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계암일록溪巖日錄』을 통해 본 병자호란 직후 명·청전쟁 관련 풍문과 가짜뉴스 (Rumors and Fake News on the Ming-Qing War in Joseon Society : 1637~1641)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3.03
47P 미리보기
『계암일록溪巖日錄』을 통해 본 병자호란 직후 명·청전쟁 관련 풍문과 가짜뉴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50호 / 183 ~ 229페이지
    · 저자명 : 이재경

    초록

    본고는 병자호란 직후 조선 사회에 퍼진 명·청전쟁 관련 풍문과 가짜뉴스를 『계암일록』을 주 자료로 하여 상세히 추적하였다. 병자호란이 종결된 직후인 정축년(1637)에는 명군이 청군의 퇴로를 끊었다거나, 명 수군이 조선 연해에 찾아와 조선의 상황을 양해해주었다는 내용의 풍문이 전파되었다. 이는 대명의리를 배신해야 했던 조선의 부채의식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이어서 무인년(1638) 상반기에는 일본과의 관계 긴장을 배경으로 일본군이 조선을 통과해 청을 치러 갈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고, 홍타이지의 몽골 원정에 관한 심양발 보고 및 평안도에 찾아온 명 수군 관련 소식을 바탕으로 명과 몽골·일본 등이 연합하여 청군을 격파하고 있다는 풍문이 활발히 전파되었다.
    무인년 하반기 청의 중원 원정이 전개되자 풍문의 내용은 원정의 처참한 실패를 강조하는 쪽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풍문은 어느 정도 실상을 반영하기도 했으나, 본질적으로는 청의 원정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려는 의도의 소산이었다. 경진년(1640) 하반기부터는 다시금 명군의 적극적인 공세로 청의 기세가 꺾이고 있다는 방향의 소문이 이어지게 되는데, 이는 당시 청이 조선에 대해 척화신 체포 등 강력한 압박을 가하고 있었던 데 대한 반작용으로 나타난 것으로 추측된다.
    이처럼 조선 사회에서는 명·청전쟁에 관한 풍문이 지속적으로 전파되고 있었으며, 그 내용은 당시의 상황 전개와 다를 뿐만 아니라 현대의 우리가 예상하기 어려운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여기에는 대외정보가 비공식적으로 유통되어 가짜뉴스가 섞이기 쉽던 당시의 정보 전파 환경, 명의 국력을 낙관적으로 바라보았던 조선인들의 정세인식, 그리고 청에 대한 반감이 함께 작용하고 있었다. 당대인들은 대명의리론과 전근대적·비공식적 정보 유통이라는 시대의 한계, 그리고 확증편향과 가짜뉴스라는 통시대적 현상의 제약을 받고 있었다. 병자호란 직후 명·청전쟁에 관한 풍문과 가짜뉴스는 조선인들의 정보에 대한 갈증과 청에 대한 적개심의 소산이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tracked rumors and fake news on the Ming-Qing War that spread in the Joseon society immediately after the Manchu Invasion of Korea(1637) using Gyeam Ilrok as the main source. In 1637, right after the end of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rumors said that the Ming army cut off the retreat of Qing troops, or the Ming navy came to the coast of Joseon to appease Joseon people. In the first half of 1638, based on the official report on Hongtaiji’s Mongol expedition and the Ming navy’s approach on the northwestern coast of Joseon, rumors circulated that the Japanese military would pass through Joseon to invade Qing, and fake news on the coalition of Ming, Mongol, and Japan to defeat the Qing army went widespread.
    When Qing’s expedition to Ming proper unfolded in the second half of 1638, the contents of the rumor emphasized the disastrous failure of the expedition. These rumors reflected reality to some extent, but in essence, they were intended to negatively describe the result of the expedition. From the second half of 1640, rumors continued that the Qing’s momentum was being dampened by the Ming’s active offensive,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a reaction to the Qing’s strong pressure on Joseon, including the arrest of anti-Qing figures.
    As such, rumors of the Ming-Qing War were continuously spreading in Joseon society, and the contents were not only different from the development of the situation at that time but also included elements that were difficult for us to understand in modern times. There were reasonable factors: Foreign information was informally distributed, so fake news was easily mixed; Inhabitants of the Joseon dynasty were optimistic about the strength of Ming China, and the Manchu Invasion of Joseon fostered antipathy toward “barbarian” Qing. The people of the time were constrained not only by the limitations of the era such as cultural loyalty to Chinese civilization, and pre-modern, informal ways of disseminating information, but also the all-time phenomenon of confirmation bias and fake new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