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明代 末期의 文人畵家 邵彌의 倣古山水畵 (Landscape Paintings in the Styles of Earlier Masters by Shao Mi)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5.08
30P 미리보기
明代 末期의 文人畵家 邵彌의 倣古山水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30권 / 125 ~ 154페이지
    · 저자명 : 박은화

    초록

    邵彌(약 1592-1642)는 명대 말기에 활동한 화가로 江蘇省 長州 출신이며 당시 江南지역의 화단을 대표하는 문인화가 중의 하나이다. 그는 董其昌을 중심으로 강남지역에서 활동한 아홉 명의 화가를 일컫는 “畵中九友”의 한 사람으로 전형적인 문인화가의 삶을 영위하였고 당시의 회화적 배경에서 중요한 회화양식으로 대두된 倣古山水畵를 통해 화단의 양상을 반영하면서 화가로서 개성적인 면모를 드러내었다.
    이전의 유명한 화가의 화풍이나 특정한 작품을 모방하여 그리는 倣古畵는 회화의 창작에서 옛 화가의 화풍이나 중요한 양식의 계승을 중시하는 전통을 바탕으로 한 倣古論을 구체적인 문인화 이론으로 확립한 동기창의 영향으로 17세기에 성행하면서 하나의 회화형식으로 확립되었다. 이러한 방고화는 회화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던 명대 말기의 화가들에게 전통을 새롭게 해석한 필묵법과 구도에 기반을 둔 새로운 회화양식을 전개하는 동인이 되었고, 특히 방고산수화는 동기창의 문인화이론을 바탕으로 이전 시기의 다양한 산수화 전통이 방고화라는 형식의 문인산수화 양식으로 융합되고 정착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자연의 形似보다 筆墨의 묘미를 추구하는 산수화의 이상적인 표현방법을 모색하는 觀念山水畵를 확산시키며 청대 초기에 “四王”에 의해 방고화가 더욱 성행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현존하는 소미의 작품에는 옛 화가들을 모방한 방고형식의 산수화가 많은 수를 차지하여 그가 명대 말에 크게 유행한 방고화를 즐겨 그렸음을 알 수 있다. 소미는 출신지인 소주의 지역적 전통인 吳派 화풍에서 시작해 송·원대의 화법을 섭렵하고 모방하면서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는 감각적인 필묵법을 터득하여 운용하였고 특히 작은 크기의 화첩에서 정련된 화면구성과 함께 옛 그림과 구별되는 자신의 면모를 표출하였다. 나아가 그는 방고화와 그림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드러낸 題跋文을 통해 스스로 문인화의 전통을 계승하였음을 피력하여 자신의 그림이 지닌 정체성과 繪畵史上의 위상을 확립하였다.
    이러한 소미의 회화활동과 작품의 양상은 오파의 전통에서 벗어나 산수화의 새로운 표현양식과 이론적 근거를 모색하기 위해 노력한 명 말기 문인 화가들의 회화에 대한 인식과 作畵 양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소미의 방고산수화에 대한 고찰은 소미라는 문인화가의 의식세계 및 산수화풍을 파악하고 명대 말기 강남 지역의 회화를 구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

    영어초록

    Shao Mi(ca. 1592-1642), late Ming literati painter from Changzhou, Jiangsu province, was considered one of the "Nine Friends of Painting" which referred the group of painters active in the Jiangnan region as friends and followers of Dong Qichang(1555-1636), the most influential painter-calligrapher- collector and theorist of the time. Shao Mi led the typical late Ming literati life in reclusive environment without even trying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devoted his energy into poetry, painting and calligraphy. Shao Mi was famous for his calligraphy and painting in his time and as a painter he produced many landscape in the styles of old masters, which became an important painting style during the 17th century with the influence of Dong Qichang's theory on literati painting and the “great synthesis” of earlier styles.
    Fanggu(倣古), imitating old styles, was the idea of combining earlier styles to form one's original style, and the idea of fanggu provided late Ming painters theoretical ground for experimenting new compositional formula and modes of brush and ink, based on creative interpretation of various older styles.
    As a Suzhou native, Shao Mi began to paint landscape in the Wu school tradition and his early works reveal a close attachment to the refined styles of Wen Zhengming(1470-1559) and Tang Yin(1479-1523). However, in his later period Shao Mi moved on to the older models and widely studied Song and Yuan painters from Jing Hao(ca. 870-935), Dong Yuan(fl. 10th c.) to the “Four Great Masters” of the Yuan. Shao's extant landscape paintings in the styles of old masters reveal his ability in interpreting the variety of Song and Yuan manners very much in line with Dong Qichang's theory. His albums of landscapes in the style of a series of old masters discussed in this article, mostly produced from the late 1620s to the 1640s, demonstrated his mastery of the various old styles. He went beyond mere synthesis of older styles and by working in the manners of some particular older masters, developed his own distinctive style executed with sensitive, fluent use of brush and ink which convey exquisite and private sentiments in simple, sparse compositions.
    Shao Mi also manifested his own ideas on fanggu and superiority of scholars-amateurs' painting in inscriptions accompanying his paintings to proclaim in both pictures and inscriptions his adherence to the literati heritage thus secure his status in the tradition of literati painting.
    Shao Mi's landscape paintings and inscriptions represent the theoretical issues that underlie the fanggu painting and creative, free imitation of old styles shared among the late Ming literati and their diverse ways of expressing them with homages to the past. Therefore, close study of Shao Mi's works would provide insight into better understanding of the landscape ideas and aesthetic changes during the late Ming, and fanggu paintings which became popular and produced by many artists of various background in the succeeding Qing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