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숙종대 顯忠祠 건립의 배경과 정치적 함의 - 명 멸망 공인과 再造之恩의 재정립 - (The background and political implication of constructing Hyeonchungsa Shrine(顯忠祠) during king Sukjong’s reign - Official recognition of Ming dynasty’s collapse and reestablishment of Benefaction of N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2.12
34P 미리보기
숙종대 顯忠祠 건립의 배경과 정치적 함의 - 명 멸망 공인과 再造之恩의 재정립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39호 / 61 ~ 94페이지
    · 저자명 : 윤정

    초록

    본고는 숙종 33년 현충사 건립의 정치적 함의를 명 멸망의 공식 선언에 따른 ‘再造之恩’의 재정립이라는 맥락에서 살펴본 것이다.
    청의 체제 안정에 따라 정부는 숙종 25년부터 2년 7개월간 명사를 진강하여 명의 멸망을 공식적으로 천명하였다. 그리고 명군 파병으로 조선왕조가 존립할 수 있었다는 소위 ‘再造之恩’의 주된 내용을 파병 주체인 명 神宗에 대한 의리로 집중시켰다. 이에 毅宗의 사망한 지 1주갑이 되는 숙종 30년에 大報壇을 건립하여 신종의 제사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북벌의 폐기에도 대명의리의 정책 기조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정부의 움직임은 임진왜란 당시 명 장수에 대한 宣祖의 예우를 환기하게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명 장수와 연합작전을 펼치고 신종에게 都督印을 사여 받은 이순신의 사적이 부각되었다. 동왕 33년 숙종은 그의 종가에 顯忠祠를 건립하여 제사를 지원하였으며, 동왕 35년에는 고금도 관왕묘에 관우와 진린ㆍ이순신의 제사를 정부 차원에서 정비하고 동왕 39년 그 전말을 담은 비를 건립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임진왜란의 극복을 신종의 은혜로 입법화하면서 이순신의 사적이 대명의리의 구현으로 의미를 더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looks into the political implication of constructing Hyeonchungsa Shrine(顯忠祠) in the 33rd year of King Sukjong's reign in the context of official recognition of Ming dynasty’s collapse and reestablishment of Benefaction of Nation's Reconstruction(再造之恩).
    As stabilization of Qing dynasty’s regime, Joseon dynasty operated Ming-Shi(明史) in the royal study sessions. It was official recognition of Ming dynasty’s collapse which had coexisted since the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However, Joseon dynasty maintained ancestral rites for Emperor Sinjong(神宗) of Ming dynasty who was the principal agent of dispatching troops to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by constructing ‘The Altar of Great Gratitude(Taebodan)’. It meant maintaining keynote of policy ‘Discourse of Loyalty to the Ming dynasty(對明義理)’, even after the abrogation of the ‘Plan for a Northern Expedition(北伐論)’.
    The sort of Joseon dynasty’s policy aroused respectful treatment of Ming’s generals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the process, historical vestiges of Yi Sun-shin were stand out, who employed combined operations with the generals of Ming dynasty and was given ‘Dodok-in(都督印)’ from Emperor Sinjong of Ming dynasty.
    In the 33rd year of King Sukjong's reign, he supported ancestral rites by constructing Hyeonchungsa Shrine(顯忠祠) in the head house of Yi Sun-shin and in the 35th year, renovated ancestral rites of Guan Yu, Jinrin and Yi Sun shin in royal court level. And in the 39th year, he constructed a tombstone including the details.
    These trends show that overcoming of Japanese invasion in 1592 was sublimed as favor or Emperor Sinjong, historical vestiges of Yi Sun-shin had meaning of realizing ‘Discourse of Loyalty to the Ming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