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對明使行과 對日使行에 보이는 異端 論爭의 樣相 (The Influence of Diplomatic Trips to Ming upon How Joseon's Envoys to Japan Understood the Japanese Confucianism)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4.09
28P 미리보기
對明使行과 對日使行에 보이는 異端 論爭의 樣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43호 / 229 ~ 256페이지
    · 저자명 : 구지현

    초록

    조선은 성리학의 왕도정치 실현을 목적으로 세워진 나라였다. 건국 초기부터 고려의 불교식 사회사상을 비판하면서 숭유억불 정책이 시행되었고, 고려의 기반이 되었던 불교는 비판의 대상이 되었고 이단으로 지목되었으며, 불교 이단성의 비판은 건국초기부터 숭유억불 정책을 시행하는 근거가 되었다. 16세기 성리학이 토착화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학문이 유입되었고, 당시 명나라에서 성행하던 양명학도 매우 이른 시기에 조선에 전래되었다. 그런데 이 양명학 역시 주자학의 선명성을 드러내는 과정에서 이단성이 지적되었는데, 주된 비판의 내용은 불교와의 유사성이었다. 명나라로 사행을 간 조선인은 명나라 학자와의 논쟁을 통해 양명학의 공부 방식이 참선의 방식과 유사함을 지적하였으며, 양명학은 선학(禪學)이라는 명제는 조선 학자들 사이에 당연한 것으로 여겨졌다. 17세기 일본의 유학이 아직 맹아 상태일 때, 경전을 논하는 이들은 주로 승려 계층이었기 때문에, 조선인에게 이들의 이단성을 비판하는 것은 매우 익숙한 것이었다. 그 후 일본의 유학이 성장하여 고학 등이 등장하였을 때 조선인은 양명학의 연장선상에서 이러한 경향을 이해하였다. 결과적으로 명나라 사행에서의 양명학 논쟁 경험이 일본 유학에 대해 정확한 이해를 방해하였던 것이다. 1764년 일본에 번성하는 고문사학의 경향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서야 일본 유학의 실체를 깨닫게 되었고 비판의 논점이 불교 유사성에서 경전 이해의 오류로 옮겨갈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Joseon Dynasty was founded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Neo-Confucianism in the royal politics. From the early stage of the national foundation, Joseon advocated "Pro-Confucian / Anti- Buddhism" policy, with obvious criticism on Buddhist social philosophy of Goryeo. Buddhism, which had been the foundation for the Goryeo Kingdom, fell to an object of criticism as a cult, which formed the basis of implementing the "Pro –Confucian / anti -Buddhism" policy. In the process of Neo-Confucianism naturalized in the 16th century, there were diverse studies adopted, of which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was one transmitted from Ming, where it was flourishing, into Joseon at an early stage. The Doctrine of Wang Yangming was then put to critique on heathenism in the process of clarifying its purity in the Doctrines of Chu-tzu, main reason for criticism being similarity with Buddhism. The Joseon envoys to Ming pointed out, in their arguments with Ming's scholars, that the study methods of neo-Confucianism were similar to those of Zen meditation, as the proposition that neo-Confucianism was a theory of zen was being a known fact among Joseon scholars. While the Japanese confucianism in the 17th century was still immature, it was mainly Buddhist monks that argued about scriptures, and it was commonplace for people from Joseon to criticize their heathenism. When the Japanese Confucianism grew into Gohak, the people from Joseon viewed this new trend from the perspective as an extended neo-Confucianism. As a consequence, their experiences of arguing on neo-Confucianism in their diplomatic trips to Ming hindered them from correctly understanding the Japanese Confucianism. Not until their realization of the seriousness of the trends of Gomunsahak flourishing in Japan in 1764, was the reality of the Japanese Confucianism appreciated, and the criticism shifted its direction from similarity with Buddhism to errors in interpreting the scrip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