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明代 顧氏畵譜(1603)의 간행과 회화사적 의의 (The Artistic Heritage of Painting and its Transmission The Compilation of the 1603 Printed Gushi Huapu and its Art Historical Significanc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4.12
27P 미리보기
明代 顧氏畵譜(1603)의 간행과 회화사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28호 / 81 ~ 107페이지
    · 저자명 : 小林宏光

    초록

    중국에서는 古來 회화예술의 유산을 후세에 전하기 위해 古畵의 模寫를 계속해 오는 한편, 화론, 畵史, 화가의 傳記를 편찬하고 출판해왔다. 명대 말기에 출판산업이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모두 最盛期를 맞이할 즈음, 회화유산을 전달하기에 가장 유효한, 새로운 수단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의 화보가 등장한다. 그 중에서 본고에서 다룬 『顧氏畵譜』는 전혀 새로운 구상에 의한 구성내용과 출판목적의 양면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주목할 만한 화보이다.
    『고씨화보』는 虎林(杭州) 출신의 顧炳(16세기 후반~17세기 초 활동)이 실제로 보고 모사한 많은 수의 역대 화가 작품 가운데 106인의 화가의 구도를 選하고 편집한 목판화 삽화에 의한 복제 명화집이다. 육조시대의 顧愷之로부터 명 말기의 王廷策에 이르는 각 시대의 대표화가의 그림을 시대 순으로 늘어놓았다. 각 그림에는 고병과 교류가 있던 강남의 명사들이 휘호한 화가의 傳記나 작품해설을 내용으로 한 題識가 더해져 있으며 회화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획기적인 구성내용이다.
    고병은 화조화를 잘 그린 직업화가로, 1599년 萬曆畵院의 화가가 되었으며 그 즈음부터 『고씨화보』의 편찬을 시작하였다. 회화사의 집대성을 실현하기 위해 소장가를 방문하여 많은 수의 고화를 모사하여 모으고 출판에 필요한 역대명가의 구도를 고증, 선택하여 이제까지 유례가 없는 내용의 화보를 완성하였다.
    『고씨화보』에 수록된 唐宋 이전의 화가의 구도에 대해서는 당시 眞筆이 대부분 유존하지 않았다고 하는 상황에서 복원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으나 역대화가의 작품의 복제와 전기를 조합시킨 형태에 의한 최초의 圖說繪畵史로서 미술사적 의의를 지닌다. 출판의 목적은 朱之蕃이 서문에서 “고대로부터 지금에 이르는 명가들의 畵業을 다 정리하고 古法을 복원하여 無私의 정신에 의해 그 성과를 공개하는 것은 전례가 없다”라고 서술하였듯이 회화유산의 지식, 정보를 공개하고 많은 독자와 그것을 공유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예술의 공공성이라는 근대적 시점으로부터 태어난 『고씨화보』에 의해 도시 시민을 비롯한 많은 감상자가 예전에는 문인 엘리트에 의해 독점되고 있던 회화사의 지식과 실태를 알 수 있게 되었다. 초판의 간행 후 곧 중각본이 만들어지고 18세기 초에는 일본에도 박재된 『고씨화보』는 에도시대(江戶時代)의 유력화가에 의해 창작에 이용되어 머지않아 충실히 모사한 和刻本이 제작되었다.
    『고씨화보』는 精刻의 목판화에 의한 名家의 복제화집으로서 감상되고 소장가들에게는 불완전하지만 수집의 지침도 되었다. 또한 명 말 화가들의 창작활동에 이용되어 회화로 살아났을 뿐만 아니라 후속의 명 말 화보나 통속문학서의 삽화에 재이용되고 있다. 회화예술을 보다 많은 이들의 것으로 하는 동시에, 명말청초의 화가들에게 판화의 조형수단으로서의 유효성을 인식시키게 되었으며 그들의 판화활동을 촉진시키는 요인이 되어 판화사의 발전에도 기여하게 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Gushi Huapu (Mr. Gu’s Painting Manual), also known as Lidai Minggong Huapu (Collection of Masters’ Works of the Successive Dynasties) compiled by Gu Bing in 1603. It comprises 106 reproductions of masterpieces of old and contemporary artists in chronological order, beginning with the composition of Gu Kaizhi, a single most important artist of the Six Dynasties period and closing with that of Wang Tingce, a contemporary painter of Gu Bing, printed together with their biographical information. Gu Bing made copies of those masters by himself. Gentlemen mostly from Jiangnan region, with whom Gu was acquainted, contributed to write the bi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artists in a variety of calligraphic styles. The majority of the artists’ biographical information was taken from Tuhui Baojian (The Precious Mirror of Painting, 1365) and its later published follow up. The first edition was published by Shuanguitang in Hangzhou. It was reprinted few times in the Wanli era (1573-1619). Later certain numbers of Gushi Huapu had been brought into Japan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and a Japanese edition came out in 1798.
    Although the Gushi Huapu has neither a section explaining how to paint nor a section on classical painting theories, its back-to-back arrangement of the pictures and their artists’ information make the first illustrated art history book, especially useful for painters and trainees who otherwise have no access to actual masterworks, and art connoisseurs who need a guidance. Zhu Zhifan speaks for Gu’s aim of publication in the preface of this compilation saying that he clarifies old masters accomplishments in a comprehensive survey and his selfless mind makes possible to share the fruits of his personal effort with public, and that such project is unheard of before, contributing great deal in the world of art.
    Gu Bing took what he needed from accessible paintings to compile an illustrated, comprehensive survey of Chinese painting history. As a result, the art of painting and art historical knowledge, having been monopolized by the elite, came to be popularized and disseminated among urban populations of the late Ming and Qing period. Chinese artists after him and Japanese artists of the Edo period took what they wanted from the Gushi Huapu to create their paintings, as well as compile their own painting manu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