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명·청 통속문학 삽화와 조선후기 미인도와의 관계 (A Study on the Effects of illustrations in popular literature of China’s Ming and Qing Dynasties on beauty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8.06
28P 미리보기
중국 명·청 통속문학 삽화와 조선후기 미인도와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숭실사학 / 40호 / 41 ~ 68페이지
    · 저자명 : 임미현

    초록

    조선후기 미인도는 중국에서 전래된 사녀화의 전통 아래 사실성을 바탕으로 하는 풍속화의 발달, 그리고 동시대 동아시아의 미인도의 관계 속에서 조선후기에 성립된 장르이다. 동아시아 회화의 관계성 측면에서 조선후기 미인도는 중국 사녀화와 같은 일반회화뿐만 아니라 조선으로 유입된 화보나 소설과 같이 삽화가 포함된 서적, 일본 에도시대 우키요에 등의 영향도 받았다. 특히 당시 전래된 중국의 통속문학 작품은 대중적 인기 때문에 더 넓은 독자층을 확보했고, 이에 따라 통속문학 삽화도 대중적 인지도를 넓혀 저변화되었을 것이다. 중국문학 독자의 확대와 함께 이루어진 통속문학 삽화의 대중적 파급은 화원이나 여항화가들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의 회화인식에도 자극을 주었고 조선후기의 회화양식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조선후기 미인풍속화에도 소재와 장면 구성이 다양한 제재로 수용되어, 이것이 단독 미인도로 이행되는데 큰 요인으로 작용되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국 명·청 통속문학 삽화와 국내에서 제작된 사녀화, 신윤복의 『혜원전신첩』을 대표로하는 미인풍속화, 조선후기 미인도를 비교·고찰하였다. 사녀화의 경우는 소재와 장면 구성, 인물의 복장 및 자세, 등장하는 기물 등에서 유사점을 보여 각종 통속문학 삽화들이 전래되어 흡사한 도상을 제공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미인풍속화의 경우에는 유흥문화, 남녀의 애정행각이라는 소재와 장면 구성, 인물배치와 자세, 채색 표현 등에서 명·청 통속문학 삽화와 공통점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조선후기 미인도는 ‘무배경의 단독 여인입상’이라는 형식적인 면과 인물의 자세, 꽃이라는 장식적 요소 등에서 명·청 통속문학 삽화와 유사하여 그 영향관계가 짐작된다. 따라서 사녀화가 통일신라시대 이후 꾸준하게 조선에 유입되었지만 ‘무배경의 단독 여인입상’ 형식의 조선후기 미인도가 18세기 말∼19세기 초에서나 발생하여 정착할 수 있었던 이유 중 한 요인은 바로 파급력이 강한 통속문학 삽화가 조선후기에 대량으로 유입되어 영향을 미쳤기 때문일 수 있다. 한편, 명·청 통속문학 삽화는 에도시대 우키요에와도 소재나 장면 구성 등에서 연관성을 보여 명·청 통속문학 삽화와 에도시대 우키요에가 동아시아회화 속에서 소통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었으며, 더불어 조선후기 미인도와 에도시대 우키요에와의 관련성도 시사해준다.

    영어초록

    Beauty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s a genre establish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under the tradition of paintings of women introduced from China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genre paintings based on realism and within the relations among beauty paintings in East Asia of the same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ship of East Asian paintings, beauty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influenced not only by general paintings such as Chinese paintings of women, but also books such as art books and novels that contained illustrations and Ukiyo-e of the Japanese Edo Period. Especially, popular literary works that migrated from China at the time secured a wider readership due to public popularity and as a result, the illustrations in popular literature may have also expanded in its public perception. The public spread of illustrations in popular literature along with the expansion of Chinese literature readership stimulated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 of paintings as well as court artists and middle-class artists and had a certain degree of influence on styles of painting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fact that materials and spatial compositions were accepted as various topics in genre paintings of beautie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s considered to have played a significant factor in transitioning into the separate genre of beauty paintings.
    Accordingly, this paper compares and studies paintings of women produced domestically, genre paintings of beauties represented by Shin Yun-bok’s Haewon Jeonshinchup and beauty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illustrations in popular literature of China’s Ming and Qing Dynasties. Paintings of women demonstrate similarities in materials and spatial compositions, clothing and poses of the figures and objects that appear, resulting in a surmise that a variety of illustrations in popular literature were introduced and spread to offer icons in close parallels. Genre paintings of beauties display similarities to illustrations in Ming and Qing popular literature in topics of merrymaking culture and affectionate actions between men and women, spatial compositions, positioning and poses of the figures and expression of colors. Finally, beauty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call for further study of the relation with illustrations in Ming and Qing popular literature based on elements that bear similarities, including the form of ‘a lone woman standing without a background’, poses of the figures and the ornamental element of flowers. Therefore, despite the fact that paintings of women had been introduced to Joseon since the Unified Silla Period, one of the factors that may have affected the late Joseon Dynasty’s beauty paintings in the form of ‘a lone woman standing without a background’ to finally appear and settle in the 18th century and early 19th century could be reasoned with the mass introduction of illustrations in popular literature with considerable influenc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Meanwhile, illustrations in popular literature of Ming and Qing Dynasties show correlations with Ukiyo-e of the Edo Period in terms of materials and spatial compositions, supporting presumption that illustrations in popular literature of Ming and Qing Dynasties and Ukiyo-e of the Edo Period were communicated in the paintings of East Asia and further indicating potential relations between beauty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Ukiyo-e of the Edo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숭실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