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佔畢齋 金宗直의 「和陶淵明述酒」 詩에 나타난 자아의 정신 (A study on Spiritual sphere in Jeumpiljae KimJongjic's a response of Toyeunmyeung's description of an intoxicant)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0.03
35P 미리보기
佔畢齋 金宗直의 「和陶淵明述酒」 詩에 나타난 자아의 정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52호 / 7 ~ 41페이지
    · 저자명 : 이구의

    초록

    본고는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의 「화도연명술주」시에 나타난 정신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먼저 이 시의 형식면을 보면, 이 시의 구성은 6구, 8구, 8구, 6구, 2구로 이루어졌다. 이 시의 특징은, 첫째 시인이 많은 고사(故事)를 사용하고 있다. 둘째 용사(用事)를 통하여 우의(寓意)하고 있다. 용사의 대상은 전국시대에서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까지의 난신적자(亂臣賊子)들의 이야기이다.
    이 시를 지은 목적은 후세의 난신적자(亂臣賊子)들이 그의 시를 보고 경계(警戒)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두고 보면 이 시는 교훈성에 목적이 있다. 이 교훈을 주기 위해서 이 시를 지었을 때 구성방법은 공자의 「춘추」 정신이다.
    점필재의 「화도연명술주」시에 나타난 정신은, 첫째 자연 질서(自然秩序)에의 순응(順應)과 정명주의(正名主義)의 실천이다. 둘째 과거의 역사에 대한 현재의 사실의 작용과 반작용이다. 셋째 충성(忠誠)과 직필(直筆)의 정도관(正道觀)이다. 넷째 천운(天運)의 순환(循環)과 인과응보의 관념이다.
    이 「화도연명술주」시를 통해서 볼 때 점필재는 불의를 보고 참지 못하는 선비정신을 지니고 있었다. 도연명이 초인문정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데 반해 점필재는 인문정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 점에 도연명의 시와 점필재의 시가 다른 점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poetry of Jeumpiljae KimJongjic's (佔畢齋 金宗直: 1431-1492) are linked with life, and what the spiritual sphere in which is.
    It is composed of fiver steps.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m can be summarized into several things. In this poem, he used amount event of the remote past. He satirized his lifetime using these event of the remote past. The object 0f using event of the remote past is stories of the Age of the Warring States and the dynasty of the WijinNambukjo's traitors.
    The object 0f This poem is in order to cautious of traitors in his after age. An ultimate goal of this poem is giving a lesson to coming ages. The persona in his poetry corresponded with nature and human beings.
    In this poem, It revealed the historical view is a spirit of the Chronicles of Lu. His view of life is empiricism from the cultivation of disposition. An atmosphere through this poem is the inseparability of knowledge and practice. The styles of his poetry is tranquility and thinness especially in his describing amusements. In conclusion, the spiritual sphere in Jeumpiljae KimJongjic's a response of Toyeunmyeung's description of an intoxicant is possessing powerfulness and tenderness.
    A point of difference between Jeumpiljae and Toyeunmyeung's is humanistic and transcendental. The spiritual sphere of Toyeunmyeung's is rising above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