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 이래 거주자 재한일본인처의 언어와 문화 - 부산 거주자 2명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Language and Culture of Japanese Women Living in Korea Since Liberation -Mainly on the example of two Busan resident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8.11
20P 미리보기
해방 이래 거주자 재한일본인처의 언어와 문화 - 부산 거주자 2명의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19권 / 4호 / 53 ~ 72페이지
    · 저자명 : 박양순

    초록

    재한일본인처의 한국 거주력은 해방 전후부터 시작되어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나힘든 역사적 틈바구니 속에서 오로지 자연습득에 의해 습득한 한국어를 일상어로 사용하며 일본인과의 실낱같은 유대관계에 의지하여 힘겹게 살아왔다.
    재한일본인처의 커뮤니티적 성격은 한국 관련 네트워크와 일본 관련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가운데 가족과 친족 및 생업활동은 한국(인) 사회적 네트워크에 의존하며 제한적이나마 <부용회>라는 친목단체로 대표되는 일본(인)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해 일본 또는일본인과 소통하며 한국에서의 삶을 영위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때문에 가족관계 및생업 담당 여부가 한국어 습득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하며 <부용회> 단체와관련성 정도에 따라 일본어 유지 능력을 달리하였다.
    재한일본인처의 언어적 요소는 한일바이링궐이면서도 개인의 언어환경에 따라 우세언어는 각기 달리 나타났고 부산 거주자 재한일본인처의 경우는 한국어의 억양, 어휘 등모두 동남권방언화자로서의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이들의 언어 사용에 있어서는한국적 요소와 일본적 요소를 아울러 가지는 중간적 양상을 보였다. 우선 호칭 사용에 있어서 상호간의 호칭은 <성씨+さん>으로 일본적 요소를 띠지만 한국생활의 동화 정도에따라 재한일본인처의 경우 한국식의 친족명으로 호칭하기도 하였다. 또한 화제에 등장하는 인물이 일본인이든 한국인이든 친족명은 한국어 호칭어 사용이 대부분이었는데 이는 한국어의 호칭어가 더욱 세분화되어 있어 이에 따르는 것이 호칭에 대한 변별력이 있어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었다. 또한 일본어 모어화자들의 대표적인 화용론적 특징으로 맞장구와 필러의 빈번한 사용, 중도종료발화 등이 자주 언급된다. 이러한 화법을 이들의 한국어사용에서 나타나는가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A씨의 경우는 일본어 화법을 그대로 한국어사용에 적용하는 경향이 강하나 B씨의 경우는 필러 사용 등이 적고 맞장구 표지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한국어 화법에 따르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화용론적 요소까지 한국어의 자연습득에 의해 습득되어진 것으로보인다.
    이상으로 재한일본인처의 언어사용은 70년간 한국에서 거주하며 한국어로 대부분의의사소통을 영위하고 있어 일본어사용은 제한적이고 쇠퇴 경향이 강했으나 모국어로서의 인식이 강했고 의식과 문화적인 면에서도 한국적 요소가 강하게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inside where a Korean network concerned and a Japan-related network coexisted as for the character of the re-Korea Japanese former community knew that a family and a relative and the occupation activity came to a mutual understanding with Japan or a Japanese through the Japan social network that restrictive, was represented depending on Korea social network by the friendship group called <Buyonghoe> and ran life in Korea. Therefore, family relations and the occupation charge right or wrong acted in the element which had an influence on the Korean acquisition degree and differed from <Buyonghoe> group in ability for Japanese maintenance by relative degree.
    The linguistic element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as the Korean and Japanese bilingual, but the dominant language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anguage environment of individuals, while Busan residents ha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ialects and vocabularies. In particular, they had a neutral aspect of both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usage. First of all, the mutual name in the use of the title is "family name + sa-ng" but depending on the degree of assimilation of Korean life, Japanese people in Japan were called Korean-style relatives. In addition, the person who appeared in the topic was a Korean in Japanese, but use of Korean name word was most, but, as for the relative name, this was able to watch what there was the discrimination for the name, and what it depended on used routinely so that name word of Korean could be subdivided more. In addition, it is often mentioned making agreeable responses and the frequent use of the filler, halfway end ignition with the representative Pragmatics characteristic of the Japanese mother tongue speaker. I am seen with what see it as there is little use of filler when a tendency to just apply a Japanese narration to use of Korean in the case of result A which analyzed such a narration at the side appearing by use of these Korean is descent and B, and a makingagreeable responses cover hardly appears, and depend on a Korean narration and the thing that is seen, and was learned to Pragmatics element through this by the nature acquisition of Korean.
    With the above the use of language of the Japanese married woman residing in Korea communicated by Korean while living in Korea for 70 years, but restrictive, as for the use of Japanese, a decline tendency was strong, but the recognition as the native language was strong, and a Korean element strongly appeared even in consciousness and the cultural asp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