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조대(1467년) 朝鮮과 明의 建州女眞 협공에 대한 연구 (Joseon and Ming China's Pincer Attack on the JianzhouJurchens in 1467)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3.08
35P 미리보기
세조대(1467년) 朝鮮과 明의 建州女眞 협공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45호 / 105 ~ 139페이지
    · 저자명 : 한성주

    초록

    세조대(1467년) 朝鮮과 明의 建州女眞 협공은 양국 간 이루어진 최초의 공동 작전이었다. 특히 조선은 이미 여러 차례에 걸쳐 女眞을 정벌하였지만, 명은 최초의 여진 정벌이었다. 조선은 명의 요청이 있기 전부터 독자적인 建州衛 정벌 계획을 세우고 있었지만, 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서 실행할 수 없었다. 이시애의 난이 진압되자마자 병력을 평안도에 보내어 두었는데, 마침 명으로부터 건주위를 함께 정벌하자는 요청이 있게 되었다.
    명의 건주의 정벌은 명의 조공 제한으로 비롯되었다고 연구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이에 더해 명의 조공 제한이 통교위반자인 ‘僞使’를 발생시켰고, ‘위사’로 인해 정상적인 통교가 방해된 사람들[眞使]이 변경을 침범하게 된 상황을 고찰해 보았다. 1467년 명의 건주위 정벌 배경에는 이러한 측면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1467년 조선과 명의 건주위 협공 당시 조선군은 1만 명이었는데, 총 286급을 참수하고 23명을 사로잡았으며, 被虜人 7명을 탈취하였다. 반면 明軍의 군세는 5만 명이었는데, 총 638급을 참수하고 253명을 사로잡았으며, 피로인 1,165명을 탈취하였다. 조선군의 전과보다 명군의 전과가 월등해 보이지만, 군세를 감안할 필요도 있고, 무엇보다 조선군이 建州本衛의 수장 李滿住・李古納哈・李豆里 등을 죽였다. 이것은 조선군의 정벌 루트가 婆猪江과 兀彌府 2개로 단순하였을 뿐만 아니라 건주본위의 수장 이만주의 거주지를 정확히 파악하여 효과적인 전과를 올렸음을 보여준다.
    한편 조선과 명의 건주위 협공은 여진인들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죽거나 사로잡힌 총 1,200여 명(참살 924명, 포로 276명)은 당시 建州三衛 인구의 약 5~10%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또한 산채・가옥・농경지가 불타거나 파괴되고 牛馬가 죽거나 약탈된 것뿐만 아니라 노동력으로 쓰인 피로인 1,172명을 빼앗기면서 경제적 타격도 심각하였다.
    이후 명은 건주인들의 보복 침입에 대비하여 遼東邊牆의 동단부분을 쌓기 시작하였고, 여진인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정벌 후 2~3년 뒤에는 건주삼위를 부활시켰으며, 전통적인 조공체제를 재개하였다. 조선도 평안도를 中道・西道・東道로 나누어 방어하게 하는 한편 명과 건주삼위의 관계가 부활됨에 따라 그들과의 관계를 재개하였다. 그러나 명의 조공제한 및 교역소 설치라는 기본적인 구조가 바뀌지 않는 한 이미 농경화가 진행된 여진 사회의 발전과 욕구를 충족할 수 없었다. 결국 건주삼위의 요동 침입은 다시 격화되었으며, 1467년 조선과 명의 건주여진 협공의 기억과 성공은 12년 만인 1479년에 또다시 재현되었다.

    영어초록

    The JianzhouJurchen pincer movement was the first concerted operation by Joseon and Ming China. Joseon had conquered Jurchens several times, but for Ming China this was the first subjugation of Jurchens. Joseon had been planning an independent conquest of the JianzhouCommandery area because of the Jurchens’ attack on Uiju before the request from Ming, but Yi Siae’s rebellion had prevented Joseon from conquering the JianzhouCommandery area. However, Joseon sent troops to Pyeongan Province as soon as the rebellion was suppressed. In that period,Ming sought to conquer the JianzhouCommandery together with Joseon.
    According to earlier research, Ming Chinasought an attack on the JianzhouJurchens so to restrict these Jurchens’presentation of tribute. This paper also argues that the restriction oftribute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fake envoys.” Ming’s restrictions on tribute accelerated the outbreak and expansion of “fake envoys” which used false names for delivering tribute. Problems occurred as “fake envoys” mingled with the “real envoys” in the conduct of real diplomacy. After limiting tribute, the three commanderies in Jianzhou pretended to be the MaolianCommandery and received gifts for their tribute. When the real MaolianCommandery people presented tribute, they were forbidden to do so. As a result, Ming’srestrictions onJurchentribute generated “fake envoys,” and those who were prevented from normal diplomacy due to “fake envoys” were brought to violate borders. Ming’s conquest of the JianzhouCommandery in 1467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hese contexts.
    Joseon’s army during the 1467 attack totaled 10,000 men, and it killed 286 Jurchens, captured 23, and recaptured seven prisoners of war. On the other hand, the Ming army totaled 50,000 men, and it killed 638 Jurchens, captured 253, and recaptured 1,165 prisoners of war. Ming’s accomplishments seemoutstanding compared to those of Joseon, but the difference in military power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Joseon’s army killed the heads of the principal commanders of Jianzhou, such as Yi Manju, Yi Gonaphap, and Yi Duri. Joseon’s conquest routes were not only limited to two, the Bazhu River and Wumi-fu, but the army also achieved effective accomplishments by accurately finding where the head of the GunjiCommandery lived.
    Joseon and Ming JianzhouCommandery pincer attack brought great harm to Jurchens. Joseon and Ming killed and captured about 1,200 people, (924 killed, 276 captured) which was about 5-10% of the total population of the three commanderies of Gunji. Also, economic damage was severe asfarms, houses, and mountains were burned and destroyed. Horses, cows, and 1,172 captives were used for labor. Jurchens living in Jianzhou received enormous damage. With the loss of the will to fight, the three commanders of Gunji were not able to concentrate on rehabilitation and were unable to plan revenge.
    Ming China prepared for the response from Jianzhou by building the eastern part of the Liaodong defense wall. Ming also accepted requests from Jurchens and restored the three commanderies of Jianzhou in two or three years after the conquest, reviving the traditional tribute system. Joseon also divided Pyeongan Province into three parts, middle, west, and east, for defense. As the relationship between Ming and the three Jianzhoucommanderies was revived, Joseon resumed its relationship with the three Jianzhoucommanderies, too. However, without changes in the basic structure of Ming China’s restrictionof tribute and installation of trading posts, it was impossible to fulfill the Jurchen society’s progress and urge development toward agriculture that had been already started. Eventually, the three Jianzhoucommanderies’ invasion of Liaodong intensified, and the victory of the Ming-Joseon pincer attack in 1467 was reproduced 12 years later, in 1479.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