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남조의 사찰명 분석을 통해 본 남조불교의 특징 ― 백제 불교 이해를 위한 전제 ― (The features of the Southern Dynasties’ Buddhism see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names of the temples)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1.01
53P 미리보기
중국 남조의 사찰명 분석을 통해 본 남조불교의 특징 ― 백제 불교 이해를 위한 전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56호 / 179 ~ 231페이지
    · 저자명 : 박윤선

    초록

    현재 확인 가능한 중국 남조 사찰명을 분석하여 분류를 시도해 보았다. 크게 명칭형과 종교형으로 양대분하고, 명칭형은 다시 지명형과 인명형으로 구분했다. 종교형은 다시 인간의 보편적 기원이나 전통신앙에서 유래된 용어를 쓴 사찰명과 불교적 용어를 채용한 사찰명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동진이전의 사찰 건립 초기에는 지명과 인명 중심의 명칭형이 다수를 차지했는데, 그것이 남조대에 이르면 지명형부터 크게 줄어들기 시작하여, 남제대에는 인명형마저 그 비중이 미미해지니 이제 종교형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리고 양대에는 종교형 가운데에도 불교형 이름의 비중이 가장 높아지게 되었다.
    사찰명의 시대적 변화는 중국에서 불교 이해가 점차 깊이를 가지게 되어 가는 양상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지명이나 인명 등을 채용한 사찰명은 과도기적인 양상으로 이러한 이름은 곧 사라질 것이 예견되는 것이었다. 종교형 사찰명 가운데 전통신앙형 역시 순차적으로 불교적 용어에 밀려서 후퇴되었어야 하겠지만, 견고한 역사적⋅철학사상적 기반을 가지고 있는 중국의 전통 철학 사상은 오히려 불교에게서 변용을 이끌어냈고, 그러한 사정은 사찰명에도 반영되었다. 전통신앙적 성격의 용어가 이후에도 사라지지 않고 계속 사찰명에 채용되었으며 마침내 일반화되기에 이르른 것이다. 남조대는 불교가 중국의 전통사상과 신앙의 기반위에서 이해되는 과정을 거치는데 그와 같은 사실이 사찰 명칭에서도 다시 한 번 확인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불교가 백제에 전해졌다. 백제는 동진으로부터 불교를 수용하였고, 그 이후에도 백제는 주로 남조와 교류하며 정치⋅외교적으로, 또 문화적으로 남조의 영향을 받은 바가 크다. 백제 불교 역시 남조 불교의 영향이 적다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남조 불교가 중국 전통 사상⋅철학과 긴밀하게 얽혀 있었다는 사실은 백제 불교의 모습을 추론하는 데 참고할 필요가 있다.
    백제에 수용된 불교는 백제에서 또 다시 백제의 전통적인 철학사상⋅신앙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성장해 갔을 것이다. 수용 초기의 불교와 백제에서 일정한 시간을 지난 불교 사이에는 어느 정도 차이가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백제가 처음 수용한 불교, 그리고 그 이후 백제불교에 영향을 주었을 남조 불교가 여전히 도교 등 전통사상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다는 점, 그리고 불교를 수용한 백제 사상계의 기반이 불교의 그러한 요소와 친연성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수용기뿐 아니라 이후의 불교에서도 전통신앙적 요소는 엄연히 존재하였을 것이다. 즉 백제에서 불교는 도교 등 중국 전통사상⋅신앙적 요소와 서로 분리되어 존재한 적이 없이 늘 함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영어초록

    I tried the analysis and the categorization of the temple names of the Southern Dynasties in China. First, I categorized them into name type and religion type. Then, I categorized the name type again into region-name type and person-name type. Finally, I categorized the religion type into general religious term type and Buddhist term type.
    In the early days of building temples, before East Jin Dynasty, many of the names were name type. However, as it reached the Southern Dynasties, name types rapidly decreased, starting with the region-name type. At the NamJae period, the person-name type decreased too, and religion type held a huge proportion. At the Yang Dynasty, the Buddhist term type held the largest proportion.
    The change of temple names along times reflects the deepening understanding of Buddhism in China. The temple names using the names of people or regions were a transition period, and were deemed to disappear. Out of the religion types, the general (traditional) religious term type must have retreated gradually because of the Buddhistic term type names, but the Chinese traditional religion with its strong historic and philosophical roots actually changed Chinese Buddhism, and it was shown likewise on the names of the temples. The traditional religious term type names didn’t disappear and were constantly used for the temple names and it was gradually generalized. The Southern Dynasties period is when Buddhism is understood on the basis of Chinese traditional philosophy and religion, and it was reflected directly to the temple names.
    This kind of Buddhism was accepted to Baekjae. Baekjae embraced Buddhism from East Jin, and even after that, Baekjae mainly interchanged with the Southern Dynasties and was influenced very much in political, diplomatic, and cultural ways. The Buddhism of Baekjae also was influenced very much by the Buddhism of the Southern Dynasties. In that point we need to remember that the Southern Dynasties’ Buddhism is very much intertwined with traditional Chinese ideas and philosophy when inferring the form of Baekjae’s Buddhism.
    The Buddhism accepted by Baekjae must have developed while exchanging influence with the traditional philosophy and ideas of Baekjae. The early times of Buddhism in Baekjae and Buddhism in Baekja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should have some difference. However if we think of the fact that Buddhism first accepted in Baekjae, and the Buddhism after some time later still contained some traditional content such as Taoism, and the fact that the base of Baekjae ideas had affinity with such content in Buddhism we can deduce that Buddhism in the accepting times and after still contained elements of traditional religion. Thus it is thought that in Baekjae, Buddhism was never separated from Chinese traditional philosophy and ideas such as Taoism and was always toge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