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술사학자 鄭明鎬 박사의 학문 세계 고찰-論著 분석을 중심으로- (Art Historian Dr. Myung Ho Jung Reflects on the World of Academia - particular focus on literature analysi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4.12
23P 미리보기
미술사학자 鄭明鎬 박사의 학문 세계 고찰-論著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62호 / 33 ~ 55페이지
    · 저자명 : 신대현

    초록

    이 글은 鄭明鎬 박사의 학문 세계를 분석하여 그 연구 업적을 학계에 기록하고, 나아가 이를 통해 후학들이 연구 자료로 삼을 수 있게 하기 위한 글이다. 정명호 박사는 우리나라 미술사학계가 뿌리를 내릴 때 중요한 역할을 한 이른바 ‘제2세대’에 속하는 연구자 중 한 명이다. 1960년에 창립된 ‘고고미술 동인회’의 일원이었으며, 1964~1966년의 석굴암 보수공사의 현장 조사원을 비롯해 공주 석장리 구석기 유적 발굴, 익산 미륵사지 조사 등 중요한 현장에서 조사·발굴을 담당하였고, 100여 편에 달하는 학술논문과 저술을 남겼다. 교육자로서도 원광대학교와 동국대학교에서 고고·미술 방면의 여러 후학을 양성하는 등, 60여 년 간의 학술 활동을 통해 미술사학계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
    그의 미술사학 연구는 주로 공예와 석등에 집중되었다. 한동안 맥이 끊기다시피 하였던 우리 전통공예의 한 분야인 華角 공예의 이론적 연구 토대를 마련하였고, 그 자신 화각 제작 匠人으로서 實技에도 정통하였다. 이렇듯이 그는 적어도 공예 분야에 있어서 미술사 연구는 이론과 더불어 제작 경험, 과학기술 면에서의 접근 등을 포함하여야 완벽한 연구가 이뤄질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또한, 삼국~조선시대에 이르는 石燈의 발전 양상과 종류, 시대별 양식을 구명한 것도 그의 큰 학문적 업적으로 꼽힌다. 따라서, 정명호 박사의 학문 세계의 분석은 곧 우리나라 미술사학계의 발전상을 살피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Dr. Jeong Myung-ho's academic world, document his scholarly achievements for the academic community, and provide valuable research material for future scholars. Dr. Jeong Myung-ho[鄭明鎬] is one of the prominent scholars belonging to the so-called “second generation” who played a pivotal role in establishing the field of art history in South Korea. He was a member of the “Archaeology and Art Association,”[考古美術] founded in 1960, and participated in key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projects, such as the restoration of Seokguram (1964–1966), the excavation of the Paleolithic site in Seokjang-ri, Gongju, and the investigation of Mireuksaji in Iksan. He authored over 100 academic papers and several books. As an educator, he taught at Wonkwang University and Dongguk University, nurturing many students in the fields of archaeology and art. Through more than 60 years of academic activity, h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rt history in Korea.
    His research mainly focused on crafts and stone lanterns. He lai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tudy of hwagak[華角] (painted ox horn crafts), a field of traditional Korean craft that had nearly been lost, and he was skilled in the practical techniques of hwagak production as an artisan himself. He emphasized that a complete study of art history, particularly in the craft field, requires a combination of theoretical research, hands-on experience, and scientific approaches. Another of his major scholarly contributions was identifying the developmental patterns, types, and styles of stone lanterns[石燈]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analyzing Dr. Jeong Myung-ho's academic contributions is tantamount to examining the broader development of Korean art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