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지원의 <족손증홍문정자박군묘지명> 개작과정 연구 - 이본 간 변이양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daptation Process of Park Ji - won’s 「Epitaph for Park Su - su at the Hongmungwan Jeongja」 - With a focus on the variations between the different version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6.08
32P 미리보기
박지원의 &lt;족손증홍문정자박군묘지명&gt; 개작과정 연구 - 이본 간 변이양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문학 / 62권 / 62호 / 83 ~ 114페이지
    · 저자명 : 현안옥

    초록

    이 글은 박지원이 쓴 「족손홍문정자박군묘지명」의 이본 분석을 통해, 개작과정의 변이 양상과 작가의 개작 의도를 살피고자 하였다. 특히, 개작을 통해 망자(亡子)의 삶을 어떻게 부각하는지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먼저 「족손홍문정자박군묘지명」이 실려 있는, 『병세집』과 연민문고의 『연암초고 八』, 『겸헌만필 乾』, 『엄화계집 乾』, 『유상곡수정집 乾』, 『하풍죽로당기 坤』, 『백척오동각집 坤』, 성균관대 소장 『연상각집 墓銘』, 계서본 『연암집』과 박영철본 『연암집』의 이본을 분석하였다. 이후 이본 간에 글자 출입이 확연히 구별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소극적 개작’과 ‘적극적 개작’으로 분류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 ‘소극적 개작’ 유형은 이체자를 제외하면 글자 출입이 적고 비점(批點)이 다양한 형태를 보였으며, ‘적극적 개작’ 유형은 원문과 비교했을 때 추후에 추가된 문장과 삭제된 글자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 나에게 묘지명을 부탁하였다(請銘于余)’와 ‘㉯반남 박씨이다(潘南人也)’ 부분에서 극명한 차이를 보였다.
    이본 간 차이를 통해 박지원의 개작 의도를 크게 세 유형으로 나누어 보았다. 첫 번째로 ‘엄격한 가풍과 세상 사람들의 부정적 편견’을 설명하는 방향으로 문장이 추가되었다. 이는 망자(亡子)가 자신의 속내를 꼭꼭 숨길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밝힌 것이다. 두 번째로는 ‘억눌린 문사(文士)적 기질’을 부각하는 방향으로 문장이 수정되었다. 맑고 깨끗한 마음과 뛰어난 문학적 재능을 발휘하지 못했으며, 홀로 답답해하던 일화들이 추가되었다. 세 번째로는 ‘비극적 운명에 대한 예지’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문단이 재배열되었다. 죽기 전에 자신의 관상을 본 일화 바로 뒤에, ‘평소 관상이 적중했다’는 문장을 덧붙여 요절의 애통함을 더하였다. 이를 통해 평생 더불어 마음 나눌 사람조차 없었던 ‘궁극의 외로움’과 주어진 ‘운명을 거부할 수 없던 고통’이 전면에 드러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박지원은 단정적 기술방식을 일화 나열과 상황 묘사로 바꾸었으며, 대화를 직접 인용해서 문학성을 높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adaptation intentions of the author and the variations of the adaptation process through an analysis of the different version of the Epitaph for Park Su-su at the Hongmungwan Jeongja. In particular, the study dealt with how the life of the deceased was emphasized in the adaptation.
    First of all, this study analyzed the variations of the Epitaph for Park Su-su at the Hongmungwan Jeongja published in Byeongsaejib, Yeonamchogo(八), Gyeomheonmanpil(乾), Eumhwagyejib(乾), Yusanggogsujeongjib(乾), Hapoongjukrohdanggi(坤), Baekcheokohdonggakjib(坤), Yeon-sang-gak-jip(墓銘), the Gyeseo version of Yeonamjib, and the Park Yeong-chul version of Yeonamjib. The study made comparisons by distinguishing ‘Passive Adaptation (Ⅰ)’ and ‘Active Adaptation (Ⅱ)’ based on the parts that clearly distinguish character entries between variations. As a result, the ‘Passive Adaptation (Ⅰ)’ type had fewer character entries, excluding Chinese character variants, while there were various forms of Bijeom(批點). The ‘Active Adaptation (Ⅱ)’ type, in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had many subsequently added sentences and deleted characters. In particular, the sentences ‘ⓐ He asked me for an epitaph (請銘于余)’ and ‘ⓑHe was a Bannam Park(潘南人也)’ in ‘Passive Adaptation(Ⅰ)’ are parts that clearly differ.
    The difference between variations enabled the distinction of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adaptation intention of Park Ji-won. First, sentences were added to explain the ‘strict family tradition and the negative prejudice of the people in the world’. This was the reason that the deceased had no choice but to carefully hide his true heart. Second, there were sentence modifications that highlighted a ‘suppressed literary temperament’. Anecdotes about how the deceased failed to demonstrate his clear, clean heart and brilliant literary talents, and how he suffered alone were added. Third, paragraphs were rearranged to show his ‘foreknowledge of his tragic fate’. Right after the anecdote of having his fortune read by a physiognomic before his death, the grief due to his early death was added by attaching the sentence that the ‘physiognomy reading hit the mark’. This reveals in the forefront his ‘ultimate loneliness’ of being unable to share his heart with no one all his life and his ‘pain of being unable to deny his fate’. To achieve this, Park Ji-won changed the conclusive descriptive method into a listing of anecdotes and a description of situations, increasing the literary value by adopting dialog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