도」 중궁).
    The analysis of <<Hwanggeuk Ilwondo>> was divided into the preface, the upper and lower parts. In the preface, it was possible to confirm Yeongjo(英祖)’s wishes and the true intentions of Seo Myung Eung, so it is said that the mathematics of Shao-Yong eventually came from Hado Junggung.
    By reading this book, he awakens the law of mind of Seoncheon(先天心法) and the three Saints heart Law(三聖心法), and speaks silently that the birth of the Bokhee(伏羲) is possible even in the era of King Yeongjo of the Hucheon(후천).
    Seo Myung Eung emphasized that if you know exactly what is due to the past, you can easily know what will happen in the future. In conclusion, through this book, Seo Myung Eung tried to make Seoncheonhak(선천학) as the central idea of the times. It was presented to Yeongjo as King of Kings and as a book of enlightenment to lead the era to the nobility, but was only half successfu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