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인⋅숙종기의 산수화―明 前期 宮廷繪畵의 영향을 중심으로― (Landscape Paintings of the 17th Century -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the Court Paintings of Ming, Chin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08.12
29P 미리보기
17세기, 인⋅숙종기의 산수화―明 前期 宮廷繪畵의 영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31호 / 73 ~ 101페이지
    · 저자명 : 유미나

    초록

    이 논문은 인⋅숙종기 조선의 절파화풍과 明 前期 궁정화풍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조선 절파화풍이 戴進이나 吳偉 등 중국 절파를 대표하는 화가들이 아니고, 미술사에서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궁정화가와 관련된 점은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로, 이에 대한 상세한 고찰이 따라야 할 것으로 여겨졌다. 먼저 인․숙종기 문헌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는 중국의 절파관련 화가들은 王諤 ․ 朱端 ․劉俊 ․ 王世昌이고, 이들이 모두 明朝의 황제들에게서 크게 인정받아 錦衣衛의 여러 품직과 황제가 하사한 인장을 수여받기도 한 궁정화가임을 보았다. 또한 이 시기 조선에서 최고로 여겼던 화가는 미술사에서 잘 알려진 대진이나 오위가 아닌 왕악, 주단과 같은 궁정화가였음을 알 수 있었다. 명 전기의 궁정화가의 화풍이 한 세기 가량의 시차를 두고 인⋅숙종기 화단에 영향을 미친 것은 우선 이 시기 회화를 애호한 군왕과 서화 관련 활동을 활발히 펼친 종친들의 영향력 그리고 취향과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주로 연행사신을 통해 문물의 수입이 이루어졌던 당시에 명 전기 궁정화풍은 조선인들로서는 정통성과 우수성이 검증된 화풍으로 인식되었고, 따라서 그 영향력이 더욱 지속적일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기록과 작품을 통해 화풍상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왕악은 이경윤⋅이징⋅전충효의 산수화에 영향을 미쳤다. 이른바 ‘王諤勢’와 ‘郭熙才’가 인⋅숙종기 산수화의 이상경을 표상하였다. 당시 왕악의 화풍은 우뚝 솟은 험준한 山勢와 부벽준의 필법이 특징적으로 받아들여졌다고 할 수 있다. 곽희의 화풍은 蟹爪寒林과 平遠景이 특징으로 인식되었으며 이는 조선 초기 이래 꾸준히 애호되었던 것이다. 朱端은 ‘명나라 第一筆’이라 일컬어질 정도로 높이 평가되고 있었는데, 대범한 화면구성과 조방한 필묵법이 17세기 조선에서 奇格과 神筆로 이름 난 金明國이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한 이상이었다. 그러나 주단은 18세기 조선에서는 이미 잊혀진 화가였고 대신 오위의 이름이 김명국의 화풍과 관련지어 등장하였다. 이 외에 劉俊과 王世昌의 회화도 꾸준히 영향을 미쳤음을 양기성⋅장득만과 같은 숙종 말년에 활동한 화원들의 그림을 통해 알 수 있다. 양기성과 장득만은 明 궁정화의 틀을 유지하면서도 오파 혹은 남종화풍을 수용하여 개성적으로발전시켰으며, 이는 당시 화단의 화풍변화를 대변해 준다. 명말 남종화론이 화단을 지배하면서 이들 궁정화원들은 평가절하되고 그들의 작품은 송원대 대가의 것으로 변조되어 미술사의 전면에서 물러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정은 남종화풍이 풍미했던 18세기 조선에서도 마찬가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왕악세’의 산수화는 사라지고 왕악의 이름은 잊혀졌던 것이다. 함께 병칭되던 ‘곽희재’는 북송 곽희의 이름을 달고 있었기 때문에 오래 남을 수 있었던 것 같다.

    영어초록

    This i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Zhe School paintings of the 17th century Joseon and the court paintings of early Ming, China. It has not been acknowledged so far but the Zhe School paintings of Joseon were influenced by the works of the lesser known court painters of early Ming instead of such painters as Dai Jin or Wu Wei who represent the Zhe School paintings of China. First of all, a thorough research among the written materials from the 17th century Joseon was made to list the Chinese painters who influenced the Zhe School paintings of Joseon. Such names as Wang E(王諤), Wang Shi-chang(王世昌), Zhu Duan(朱端), and Liu Jun(劉俊) were retrieved from the search. They were the court painters who were active in early Ming, and who were recognized by the Ming emperors as excellent painters, appointed to certain ranks in the Embroidered Uniform Guard(錦衣衛) and bestowed a seal by the emperor. As the ways the painting styles of the Ming court painters influenced the landscape paintings of the 17th century Joseon; Wang E influenced the landscape paintings of Yi Gyeongyoon(李慶胤), Yi Jing(李澄), and Jeon Chung-hyo(全忠孝). The so-called 'Wang E's Force' and 'Guo Xi's Talent' represented the ideal style of the landscapes of the 17th Century Joseon. It can be understood that Wang E's landscape style particularly meant the precipitous mountain range and the Ax-cut brushstrokes. Guo Xi's style was represented by the 'Cold forest and the Crab-nail brushstrokes' and the 'Level-distance View,' which had, in fact, been popular ever since the early Joseon period. Zhu Duan was evaluated highly even as to be referred to as the 'Best in Ming, China.'Zhu Duan's monumental composition and the free and powerful brushwork was the ultimate goal that Kim Myeong-guk(金明國) wanted to achieve in the 17th century Joseon. However, the name, Zhu Duan, was obliterated in the 18th century Joseon, and was replaced by the name, Wu Wei, instead. Also, Liu Jun and Wang Shichang continuously gave influence to the paintings of Joseon, which can be confirmed in the works of the court painters like Yang Giseong(梁箕星) and Jang Deukman(張得萬),active toward the end of the reign of King Sukjong. Yang Giseong and Jang Deukman maintained the overall framework of the Ming court paintings, but added the elements of the Southern School painting style, thus creating their own individualistic styles. They reflect the change of styles of the time. In China, as the Southern School painting theory prevailed the entire art world toward the end of Ming, the above mentioned court painters were devaluated. Their works were forged as those of the masters of Sung or Yuan, and drew back from the facade in the history of art. Such was also the case in the 18th century Joseon when the Southern School painting style dominated the art world. The landscape with 'Wang E's Force' disappeared and the name, Wang E, was obliterated. However, 'Guo Xi's Talent' which had been juxtaposed along with Wang E survived and continued to live on through the 19th century Joseon, probably because of the name Guo Xi of North Sung,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