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묘지명을 통해 본 불교 상장례(喪葬禮) (Buddhist Funerary and Burial Rites as Seen Through Epitaphs of the Goryeo Period)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0.03
32P 미리보기
고려 묘지명을 통해 본 불교 상장례(喪葬禮)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56호 / 147 ~ 178페이지
    · 저자명 : 문상련

    초록

    본 논문은 고려 묘지명 중 재가자의 묘지명을 바탕으로 임종의례와 시다림, 다비의례 등 불교 상장례 전반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임종의례의 경우, 『불설관무량수불경』과 『불설무량수경』, 『불설아미타경』 등에 근거한 십육관(十六觀)과 십념(十念)이 통일신라 이래 고려에 전습되었으며, 8세기 초반에 신라에 유입된 『불설무상경』은 고려시대 재가자의 임종 행법에 영향을 미쳤음을 말하였다. 한편 시다림 행법의 경우 『범망경』에 근거한 신라시대의 예와 함께, 『불설관정수원왕생시방정토경』에 따른 시다림 행법이 고려시대에 행해졌음을 말하였다. 한편 삼국 이래 행해진 다비는 고려시대에 민간에까지 확산되었음을 말하는 가운데, 이차장(二次葬)과 관련해 고려시대에 시행된 권안(權安)의 예와 의미를 설명하였다. 또한 묘지명에 기록된 묘장다라니(墓葬陀羅尼)의 전통과 관련해 『불설관무량수불경』 내지 『현밀원통성불심요집』 등이 고려 묘지명 내용에 영향을 미쳤으며, 고분 출토의 범자경(梵字鏡) 역시 묘장다라니의 한 예로서 불교 상장례의 한 요소가 되었음을 말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surveys Buddhist funerary and burial rituals(喪葬禮) by examining epitaphs(墓誌銘) of lay Buddhists of the Goryeo period. As for deathbed rites(臨終儀禮), the sixteen meditations(十六觀) and ten recollections(十念) based on the Sutra of the Meditation on the Buddha of Immeasurable Life(佛說觀無量壽佛經), Sukhavati-vyuha Sutra(佛說無量壽經), and Amitabha Sutra(阿彌陀經), which had been practiced in Korea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were performed. The Anityata Sutra(無常經), transmitted to Silla in the early eighth century, appears to have impacted deathbed rites of lay Buddhists during the Goryeo period.
    A funerary rite, known as Sitarim(屍多林) and based on the Dharma Net Sutra(梵網經), was performed in the Silla period, and another practice following the teaching of the Foshuo guanding suiyuan wangsheng shifang jingtu jing(佛說灌頂隨願往生十方淨土經) was also carried out during the Goryeo period.
    The cremation(茶毘), which began to be practic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was adopted by lay Buddhists in the Goryeo period. This study also examines cases of “kwonan(權安),” referring to the practice of temporary placement of the body at Buddhist temples, and elaborates upon its meaning in relation to the practice of secondary burials(二次葬). With regard to the practice of funerary dharani(墓葬陀羅尼), it shows that the Sutra of the Meditation on the Buddha of Immeasurable Life(佛說觀無量壽佛經) or Xianmi yuantong chengfo xinyao ji(顯密圓通成佛心要集) influenced the contents of Goryeo epitaphs.
    It further demonstrates that bronze mirrors with Sanskrit letters(梵字鏡) found within tombs were also formed a part of Buddhist funerary and burial rites during the Gorye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3 오후