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청조와의 비교를 통해 본 조선시대 『家禮』 연구의 특색과 연구방향 (Features in Study of Family Rituals in Joseon Compared to Ming-Qing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3.08
42P 미리보기
명청조와의 비교를 통해 본 조선시대 『家禮』 연구의 특색과 연구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44호 / 231 ~ 272페이지
    · 저자명 : 이봉규

    초록

    조선시대 『家禮』 연구는 行禮를 중시하였고, 사대부들은 國典의 개정을 추진하여 일정 부분 성공하였다. 반면 명초 『효자록』에서 개정된 服制 규정은 경학상 전거가 없는 것이었지만, 청말까지 변동없이 국전으로 존재하였고, 개정하려는 어떤 시도도 없었다. 이것은 황권이 강고하였던 사회와 사대부의 정치적 참여가 활발하였던 사회의 차이가 낳은 결과라고 생각된다. 명청교체 이후 조선에서는 尊王과 行王의 문제의식 속에서 『家禮』의 불완전함을 보완해갔고, 변례에 대처하는 해석적 시야들이 학파적, 정파적 관련 속에서 18-9세기에 변례를 집성한 예서들로 성문화되었다. 중국에서는 명대부터 『가례』를 실행할 수 있도록 간소화하는 경향이 있었고, 청조에 들어서 人情에 부합하는 예를 행하는 차원에서 시속을 적극 수용하는 형태로 『家禮』를 재편하는 활동이 더욱 확대되었는데, 그 배경에 理學의 理가 人情과 괴리되어 있다는 청대 고문경학의 비판이 있었다. 『가례』 연구와 수행이 『가례』를 현실에 실행할 수 있도록 재편해간 점에서 공통적이지만, 명청조의 경우 현실적응적 실용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였다면, 조선에서는 이념구현적 실용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였다고 할 수 있다.
    가례 연구는 지배층의 정치적 文飾의 측면에서 상당히 축적되었다. 이제 정치적 폭력들에 대하여 對處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제시하고 예제를 수행하였던 맥락에 대하여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동시에 조선후기 출현하는 經濟書들은 가례를 수행하는 공동체의 경제적 운영이라는 經濟像을 담고 있다. 가례문화를 연구할 때 儀禮의 차원에서 또는 윤리적 인륜의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을 벗어나 家範과 經濟를 함께 고려하여 ‘家政’의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Annotations and rewritings of Family Rituals(家禮) through Joseon period were produced in pursuit of practicing li(行禮). Confucian literati in Joseon succeeded in amending the related regulations from The Code of National Rituals(國朝五禮儀) in basis of their achievement in practice and theory of li(禮), whereas those confucian literati in Ming-Qing studied Li mainly in pursuit of explaining philological problems and no amending of related regulations is attempted through Ming-Qing period. It can be said that those dissimilar phenomena between both dynasties were resulted from the different structure of sovereignty performance between the ruler-centered and the literati-centered. After the advent of Qing the supplementation of Family Rituals in Joseon was directed twofold: 1) to preserve and transmit the confucian ideal policy(尊王) and, 2) to reconstruct and practice it independently(行王). The supplementation of Family Rituals through Ming-Qing period was directed to reforming the regulations of Family Rituals to fit non-confucian customs in diverse local society. The intensive criticism from Guwen-Jingxue(古文經學) during the Qing preiod on the impracticality of li(理) promoted the reforming activities. Thus it can be said that Joseon Confucian literati considered the practicability of li(禮) in order to realizing the confucian ideal policy, while Ming-Qing Confucian literati were interested in reestablish regulations of li(禮) more acceptable to non-confucian regions.
    Previous studies of Family Rituals were oriented to explaining the system’s hierarchical structure, while the ceaseless efforts made by confucian literati to break through the limit of ruler-centered policy were overlooked. But the achievements in relation to Family Rituals produced in Joseon need a new methodological conversion considering the confucian idea of human-being. Writings of policy and economy produced in the Late Joseon period considered Family Rituals as a foundation of the ideal system. Those writings need to study Family Rituals not only as a guide of proper ritual but also as a paradigm of family-based administration(家政)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