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조의 외국과의 소통 - 조선과 명을 중심으로 - (The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in the Jeseon Dynasty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eseon and Ming Chin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5.12
32P 미리보기
조선조의 외국과의 소통 - 조선과 명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65호 / 119 ~ 150페이지
    · 저자명 : 신태영

    초록

    조선조는 외국과 어떻게 소통했을까? 소통 부재의 불행한 시대를 맞이하여, 조선조가 외국과 어떻게 소통하였는지 그 양상과 내용을 한문학의 유산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조선을 방문한 많은 문관 사신들이 조선에 반하여 열렬한 팬이 되어 돌아갔다. 그 비결을 한두 마디로 정리할 수는 없지만, 過恭非禮라는 말처럼 무조건적인 예우와 막대한 예물이 아니었음은 분명하다. 오히려 풍부한 학식과 뛰어난 詩才, 그리고 훌륭한 인품으로 이들을 경탄시키고 압도하기도 하면서, 따질 것은 따지고 바로잡을 것은 바로잡는 당당함, 그리고 국빈에게 조선의 진심을 보이고 조선을 이해시키고자 한 그 ‘정성’이 이들을 감동시켰기 때문일 것이다.
    소통의 내용에 있어서, 명은 ‘조선은 명의 번국이다’는 메시지를, 조선은 ‘조선은 독립국이다’라는 서로 다른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행위는 경우에 따라 충돌을 야기할 수도 있지만, 조선은 이를 슬기롭게 넘겨 명을 국력이 강한 대국으로서 존중하면서도 자국의 주권을 유지할 수 있었다.
    소통이란 일방통행이 아니라 쌍방통행이 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서로 깊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자기들만의 소통이 아니라 모두의 소통이 되어야 한다. 이 지구에는 수많은 나라들이 존재하고 수많은 갈등이 존재하며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하지만 역시 서로 존중하며 서로를 이해하고자 욕심을 버리고 ‘정성’을 다한다면 그 갈등이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영어초록

    What was the real phase of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in the Jeseon dynasty? While undergoing an unhappy age of communication lack, I tried to examine the feature and contents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 between Jeseon and Ming with a focus on the written heritage of Chinese literature.
    Miny Chinese civil official envoys of Ming who once visited Jeseon used to go back to China as hearty devotees of Jeseon after they were charmed by it in many respects. Though it is not easy to point out the reason in few words, it is clear that it was not just caused by cordial reception and a large amount of presents. Rather, what impressed them most were affluent academic knowledge, fine personality, dignified attitude and true heart of Korean officials including the king they contacted, by which they could make Chinese guests understand Jeseon deeply.
    The main content of communication between both countries was 'Joseon is a tributary of Ming' from Chinese side, while 'Jeseon is an independent country' from Korean side. Although this sort of thought and behavior could cause serious conflict, Joseon met the situation wisely to keep its sovereignty while treating Ming dynasty modestly as a big, mighty country.
    The communication would be proper when it is interactive and reciprocal for the deeper understanding of each other. The world has been full of conflicts among countries and will be so too in the future.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conflict would be lessened when we make every effort for it while treating each other with sincere respect and understan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